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의 원인 (청년실업의 정의와 현황, 국제 간 비교, 고학력에 따른 3D업종 취업기피, 문이과 대졸자 비율과 일자리비율 불일치, 청년실업 해소방안)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년실업의 원인 (청년실업의 정의와 현황, 국제 간 비교, 고학력에 따른 3D업종 취업기피, 문이과 대졸자 비율과 일자리비율 불일치, 청년실업 해소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청년실업의 정의와 현황·············1
 2. 청년실업의 국제 간 비교 ············2

Ⅱ. 본론
  1. 고학력에 따른 3D업종 취업기피
  1) 노동시장의 이분화 (대기업 VS 중소기업 및 3D업종)··· 2
  2) 대한민국 취업 현황 ···············4  
   ⑴ 취업 : 수요 < 공급 → 실업문제 ·········4
   ⑵ 3D : 수요 > 공급 → 노동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인력난 ·5
  3) 원인
   ⑴ 미스매치·················· 6
   ⑵ 고학력자 증가 ················7
   ⑶ 경력직 채용선호 경향 ·············8

 2. 문이과 대졸자 비율과 일자리비율 불일치
  1) 현황  이공계생 : 수요 < 공급 → 이공계생 취업난····9
  2) 원인·····················10
   ⑴ 문-이과 졸업자 비율 ·············10
   ⑵ 문-이과별 취업분야·············· 11
   ⑶ 일자리 비율 서비스직 증가 & 생산직 감소 ····· 12

Ⅲ. 결론
 1. 청년실업 해소방안
  1) 이공계생을 위한 역량개발형 일자리 창출······ 13
  2) 대기업 선호현상 완화 ············· 13
  3) 미스매치, 경력직 선호현상 해소 ········· 14
  4) 청년취업 지원서비스 강화············ 14

본문내용

것을 알고 있다. 따라서 기술이 무엇인지를 아는 이공계 출신이 CEO 및 기업의 주요 요직에 앉아 있다.
그리고 이공계 출신이 상대적으로 보수수준이 낮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물론 전공에 따라 사회에서 종사하는 분야가 다른 점에 영향을 받을 수 있겠지만 업종별 초임을 보면 이공계 인력이 많은 업종이 상대적으로 작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비록 초임은 적더라도 경력이 쌓임에 따라 소득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아져 생애 소득이 높아진다면 별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실제로 일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생애소득도 높은 수준에 이르지 못하는 실정이다. 소위 과학기술인력 1명이 1만명을 먹어 살린다는 지식기반사회의 도래에 최소한 과학기술인력의 소득이 주로 암기 위주로 공부하여 고소득을 올리는 변호사나 의사그룹 못지않아야 할 것이다.
출처: 한국경제신문, 대기업 신입사원 비율
그러나 다른 시각도 있다. 한국고용정보원의 정태영·이기엽 연구원의 연구결과(2005)에서는 단순히 취업여부에 관한 분석에서는 지방 이공계 학생들의 다른 졸업생들에 비해 현저하게 저조한 성과를 나타냈지만, 대기업 취업의 경우에는 서울 비이공계와 지방 캠퍼스 출신의 대기업 취업확률은 비슷했으나, 서울 이공계 출신일 경우 그 확률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2) 원인
⑴ 문-이과 졸업자 비율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한 2006년 대졸자 직업 이동 경로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중 전문대학 졸업자의 경우 출신 정공 분포를 보면 공학계열 35.8%, 사회계열 24%, 예체능계열 14.8%였으며, 대학교 졸업자는 공학계열 28.8%, 사회계열 26.1%, 자연계열 14.1%의 순이었다. 이는 2005년 전체 졸업자의 전공계열 분포와 크게 다르지 않다.
인문계열
사회계열
교육계열
공학계열
자연계열
의약계열
예체능
계열
전문대학
5.3
23.9
4.5
32.6
7.5
9.4
16.8
대학교
14.6
26.0
5.4
25.8
13.6
4.6
9.9
출처: 2005년 교육통계연보
출처: 한국고용정보원, 2006년 대졸자 직업 이동 경로조사
⑵ 문-이과별 취업분야
대학 공학계열 졸업자들의 정규직 취업률이 의약계열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 취업률은 여느 계열보다 높았다.
교육인적자원부의 ‘2007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지난 4월1일 기준)를 보면, 대학 공학계열 졸업자의 정규직 취업률은 60.7%로, 대졸자의 정규직 평균 취업률 48.7%를 웃돌았다. 이는 사회적 수요를 예상해 입학 정원을 규제하는 특수목적형 계열인 의약계열 81.6% 다음으로 높은 것이며, 사회(47.1%), 자연(44.6%), 예체능(39.9%), 인문(38.6%), 교육(28.5%)계열이 뒤를 이었다.
공학계열 출신의 정규직 취업률은 2004년 53.8%, 2005년 58.4%, 2006년 59.8%로 최근 4년 동안 꾸준한 증가세를 나타냈다.
상시 노동자 300명 이상인 제조업체 등 대기업 2971곳에 취업한 비율도 공학계열 대졸자들이 23.9%로, 사회계열(16.4%), 자연계열(13.3%) 등 다른 계열에 견줘 가장 높았다. 대졸자들의 대기업 평균 취업률은 14.4%였다. 일반대학원을 나온 이들 가운데서도 공학계열의 정규직 취업률은 73.4%로, 의학계열(71.5%) 교육계열(63.6%) 등 다른 계열보다 가장 높았고, 대기업 취업률도 공학계열이 32.4%로 가장 높았다.
⑶ 일자리 비율 서비스직 증가 & 생산직 감소
경제의 서비스화 및 직종구성의 고도화로 학력별 불일치는 장기적으로 완화될 가능성이 있으나 고용의 질 양극화로 완화속도는 다소 느릴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별로는 고졸자 비중이 높은 제조업의 고용비중이 빠르게 하락하는 반면 대졸 취업자 비중이 높은 서비스업(금융업, 사업서비스, 사회 및 개인 서비스 등)의 성장세가 뚜렷하여 학력별 일자리 불일치를 완화하는 요인이다.
출처: 한국은행
Ⅲ. 결론
1. 청년실업 해소방안
1) 이공계생을 위한 역량개발형 일자리 창출
‘On the Research/Job Traning\'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다. 미래 산업을 위한 고급인력을 육성하는 것이다. 이공계 졸업생을 위한 출연연구소 연수제도를 도입하고 중소기업과의 제휴를 강화하다록 지원해야 한다. \'On the Reasearch/Job Trainging\'이란 대졸 혹은 석/박사들이 출연연구소 연수 및 인턴으로 활동하다 기업연구소로 채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중소기업 인력의 지식 및 기술 습득을 위해 협력업체 인력들의 대기업 위탁교육을 지원하는 방법도 있다.
2) 대기업 선호현상 완화
다양한 홍보채널로 중소기업 관련 정보를 발신, 대기업 선호현상을 완화시켜야한다.
정부, 지방자치단체, 학교는 청년층의 중소기업에 대한 구직활동을 지원, 중소기업들이 채용과정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한다. 중소기업 CEO와 대학생 간의 만남을 통해 정보의 비대칭성을 해소하고, 지역 및 산업별 중소기업 네트워크 구성 ‘찾아가는’캠퍼스 리쿠르팅과 컨소시엄 형태의 취업박람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지역별로 중소기업들이 협력하여 “중소기업 인력개발원”등을 설립하는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겠다.
3) 미스매치, 경력직 선호현상 해소
중소기업 경력 가산점 제도를 도입해야한다. 중소기업 일자리의 수요와 공급간 미스매치를 해소하기 위해 인센티브를 확충해야하고, 일부 취업 준비생을 흡수해야한다. 중기청, 중진공, 지방 상공회의소 등 중소기업과 연관된 공공부문 인력채용 시 중소기업 경력에 대한 가산점 부여를 검토해야 한다. 현재 9급 공무원 채용시 각종 자격증에 대해 0.5~3%의 가산점을 부여하고 있으며 숙려닌력의 이탈 등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수혜자의 요건과 대상기업을 명확히 설정해야 할 것이다.
4) 청년취업 지원서비스 강화
학교의 취업지원 서비스 기능과 직업교육을 강화해야한다. 학교-기업, 지역사회-직업서비스 기관의 커리어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인데 통계청 조사에 의하면 졸업 및 중퇴 청년층의 주도니 취업경로가 ‘연고에 의한 취업’이라고 한다. 학력을 이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는 것이다.
  • 가격6,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5.06.05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21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