[현대중국입문 공통] 장이머우(장예모) 감독 영화 인생(活着)을 보고 女주인공 지아전(家珍)이 중국현대사의 주요 사회정치적 사건상황에 직면하여 어떠한 태도를 취하고 살아갔는지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중국입문 공통] 장이머우(장예모) 감독 영화 인생(活着)을 보고 女주인공 지아전(家珍)이 중국현대사의 주요 사회정치적 사건상황에 직면하여 어떠한 태도를 취하고 살아갔는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1940년대 이야기
  1) 이 시기의 주요 사건
  2) 이 시기 지아전의 인생
 2. 1950년대 이야기
  1) 이 시기의 주요 사건
   (1) 대약진시대의 국민경제 형태
   (2) 대약진의 주장 및 실천
  2) 이 시기 지아전의 인생
 3. 1960, 1970년대 이야기
  1) 이 시기의 주요 사건
   (1) 마오쩌동에 대한 개인숭배
   (2) 민중의 조반운동
   (3) 경제적 파괴
  2) 이 시기 지아전의 인생

III.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하면 9.2척, 5.5척이 각각 적었는데, 1968년에는 평균적으로 매 사람에게 9척의 직물표만이 배급되었다.
주택의 측면에서 보면 제1차 5개년계획기간에 주택건설투자는 비생산 투자의 9.1%를 차지했는데, 문화대혁명의 처음 5년이었던 제3차 5개년계획기간에는 단지 4%만을 차지했고, 문화대혁명의 마지막 5년이었던 제4차 5개년계획기간에는 단지 5.7%만을 차지했다. 인구는 많이 증가하고 반대로 주택건설투자는 큰 폭으로 하락해서 도시주민의 주택부족이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다.
2) 이 시기 지아전의 인생
영화의 시대가 1960년대로 넘어가면서 지아전과 그의 남편은 중년의 나이대가 되고, 딸은 20대의 꽃다운 나이로 자라게 된다. 어느 날 그들이 아는 주민이 한명 찾아와서 그들의 딸의 혼사를 주선한다. 그가 소개한 남자는 절름발이지만 마음이 착한 남자라 지아전의 부부도 마음에 들어 했고, 딸고 그다지 싫지 않은 기색이었다.
당시는 문화대혁명의 시기고, 모택동에 대한 우상적인 숭배가 강했기 때문에 마을 곳곳에 그의 얼굴을 그린 그림을 많이 발견할 수 있었다. 하루는 딸과 혼인을 이야기 했던 그 총각이 동료들을 데려와서 지아전의 집을 수리해주고 벽 곳곳에 모택동의 그림을 그려주었다. 이 총각의 성의에 고마웠던 지아전의 부부는 혼사를 논의했는데 그도 혼인을 원한다고 하여 결혼이 이루어지게 된다. 혼인식에서도 모택동의 그림이 그려진 벽 초상화 앞에서 실행되고, 사진도 찍게 되었다.
어렸을 때 벙어리가 된 딸을 걱정하던 지아전의 부부들도 마음씨 착한 이 총각에게 그녀의 딸을 보내는 데에 대하여 무척 흡족한 모습이었다.
그리고 몇 달이 지나서 그녀의 딸과 남편이 찾아와서 아이를 가졌다는 소식을 전해주었다. 그쯤 되면 모든 일들이 순탄하게 진행되고 그들에게는 행복이 서서히 다시 찾아온다는 느낌도 들었다. 하지만 산부인과에서 수술을 하면서 딸이 아이를 낳는 데는 성공하지만, 피를 너무 많이 흘려서 그만 죽고 만다. 그것은 의사가 경험이 전혀 없는 초보의사였기 때문이다. 그 당시 문화대혁명으로 인하여 지식인이나 고위간부들을 배척하는 일이 많았는데, 병원 내의 경험 있는 의사들이 모두 감옥에 있었기 때문에 초보 의사들이 수술을 하게 되었던 것이다. 결국은 죽지 않아도 되는 딸이 중국정부의 모순된 정책에 의하여 목숨을 잃게 된 것이다.
이렇게 억울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는데도 어느 누구에게도 하소연을 할 수 없었다. 이것은 국가에서 이루어지는 정책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이것으로 공산주의가 처음에는 아주 좋은 뜻으로 시작을 하였지만, 서서히 그 모순점이 발견되어지고 상위층은 서서히 자신의 권력을 지키기 위하여 독재의 형식으로 변해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하루는 지아전의 아들을 실수로 차로 치어 죽이게 했던 그 사람이 찾아와서 부귀에게 자신의 전 재산을 맡기고 자신은 자살할 것임을 암시하는 말을 했다. 그는 이미 고위층이고 재산이 많았기 때문에 정부에서 그들을 처단할 계획이었기 때문에 죽음이 아니면 도망을 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지아전은 비록 실수로 아들을 죽게 한 그였지만 결국은 그를 용서해주기로 하였다.
지아전의 인생을 돌이켜보면 자신이 원하지 않았음에도 중국의 역사적인 변화로 인하여 커다란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변화로 인하여 좋았던 상황과 좋지 못했던 상황이 모두 존재하는데 결국 그녀의 인생을 전체적으로 돌이켜보면 그다지 좋은 결과는 아니었다고 볼 수 있겠다. 공산화로 인하여 경제적인 걱정은 사라졌지만, 이로 인하여 다양한 모순점은 결국 그녀에게서 있지 않아도 될 엉뚱한 사건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지아전의 인생을 영화로 보면서 모택동이 중국내전에서부터 중국인민공화국의 건설, 대약진시대, 문화대혁명의 시대의 사회상을 간접적으로 겪을 수 있는 계기가 되어 좋았다.
III
결론
여기서 1949년부터 1970년대의 시기는 모택동의 집권시기와 거의 일치한다. 모택동은 1949년에 중국인민공화국을 건설하고 1976년 자신이 죽을 때까지 계속 주석의 위치에 있었다. 1950년에 한국전쟁이 발발했을 때 아주 많은 병력을 투입하여 북한을 도왔고, 이를 계기로 그는 국방력에 힘을 많이 쏟았다고 한다. 비록 공산주의의 사회였지만 그 역시 경제가 발전하기를 기대했으므로 이 체제 안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발전을 시도했으나 결국 한계에 다다르게 되었다. 공산주의 자체의 문제점이 결국은 안정은 있으나 동기부여는 부족하다는 점도 있다. 또한 처음에는 가난한 농민들을 위한 사회를 건설하는 데 힘을 많이 써서 국민들의 영웅적인 존재가 되었다. 하지만 그가 높은 자리에 머무르면서 이 자리를 지키려는 성향이 생기면서 스스로를 우상화하려는 정책은 문제가 있었다.
지아전의 삶은 이러한 모택동의 정책의 변화에 따라서 살아가는 중국의 일반적인 여성 노동자라고 할 수 있다. 그녀는 처음에는 재벌의 아내였고, 다시 집안이 망하고 국가가 공산화가 되면서 일반적인 노동자가 되려고 노력했다. 이로 인하여 가족들에게도 다양한 일을 겪게 되었지만, 그녀의 인생은 세상의 이치가 돌아가는 데로 물 흐르듯이 살아갔다.
이 영화를 보면서 공산주의에 대한 참모습을 더욱 생생하게 알 수 있었고, 책이 아닌 영화로서 중국의 현대사를 접하게 됨으로써 이 부분을 이해하는 데 더욱 도움이 된 것 같다.
참고자료
권선주, 현대 중국경제의 이해, 2011.
김기효, 지식인에 대한 모택동의 인식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논문, 2010.
리쿤, 중국 영화포스터에서 나타난 이미지분석 : 문화대혁명시기(1966~1976)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논문, 2011.
송기호, 중국경제역사의 이해, 2008.
시쉬옌(席宣).진춘밍(金春明), 문화대혁명사, 나무와 숲, 1999.
왕정문, 등소평시대의 신 중국 개혁개방정책이 중국경제발전에 미친 성과에 대한 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논문, 2013.
천이난, 문화대혁명, 또 다른 기억: 어느 조반파 노동자의 문혁 10년, 그린비, 2008.
허귀순, 소설 '태양조재혜명호상(太陽照在慧明湖上)'에 나타난 문화대혁명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3.
  • 가격3,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5.04.03
  • 저작시기201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30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