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화 인식] 중국의 전족(纏足) 문화에 대한 이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문화 인식] 중국의 전족(纏足) 문화에 대한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전족의 정의와 기원
Ⅱ. 전족을 하는 방법과 과정
III. 전족의 목적과 확산이유
 1. 전족의 목적
 2. 전족의 확산 이유
Ⅳ. 전족에 대한 역사적 평가

본문내용

문에 의사들은 정상과 비정상을 가리기 힘든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을 가하는 사람과 받아들이는 사람의 교감이 없고 상대방을 욕구를 위한 대상으로만 보고 피해를 입히는 것이 비정상 즉 페티시라고 정의하고 있다. 17세기경 서양에서 코르셋을 이용해 여성들의 허리를 상상도 못할 사이즈로 만든 것도 페티시를 사회로 전파시킨 경우라고 볼 수 있다. 극단적으로 19세기 유럽에서는 코르셋의 압박을 견디지 못한 늑골이 肝臟을 꿰뚫어 사망하는 사례까지 있었다고 한다. 최근 2000년 판 기네스 북 에는 허리둘레 33cm가 올라있다.
전족의 경우에는 여성들도 받아들일 수 밖에 없었기 때문에 비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았고, 그러한 의식조차 못했던 것이다. 기형적인 발은 좋아하고, 정상적인 발은 좋아하지 않는다면 변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수십억 명의 취미가 병적이라고 볼 수도 있지 않을까?
정상적이 아닌 뒤뚱거리는 걸음걸이는 남성의 성적 쾌감을 자극하는 수단이 되었다. 여성을 남성의 성적 노리개로 만들기 위한 지독히 잔인한 방법이 바로 전족이었던 것이다.
-계급 억압의 반영으로 보는 해석.
봉건통치 계급은 자신의 사치와 오락을 많은 대중을 억압함으로써 얻었다. 또한 전족은 남녀 불평등 관념의 산물이다. 중국 여성은 봉건사회에서 政權, 族權, 神權의 억압 외에도 또한 男權의 억압을 받아야만 했다. 중화전국부녀연합회(편), 박지훈, 전동현, 차경애(역), 중국여성운동사 , 상권, 한국여성개발원, 1991, 10~15쪽.
이에 따라 전족의 기원은 봉건사회와 밀접하게 서로 연관되어 있다. 그 실질은 나쁜 계급제도에서 여성을 무시하고 기만하고 짓밟았던 필연적인 산물이었다. 전족은 여성의 입장에서 심리적으로나 생리적으로 모두 일종 야만적인 억압이었다. 전족은 만드는 동안 중국여성들은 뼈아픈 고통을 겪었을 뿐 아니라 매우 많은 足疾을 남겨서 종신토록 힘들도록 했다. 발의 변형은 반듯이 서는 것을 불편하게 했고 보행의 제한과 노동의 곤란 등 많은 병폐를 수반했다. 또한 變難을 당했을 때도 적지 않은 전족한 여성들은 모두 도망하기 어려워서 도둑이나 적의 폭행, 심지어 주살을 당하기도 했다. 이러한 기형적인 소각 문화는 일찍이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 시기에 중국여성들에게 능욕과 상해를 더욱 많이 주는 결과를 남겼다. 예를 들어 의화단운동 시기 팔개국 연합군이 중국 여성을 강간한 후 다시 소각을 베어 전리품으로 자신의 나라에 가지고 가서 과시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전족은 중국 여성들에게 중국의 통치자들에게 놀잇감이 되었을 뿐 아니라 외국 침략자들에게도 약탈당하고 조소를 받는 대상이었다. 이는 결코 단순히 중국 여성의 불행이었을 뿐 아니라 중국민족 전체의 비극이었다고 평가된다. 景慶虹, 女性文化中的畸形産物: “小脚文化”考析, 中國婦女管理幹部學{院學{報
1991-2, 37~38쪽.
-“소각문화”와 여성해방과의 관계로 보는 해석
여성 전족은 노동의 기회를 박탈하고 심지어 노동의 능력을 상실시켰으며 따라서 경제상 독립적 수단을 없앤 것이다. 따라서 전족은 중국 여성을 속박하였고, 放足은 여성 해방의 신호탄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중세의 서양에서 남성귀족들은 그들 妻妾의 정절을 지켜야한다면서 ‘貞操帶’를 만들었다. 전족은 정조대 이상으로 천년이상 동안 여성을 압박한 것이고 중국의 비극 중 하나였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박지훈, 『전족(纏足): 중국역사 속의 기형(畸形)문화 = The Foot-binding: Abnormal Culture in Chinese Women`s History』, 시민인문학 Date 2011 Volume 21 Issue -
- 전족 [纏足] 『두산백과사전』
- 소황옥, 『중국 전족(纏足)의 미학적 연구』, 한복문화학회, 한복문화 Volume 9 Issue 1 Date 2006 Pages 107-116
- 발과 성, 『중국, 중국인 그리고 중국문화』, 2011.3.3., 다락원
박민희, 리뷰: 『전족에서 다시 근대의 족쇄로』, 사카모토 히로코, 양일모·조경란 옮김 중국 민족주의의 신화-인종·신체·젠더로 본 중국의 근대, (서울, 지식의 풍경, 2006), 294page
이근명, 서평 : 고홍흥 저 , 『 전족사 - 전족적기원여발전 - 』, 중국사학회, <중국사연구> 7권0호 (1999), pp.347-356
이근명, 특강 : 중국여성의 슬픔-전족(纏足)의 역사,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국제지역연구> 3권3호 (1999), pp.197-216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5.04.03
  • 저작시기201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30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