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종교정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의 종교정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중국의 종교관과 종교 현황
  ① 중국의 종교관
  ② 중국의 종교 현황
  2) 중국 공산당의 종교에 대한 평가
  ① 공산주의의 종교관
  ② 무신론과 종교의 결합
  ③ 종교 신앙의 자유화 정책
 3) 종교 완화정책과 종교 개방정책
  ① 종교 완화 고립정책
  ② 종교 개방의 필요성 대두
  ③ 종교 개방의 제한
 4) 개방 시기 종교 통제 강화와 종교 부흥운동
  ① 종교 개방 정책에 상반된 종교 규제와 탄압
  ② 각 종교의 부흥운동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를 복교하기로 결정한 후 1983년부터 정식 업무를 시작하였다. 이를 계기로 중국천주교는 비교적 순탄한 회복세를 나타냈을 뿐 아니라 교인의 요구에 부응하여 북경, 상해, 중남, 사천, 하북, 심양, 합서 등 중국 각지에 신학교를 세웠고 신자들의 집회 활동 역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c. 이슬람교의 부흥운동
7세기 중엽 중국의 변방민족에게 전파된 이슬람교는 수천여년 동안 중국의 소수 민족을 근간으로 꾸준히 성장해 왔다. 이슬람교는 중국에서 회교로 불리울 정도로 교세를 확장했지만 특이한 점은 중국의 전통과 융합하기를 거부하고 회교 자체의 전통을 고수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때문에 회교를 신봉하는 한족은 회족으로 불리워 소수 민족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위구르족등 10여개 소수 민족의 천여만명에 이르는 변방민족을 단결시키는 구심점으로 소홀히 대할 수 없는 중요 문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때문에 중국 공산당 정권이 수립된 후인 1955년 기타 다른 종교보다 이르게 중국 이슬람협회에 의한 회교 코란경 학교 설립을 후원하여 중국 공산당을 인정하고 사회주의를 옹호하는 고급 성직자를 양성토록 도모하였다. 1955년부터 1965년의 10여년 동안 약 860여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는데 이들이 현재 중국 이슬람교를 이끄는 주요 회교 지도자들이다.
중국 이슬람교 역시 문화대혁명시기에 박해를 받아 위축되었으나 일찍이 양성한 인재들에 의한 재차 교세를 확대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3. 결론
사회주의 중국에서의 종교문제는 이제 더 이상 종교의 범주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의 안정, 민족의 단결, 국가의 통일, 경제의 향상, 외교의 발전 등과 직접, 간접적 관련성이 있다. 중국공산당 정권이 정식으로 설립된 후 마르크스-레닌주의에 입각한 종교탄압 정책은 문화대혁명 때 최고조에 달하였으나 지하로 잠입한 종교에 대한 완화 조치로 종교개방 정책이 시행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중국의 종교개방 정책 역시 기존의 마르크스-레닌주의의 무신론에 입각한 종교 억제 노선을 극복하지 못한 관계로 종교신앙의 자유를 표방하는 이면에는 전략 전술상의 마찰과 모순이 존재한다. 이것은 종교정책의 '용인(容忍), 제한(制限), 소멸(消滅)'론에 입각하여 각종 종교를 통제 대상으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1. 중국종교 정책의 두 가지 모순
중국이 종교개방 정책을 실시하는 이면에는 중국공산당이 이제껏 취해 왔던 통일전선 책략이 그대로 적용되기 때문에 심한 모순이 존재한다. 정책의 모순은 내외적인 책략에서 기인한다. 현재 중국의 종교정책은 대내통전과 대외통전 두 가지를 내포하고 있다.
*대내통전
중국공산당이 일찍부터 강조한 '혁명과 건설' 중 무산계급정당은 단결 가능한 모든 종교인과 愛國統一戰線을 결성하여 무산계급의 이익과 완전히 부합시킨다는 책략으로 종교 세력은 사회 역량의 일부로 간주하여 혁명과 건설에 투입 시킬 수 있는 적극적인 작용을 발휘하도록 선도하여 '사개현대화(四個現代化)'계획을 추진하는데 힘쓴다.
*대외통전
1980년대 종교개방 정책이 실시된 후 중국에서는 많은 교회가 문을 열고 종교 집회를 시작하였지만 각지의 모든 교회는 긴장 국면을 계속 떨쳐 버리지 못하였다. 교회의 집회는 허용되었으나 교인들은 정치나 역사에 관한 말은 삼가야 하며, 외국선교사의 입국은 허용되었으나 공개적인 활동은 금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에 대해 외국언론들은 중국당국이 종교개방 정책을 실시하는 이유는 바로 종교 문제로 인하여 4대현대화 정책의 추진상 필요한 서방국가의 원조와 투자 유치에 지장이 있을까 우려하기 때문이다라고 정확하게 지적하고 있다.
이렇듯 중국공산당이 실시하는 종교를 이용한 대내, 대외통전은 상호 모순되어 좌와 우의 경향이 혼재하고 긴장 국면과 완화 국면이 교차하는 형태인데 이는 바로 외국으로 부터 경제적인 지원을 얻기 위한 일종의 전략이라고 말할 수 있다.
2. 종교 통제로 인한 마찰
중국공산당의 종교개방 정책은 정치성과 통전성이 짙기 때문에 표면적인 개방 조치와는 달리 그 이면에는 종교적 통제가 철저하게 실시되고 있다. 그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① 종교 규정의 철저 관리 : 종교에 대한 각종 규정은 1983년 제정된 '官制宗敎規定'에 의거하여 시행하는데 이 부분은 중국 종교의 자주 독립을 견지하기 위해 외국 종교 세력과의 접촉을 금지하여 종교의 고립화를 꾀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② 가정 집회 활동 억제 : 이 조치는 문화대혁명 때 심한 종교 박해로 인해 모든 종교가 지하로 잠입하게 되어 가정 집회 활동이 암암리에 성행하자 개방 조치로 바뀌었으나 가정 집회 활동이 계속 성행하고 신도 수의 증가 속도가 빨라지자 이에 대처하기 위해 취해진 조치이다. 1983년 8, 9월부터 수 많은 가정 집회가 폐쇄되었거나 최소한으로 축소되었다.
③ 선교 활동 금지 : 극단적으로 말하면 중국 내의 교회는 외국인을 기만하기 위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각 도시에 있는 교회와 목사는 외국인의 참관이 없을 경우 문을 닫거나 목회 활동이 금지 당하다가 외국인이 오면 교회와 목사의 활동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행하는 목회 활동 후에는 공산당에 대한 찬양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④ 기도 금지 : 중국은 교회에 대한 억제 조치뿐만 아니라 개인의 기도 행위까지도 금지하고 있다. 즉, 복음 전파를 하나의 미신 행위로 간주하여 식사 전에 행하는 감사 기도로 인해 반혁명죄로 기소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상과 같은 내용으로 미루어 보더라도 중국의 종교정책은 표면적으로 어떠한 조치가 이루어지던 간에 마르크스 이데올로기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명백하게 알 수 있으며 그의 교조(敎條)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장기적인 전략과 전술에 입각하여 종교의 소멸을 획책하고 있음을 간파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이내용을 통해 양면적인 중국의 종교정책에 대해 조금이나마 알아보았고 세계적으로 지탄 받고 있는 종교 정책에 대해 앞으로 우리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통해 변화가 있기를 간절히 희망한다.
<참고문헌>
중국기독교사 /조훈 /그리심 2004/
  • 가격1,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5.05.11
  • 저작시기201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70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