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홀로 세대의 증가와 소형 리빙공간의 디자인 - 사회적 환경의 변화와 소형 리빙공간의 이해 , 리빙, 주방 공간 형태의 변화와 특징, 기능전환의 관한 디자인 개요, 기능전환을 위한 상호관계 특징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나홀로 세대의 증가와 소형 리빙공간의 디자인 - 사회적 환경의 변화와 소형 리빙공간의 이해 , 리빙, 주방 공간 형태의 변화와 특징, 기능전환의 관한 디자인 개요, 기능전환을 위한 상호관계 특징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나홀로 세대의 증가와 소형 리빙공간의 디자인



Ⅰ. 사회적 환경의 변화와 소형 리빙공간의 이해
 1. 현대 사회의 변화
 2. 가족 구성원수의 변화
 3. 소형 리빙 공간적 배경

Ⅱ. 리빙, 주방 공간 형태의 변화와 특징
 1. 주방형태(Lay-out)의 특징
 2. 구성 유형의 변화
 (거실:Living, 식당:Dining, 주방:Kitchen중심으로)

Ⅲ. 기능전환의 관한 디자인 개요
 1. 기능전환의 개념 및 목적
 2. 기능전환의 필요성

Ⅳ. 기능전환을 위한 상호관계 특징
 1. 기능적 특성
 2. 공간적 특성
 3. 융복합적 기능 특성

본문내용

2) Turn on project /
Visionary housing experiment prototype
제 품
Turn on project
이미지 사진
상호관계 특 징
기능적 특성
내 용
* 둥근 휠을 둘려가며 원하는 데로 가구의 위치를 만들 수 있는 유니트.
* 선반, 의자, 침대 등의 프로그램.
* 휠의 3분의 1은 바깥쪽으로 열 수 있음.
* 휠을 여러 개 연결하면 하나의 주거공간.
* 모듈 안에서 요리하는 동안 침상은 천장으로 되고, 벽 은 식탁형성.
2 . 공간적 특성
(1) HANSE COLANI Rotor House / Luigi Colani 교수 &HANSE HAUS 공동 / 독일
공간적 특성 - 1
제 품
Hanse - COLANI Rotor House
이미지 사진
상호관계 특 징
공간적 특성
내 용
* 취침, 취사, 위생공간의 기능, 구조적 영역을 통합하는 원형공간배치.
* 기능공간이 필요에 따라 회전 로터.
* 필요공간은 같은 크기로 각각 공간이 회전하며 오늘날 까지 알려져 오는 가장 작은 치수.
* http://www.hanse-haus.de
* http://www.colani.de
(2) Q4 Plugged / Philips Design
공간적 특성 - 2
제 품
Q4 Plugged
이미지 사진
상호관계 특 징
공간적 특성
내 용
* 미래지향적 종합시스템 개념의 가구.
* 현대의 기술과 가구를 집목하여 새로운 미래 생활상을 제시.
* 인간의 행동과 전자제품 그리고 가구의 상호작용을 이 한곳에 모아 조합.
* 디자인은 휴식, 일 그리고 놀이까지 겸할 수 있는 폭 넓고 다양한 용도로 전환.
(3) 개폐형 침대(Cabriolet-Bed) / 조 콜롬보 / 밀라노
공간적 특성 - 3
제 품
개폐형 침대(Cabriolet-Bed)
이미지 사진
상호관계 특 징
공간적 특성
내 용
* 인간이 침대에서 하고자 하는 다양한 행위가 동시에 가능하도록 설계.
* 텐트와 같은 침대의 천정부분을 열고 닫음.
* 침대의 내부 공간은 완벽한 프라이버시를 유지함.
* 내부에서 음악을 들을 수 있고, 담배를 피울 수 있도 록 라디오와 환기구, 재떨이 등을 설치.
3. 융복합적 기능 특성
(1) Stand by Office / Koenig & Neurath / 독일
융복합적 기능 - 1
제 품
Stand by Office
이미지 사진
상호관계 특 징
융복합적 기능
내 용
* Stand by Office는 보다 적극적으로 가구가 점유하고 있는 공간 자체를 축소한 가구.
* 평소에는 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으로 활용.
* 벽면에 겹쳐 세워두었다가 업무를 위해 필요할 때 도 어를 열면 공간은 얼마든지 확장.
* 구성이 간편하고 완전한 업무공간을 형성.
* 업무공간이라는 물리적인 공간 안에서 데스크, 스크린, 서고 들이 형성.
(2) DOBO11 자녀방 가구 / Hanssem 최경란
융복합적 기능 - 2
제 품
DOBO11 자녀방 가구
이미지 사진
상호관계 특 징
융복합적 기능
내 용
* 자녀의 신체적, 지적, 성장의 발달된 가구.
* 유니트 시스템 가구는 스스로 전체를 만들 수 있는 단 위체.
* 상황에 따라 다른 단위체가 부가되어 효율을 증대시키 는 시스템.
* 하나의 가구에 여러 기능이 복합적으로 내재되어 공간 에 있어서 다양한 유형으로서, 특히 좁은 공간에서나 원룸형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사용.
(3) Clever Kitchen / 쾰른전시장
융복합적 기능 - 3
제 품
Clever Kitchen
이미지 사진
상호관계 특 징
융복합적 기능
내 용
* 가구를 모두 담을 수 있는 회전식 원형부엌 클레버 키 친 최소 공간.
* 냉장고, 식기세척기, 세라믹 홉(Hob), 레인지후드, 그리 고 전자레인지와 오븐 등이 설치 가능.
* 별도의 가스레인지 및 원두커피 기계도 설치가 가능.
* 원하는 기능에 따라 조리대를 180도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동선을 최소함.
* 원형문을 닫으면 부엌이 사라지면서 원형 부엌 자체가 공간의 한 인테리어 요소.
(4) MITON / 밀라노전시장
융복합적 기능 - 4
제 품
MITON
이미지 사진
상호관계 특 징
융복합적 기능
내 용
* 조리, 수납 품들 사용되는 도구.
* 위, 아래 Lift up System.
* 사용할 때와 안쓸때 사용공간 활용 최대화.
(5) POGGENPOHL / 밀라노전시장
융복합적 기능 - 5
제 품
POGGENPOHL
이미지 사진
상호관계 특 징
융복합적 기능
내 용
* 메인 주방에서 요리한 것 을 다이닝의로 가져올 때
기능이 확장됨.
* 요리한 것을 이동시, 캐비닛에 바퀴가 있어 이동 가능.
이와 같이 가구의 기능전환의 기능과 원룸 주거공간에서의 사용자의 행위나 움직임이 결정적인 영향을 줄 뿐 아니라 그 속에서 생활하는 인간관계, 공간의 변화에도 변화를 가져다준다.
주거공간 안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경험과 공간적 개념이 적용된 기능전환 가구에 주목하고 연구해야할 이유라고 할 수 있다.
기능전환 공간개념이 적용된 가구의 상호성 관계 사례를 통해 3가지 관계유형을 정리하였다.
기능전환형 아일랜드 주방을 위한 로드맵
참고자료
피이터 블레이크, 윤일주 역, ‘근대건축은 왜 실패하였는가?’ 기문당
우치다 시게루, 고현진 역, 가구의 책, 미메시스, 2005
임윤정 우치다 시게루 디자인 전, 월간 마루 4월호, 2006
오인욱 실내디자인론, 서울, 기문당, 1990
이진아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1인 가구 유니트 계획안
홍익대, 건축도시대학원, 실내설계전공, 2010
김시내 셀(cell)공간 개념이 적용된 복합기능 가구디자인 컨셉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조형디자인 가구디자인 전공, 2009
진경미 실내공간과 가구의 상호적 특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가구디자인전공 2008
김태선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키친공간과 빌트인제품의 변화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가구디자인전공 2006
김희완 빌트인 시스템 주방공간의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공간디자인학과, 2006
김남희 독신거주자를 위한 최소규모 주거공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공간디자인학과, 2004
  • 가격2,5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15.04.22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47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