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문화통합 南北文化統合] 남북한 문화통합의 방향(남북문화 공동체형성을 위한 문화인식전환, 통일문화와 문화통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남북문화통합 南北文化統合] 남북한 문화통합의 방향(남북문화 공동체형성을 위한 문화인식전환, 통일문화와 문화통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남북한 문화통합의 방향

I. 남북문화 공동체 형성을 위한 문화 인식의 전환

II. 통일문화와 문화통합

1. 통일문화의 개념
2. 남북한 문화통합의 방향
 1) 전통문화의 계승, 발전
 2) 공동체 문화의 재조명
 3) 민족주의의 정립

본문내용

으로 통일문화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첫째, 전통문화에 대한 긍지를 회복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한 긍지는
역사에 대한 인식에 의해서 뒷받침되어야 한다. 즉 역사에 대한 그릇된 시각과
왜곡된 이해를 바로잡음으로써 전통문화를 정당하게 평가하면서 역사와 전통에
대한 국민의 내면적 긍지를 북돋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전통문화를 재발견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된다. 그것은 전통문화를 재
현 복원한다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통일문화가 지향해야 할 방향은 전
통에의 복귀가 아니라 전통을 바탕으로 하는 전향적인 발전이다.
셋째, 전통문화를 회복한다는 것이 결코 외래문화의 수용을 배격하는 문화적
폐쇄주의를 함의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문화의 발전을 위해서
는 내생적인 요인과 외생적인 요인을 다 같이 필요로 한다. 우리의 문화적 정체
성을 바탕으로 외래문화를 능동적으로 그리고 선별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중요
하다.
넷째, 전통문화의 정치적 이용을 배제해야 한다. 남북한은 체제경쟁에서 정치
적 정통성을 주장하기 위해 각기 전통문화를 강조한 경향이 있다. 또한 권력의
독점을 강화하기 위해 전통적인 가부장적 권위주의를 이용하기도 했다.
다섯째, 남북한은 전통문화 속에서 탈이념적인 문화요소를 찾아 내어 공통의
문화로서 발전시킴으로써 민족동질성을 추구해 나가야 한다. 남북한에서 한민
족 고유의 전통문화가 정치 사회적 이유로 각기 변형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경우에도 "민족의 전통문화에는 민족의 문화심성에 깊이 뿌리박고 있는
문화소가 있다. "고 할 수 있다.
2. 공동체 문화의 재조명
현대사회는 사회관계의 비인격화와 개인의 소외화의 위기를 맞고 있다. 이러한
현대사회의 위기를 공동체적 관계의 재추구를 통하여 극복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 친족 공동체와 지역 공동체를 중심으로 하던 전통적인 공동
체문8)를 재발견하고 재해석하여 새로운 사회구조에 응할 수 있는 새로운 공
동체 문화를 선도적으로 발전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공동체 의식 가운데 현재까지도 남한과 북한에서 공히 구조적 원리의 하나로
서 우리의 일상적인 삶을 지배하고 있는 것은 가족을 중심으로 하는 연고주의적
집합주의일 것이다. 연고주의는 그것이 지닌 배타성 비합리성 파쟁성 등으로
인하여 숱한 비난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연고주의가 하
나의 사회 문화적 규범으로서 그 생명력이 유지 강화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급격하고 전면적인 사회 변화과정 속에서 사람들이 과거의 농촌 공동체적 질서
아래서 누렸던 안정감과 정체성을 연고주의적 집단의식을 통해서나마 되찾아
보고자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만약 연고주의적 사회조직이 이처럼 이익 추구성을 억제하고, 감정
및 의사소통체계로서 작용할 수 있다면 앞으로 사회의 비인격화 내지 소외화를
제어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 집단들이 친목단체
의 성격을 벗어나서 공익을 위한 봉사기능까지 담당할 수 있게 된다면, 그 때 연
고주의는 사회적 분열과 파쟁의 원천이라는 역기능 대신에 시민적 연대와 통합
이라는 순기능을 행사할 것이다.
3. 민족주의의 정립
통일문화는 무엇보다도 민족적 정통성과 이에 근거한 민족주의를 주요 요소로
삼아야 한다. 남북한 양 체제에서 민족주의는 1940년 중반기 이래 체제의 이질
화를 통해서 각기 민족주의의 본질적 가치에서 이탈된 '변형 민족주의'의 성격
으로 나아갔다.
오히려 전통문화와 근대문화의 대립을 조장시키는 문화적 민화의 종속성을
보 주었다. 이러한 성격의 민족주의는 민족성원의 통합이나 전체 민족의 발전
과는 직접 연관이 적은 지배세력의 공고화와 민족분단을 고정시키는 결과를 초
래하게 되었다. 한국의 민족주의는 역사상 민족전체의 통합이나 발전을 위한 것
이라기보다는 특정 분파를 전제로 하는 분열의 성격을 강하게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미래지향적인 통합의 이념으로 전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설정해야 한다.
한국의 민족주의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내용을 포괄해야 한다. 첫째, 민족주의
는 새로운 가치 정향과 공동의 신념체계를 제공함으로써 이념과 계급을 초월한
사회적 가치의 통합을 지향해야 한다. 둘째, 민족주의는 민족문화와 전통성에 의
거하여 민족의 공통기반을 재구성함으로써 사회구성원들에게 민족적 정체성을
부여하여야 한다. 셋째, 민족주의는 정치사회의 현실적인 정책적 기반으로 활용
될 수 있어야 한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5.06.21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39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