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당뇨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당뇨병의 정의
2) 분류
3) 병태생리 및 증상 ․ 증후
4) 건강사정
5) 당뇨병의 합병증
6) 당뇨병의 치료

본문내용

~ 1시간 후
운 동 량 : 한 번에 30분 ~ 45분, 1주에 3 ~ 5번
강 도 : 등에 땀이 촉촉히 밸 정도
팔다리를 활발히 움직이는 것이 가장 좋은 운동이다.
빠르게 걷기, 달리기, 등산, 줄넘기, 수영, 계단오르기, 테니스, 자전거 타기, 체조 등 유산소 운동이 좋다.
※ 주의 사항
- 당뇨병의 만성 합병증이 있는 환자는 담당의사와 상의하여 운동량을 결정한다.
- 공복 시 혈당이 250mg/dl이상일 경우에는 운동을 피하고 혈당이 어느 정도 조절된 후에 운동을 시작한다.
- 인슐린 주사를 맞는 환자는 저혈당에 빠질 위험이 있으므로 조심하여야 한다.
운동 시에는 저혈당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탕이나 과자 등을 휴대하도록 하며, 본인이 당뇨병이 있다는 것을 알릴 수 있는 카드나 당뇨병 수첩같은 것을 꼭 휴대하도록 한다.
- 운동 전에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여 탈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며 너무 더운 날에 운동을 하는 것은 피하도록 한다.
- 발의 감각에 이상이 있는 환자는 발에 상처를 주지 않도록 달리는 운동을 피하고 걷기, 수영, 자전거 타기 같은 것을 택하도록 한다.
- 혈압이 높은 환자나 증식성 망막증이 있는 환자는 한꺼번에 많은 힘을 쓰는 역도, 머리를 아래로 하는 체위가 필요한 요가 같은 운동을 피하도록 한다.
평소에 운동을 하지 않던 당뇨병 환자가 운동을 처음 시작할 때는 산보나 맨손체조 같은 간단한 운동을 하루 10 ~30분 정도로 서서히 시작하고, 매주 조금씩 운동량을 늘려가야 한다.
(3) 약물요법 : 경구 혈당강하제, 인슐린 요법
제1형 당뇨병은 인슐린을 반드시 써야 하지만,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과 경구 혈당강하제를 병행 혹은 단독 사용한다.
① 경구혈당강하제
종 류
작용기전
복용시간
약이름
설포닐 요소계
췌장베타세포를 자극하여 인슐린 분비를 촉진, 분비된 인슐린의 작용을 증강
식사30분전
다오닐 등
비구아나이드계
간에서 당생성을 억제하고 관에서 포도당 흡수를 방해
식사 후 즉시
글루코파지 등
알파글루코시다제 억제제
장에서 당질섭취를 줄이거나 흡수를 느리게 함
식사와 함께 (식사 도중에)
글루코바이베이슨
글리타론계
말초 근육에서 인슐린 감수성 증가
식전
아반디아 엑토스
② 인슐린 요법
* 인슐린의 작용
인슐린제제
pen인슐린
시작시간
최대효과
지속시간
초속효성
15분
1시간
2 ~ 4시간
속효성
노란색
30분
2 ~ 5시간
5 ~ 8시간
중간형
연두색
1 ~ 3시간
6 ~ 12시간
16 ~ 24시간
혼합형
고동색
30분
7 ~ 12시간
16 ~ 24시간
* 개봉한 인슐린은 30℃가 넘지 않는 실내에서는 그냥 보관해도 큰 문제는 없다.
개봉하지 않은 인슐린은 냉장고의 계란 놓는 곳에 보관한다.
♣ 인슐린 주사 방법
* 주사부위 - 복부가 흡수율이 가장 빠르다.
인슐린의 흡수율은 복부 > 상완부 > 대퇴상부외측 > 둔부(엉덩이) 순으로 복부 흡수율이 가장 빠르므로 복부 주사를 권한다.
또한 지방 증식 부위나 위축 부위는 흡수 속도가 느리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주사 부위를 옮겨 사용하도록 한다.
* 주사 부위 순환법
배의 주사부위는 배꼽 주위 5cm 바깥쪽 전체를 사용하고 주사부위는 최소한 2cm 간격을 두고 주사합니다. 이와 같이 자리를 옮겨 사용하면 인슐린이 일정하게 흡수되어 혈당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 마사지 - 주사를 놓고 문지르지 않는다.
마사지는 인슐린의 작용과 흡수를 더욱 빠르게 하므로 주사 맞은 부위는 문지르지 않도록 한다. 만약 주사 후 혈액 또는 맑은 액이 보이면 문지르지 말고 5~8초 동안 살짝 눌러준다.
* 흡연 - 혈액순환을 저하시켜 인슐린의 흡수율을 지연시키므로 금연하도록 한다.
* 인슐린 주사를 안 아프게 놓으려면
① 상온의 인슐린을 주사합니다. 냉장고에 보관했던 인슐린은 주사를 놓기 15분 전에 미리 꺼내 놓습니다. 차가운 인슐린은 통증을 더 유발시킨다.
② 인슐린 주사 전 주사기 안의 공기 방울을 없앤다.
인슐린 주사 시 공기가 들어가면 주사가 더 아플 수 있다.
③ 주사부위를 소독하기 위해 사용한 알코올이 완전히 마른 다음 주사한다.
알코올이 피부 속으로 들어가면 아프다.
④ 주사할 부위의 근육의 긴장을 풀고 이완시킨 후 주사한다.
근육이 이완되지 않으면 더 아프다.
⑤ 주사할 때 피부를 빨리 찌른다.
⑥ 주사 바늘을 넣을 때나 뺄 때 바늘의 방향을 바꾸지 않도록 한다.
만약 바늘의 방향을 바꾸면 피부와 조직에 손상을 일으켜 더 아플 수 있다.
(4) 췌장이식술
당뇨병의 종류 중 제1형인 소아형 당뇨병은 인슐린이 분비되지 않아 인슐린 요법이 계속 필요하며, 인슐린의 치료에도 불구하고 신부전, 망막병변, 신경병변 등의 합병증이 수반되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췌장이식수술이 시행된다.
① 췌장이식 대상자
췌장이식의 대상자는 인슐린 의존형(제1형) 당뇨병 환자가 주가 되며, 이러한 경우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췌장 - 신장 동시이식 : 당뇨병과 신부전이 동반된 경우
췌장단독이식 :
당뇨병에서 인슐린의 치료에도 불구하고 혈당조절이 잘 안되는 환자
당뇨병의 합병증이 수술 후의 부작용보다 중하거나 중함이 예상되는 환자
초기의 신장병변, 진행성 망막변화, 신경변화가 있는 환자
② 췌장이식 기증자
췌장이식은 뇌사자로부터의 전체췌장이식과 생체로부터의 부분췌장이식 모두 가능하며, 췌장의 도세포를 추출하여 혈관으로 주입하는 췌장도세포이식 방법도 연구중에 있다. 생체기증자의 경우에는 혈액형과 조직적합성검사 등이 시행되며, 뇌사기증자의 경우는 기증장기에 당뇨병이 있거나 추장에 직접 외상을 받은 경우 이외에는 모두 기증 대상이 되나 주요 세균에 대한 감염, 암 등이 있는 경우에는 기증자에서 제외된다.
③ 췌장이식 절차
생체이식
① 기증자와 수혜자가 함께 검사 (일반외과 외래)
② 이식가능여부 확인 후 입원
③ 입원 후 정밀검사 시행 (정밀검사에서 이상 발견 시에는 수술 취소)
④ 정해진 수술 스케줄에 따라 수술
뇌사자로부터의 이식
① 수혜자에서 이식에 필요한 기본검사 (일반외과 외래)
② 장기이식센터에 대상자로 등록
③ 뇌사자 발생 시 필요한 검사시행
④ 검사결과 확인 후 입원, 수술
  • 가격1,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5.06.30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52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