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수련시설 (靑少年修練施設)] 청소년수련시설의 개념과 종류, 필요성과 기능 및 역할 & 청소년수련활동의 개념과 필요성, 특성 & 청소년수련시설 현황과 개선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수련시설 (靑少年修練施設)] 청소년수련시설의 개념과 종류, 필요성과 기능 및 역할 & 청소년수련활동의 개념과 필요성, 특성 & 청소년수련시설 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청소년수련시설의 개요
 1) 청소년수련시설의 개념
 2) 청소년수련시설의 종류
 3) 청소년 수련시설의 필요성
 4) 청소년수련시설의 기능
 5) 청소년수련시설의 역할

2. 청소년수련활동의 개요
 1) 청소년수련활동의 개념
 2) 청소년 수련활동의 필요성
 3) 청소년 수련활동의 특성

3. 청소년수련시설 현황
 1) 유형별 현황
 2) 지역별 현황
 3) 설립/운영 현황
 4) 예산현황

4. 청소년수련시설 개선방안

【 참고자료 】

본문내용

014년 7월 31일 기준
자료: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
3) 설립/운영 현황
(1) 설립주체별현황
< 설립주체별현황 >
지역
청소년 수련관
청소년 문화의 집
청소년 수련원
청소년 야영장
유스호스텔
청소년 특화시설
총계
국립
0
8
0
0
0
0
8
시립
101
18
101
4
8
8
240
도립
4
10
20
3
1
0
38
구립
29
1
43
1
2
1
77
군립
47
19
60
13
6
1
146
사립
3
133
9
21
110
0
276
교육청
0
2
0
0
0
0
2
총계
185
191
233
42
127
10
788
* 2015년 5월 3일
자료: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
(2) 공공/민간 현황
< 공공/민간 현황 > (단위: 개소)
구분
총계
수련관
문화의집
수련원
야영장
유스호스텔
특화시설

781
186
230
179
43
134
9
공공
505
183
225
47
25
16
9
민간
276
3
5
132
18
118
-
(자료: 여성가족부, 2014)
(3) 연도별 현황
< 연도별 현황 >
구분
청소년수련관
청소년수련원
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특화시설
청소년야영장
유스호스텔

2000년
87
181
132
0
119
62
581
2001년
105
190
136
0
146
63
640
2002년
113
190
142
0
146
63
654
2003년
113
185
142
0
146
69
655
2004년
127
186
160
0
133
81
687
2005년
137
203
164
0
138
87
729
2006년
134
161
192
0
43
84
614
2007년
194
163
198
9
37
103
674
2008년
144
179
196
9
43
103
674
2009년
160
161
199
9
42
100
671
2010년
163
171
201
9
47
112
703
2011년
172
172
213
9
42
117
722
2012년
181
174
218
9
45
127
753
2013년
188
179
230
9
43
134
781
(자료: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
4) 예산현황
< 예산현황 > (단위: 백만원)
연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예산
33,790
34,215
49,417
41,477
50,550
44,991
증감(%)
△7.93
1.26
44.4
△16.1
21.9
△11.0
(자료: 여성가족부, 2014)
4. 청소년수련시설 개선방안
(1) 지역별 균형화
- 청소년수련관 대상 지역 정책은 시·도별 구분에서 시·군·구 단위의 기초자치단체 및 인구규모 등 실제적인 지역을 기준으로 분석-수립할 수 있다.
- 도농복합도시 및 군단위 청소년수련관의 기능이 문화여건이 부족한 해당 지역의 핵심기반이 될 수 있도록 중앙차원의 지원체제 구축할 수 있다(김혁진 외, 2012).
(2) 입지의 적합화
- 청소년수련관 입지와 관련하여 지속된 문제점 중의 하나는 자연권 지역 입지 시설은 사실상 숙박형 수련원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것이다.
- 따라서 시설 신규 설치 시 적합한 입지 여부를 현장방문 중심으로 확인하고, 기존의 입지와 건물이 부적합한 시설은 시설 종류의 전환을 적극 유도할 수 있다(김혁진 외, 2012).
(3) 지역사회 연계와 학교와의 협력 강화
지역사회의 다른 여러 기관 및 자원들과의 연계는 지역에서의 청소년들의 활동참여를 활성화하는 데 결정적인 요소이지만, 지금까지 청소년기관들은 대체로 사업 중심으로 활동을 전개해왔다. 학교는 물론 지역사회의 다양한 기관들과의 연계를 통해 시너지효과를 창출해 낼 수 있도록 청소년활동정책의 방향을 전환해나가야 한다(임희진 외, 2014).
(4) 소외계층 청소년에 대한 지원 강화
- 체험활동의 사회적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소외계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예산의 확보가 절대적이다. 그리고 확보된 예산을 어떻게 투입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 청소년활동시설이 백화점식 프로그램 운영보다는 보다 특화되고, 지역의 요구를 반영한 시설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시설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장기적인 계획이 필요하다(임희진 외, 2014).
(5) 프로그램 개발의 다양화
- 청소년수련시설의 활성화를 위해서 프로그램의 개발의 다양화가 중요하다.
- 청소년들은 문화감성 프로그램 영역에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문화감성영역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최광묵, 2008).
(6) 중소도시 청소년수련시설의 활성화 방안
중소도시나 군·읍·면의 청소년수련시설 활성화를 위해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는 이들 수련시설에 대한 재정적인 지원과 아울러 지방자치단체와 청소년수련시설과 관련된 교육청간 긴밀한 협조체제 구축의 필요성이 요청된다(최광묵, 2008).
(7) 정부가 청소년수련활동의 방향과 목적을 제시하여야 한다.
정부·지역사회·청소년 관련기관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수련활동 시설을 확대 보급하고 청소년 수련활동 인증제를 통하여 지속적인 관리 및 개발로 양질의 청소년수련활동을 청소년들에게 제공하여야 한다(황선중, 2012).
【 참고자료 】
김혁진,김정주,김인규,김문주(2012)「2012년 청소년수련관 종합평가 결과보고서」여성가족부,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
노혁(2007)「청소년복지론」교육과학사
안성진(2009)「청소년수련시설의 서비스 품질이 고객 만족, 신뢰, 몰입,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여성가족부(2014)「2014 청소년백서」
임희진,송병국,안지선(2014)「청소년활동 참여 실태조사 연구Ⅰ」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장은숙(2013)「성학십도를 모델로 한 청소년수련활동 프로그램 개발」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용기 역(2011)「교육의 도덕적 원리」교우사
최광묵(2008)「청소년수련시설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탁지현(2012)「창의적 체험활동과 청소년수련시설의 연계·활성화 방안 연구」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홈페이지
황선중(2012)「청소년 수련활동 만족수준과 효과에 대한 연구」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가격2,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5.05.14
  • 저작시기201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76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