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상담및치료 4공통) 한국의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를 정리한 뒤, 한국 가족의 특성에 근거해서 앞으로의 발전 과제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상담및치료 4공통) 한국의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를 정리한 뒤, 한국 가족의 특성에 근거해서 앞으로의 발전 과제에 대해서 서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가족상담치료의 발달사
1) 태동기 및 생성기 (1900년대)
2) 1940년대 이전
3) 1950년대 : 가족연구에서 가족치료로 성장
4) 1960년대 : 전문영역으로서의 가족치료
5) 1970년대 : 가족치료 기술의 혁신적 개발
6) 1980년대 : 탈근대주의와 구성주의의 영향
7) 1990년대 : 사회구성주의, 여권주의, 다문화주의의 영향

2. 한국 가족치료의 발달사
1) 태동기 및 생성기 (1900-1940년)
2) 가족연구에서 가족치료로 성장 (1940-1950년)
3) 전문영역으로서의 가족치료 (1960년대)
4) 가족치료기술의 혁신적 개발 (1970년대)
5) 탈근대주의와 구성주의 (1980년대)
6) 현재 (1990년대-현재)

3. 가족상담치료의 발전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치료, J. Haley의 전략적 가족치료, M. Sevini-Palazzoli의 역설과 대항역설, 순환적 질문걸기법, 밀라노파 가족치료형성 및 F. Pittman의 가족 위기 치료가 형성 되였다.
5) 탈근대주의와 구성주의 (1980년대)
C. A Whitaker에 의한 상징, 체험적 가족치료와 W. R. C,A Whitaker의 상징, 체험적 가족치료, Beavers의 시스테믹 부부 치료, L. Hoffman의 진화적 시스템으로서의 가족, 몰포스타시스, 몰포제너시스1)에 이어 P. Dell의 가족정합작용, 공진화, 상보적 코히어런스, S. de Shazer의 양안시적 변화 이론, 단기 가족치료(1982년), B. F. Keeney의 구성주의적 가족치료, 즉흥 치료에 이어 W. C. Nicols & C. A. Everett의 통합적 시스테믹 가족치료
6) 현재 (1990년대-현재)
사회구성주의, 이야기치료는, 해결 중심 치료 모델, 여권주의의 다문화주의
3. 가족상담치료의 발전과제
(1) 가족치료자는 가족을 만난다. 가족집단과의 최초의 만남은 가족치료 전반에 걸친 가족치료자와 가족이 상호 탐색하는 첫단계이다. 평가하는 전 과정에는 가족간의 상호작용과 순서에 관해 더 알고 민감해지려는 목적으로 탐색활동을 하는 것은 물론 가족구성원간의 관계를 직접 관찰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 더군다나 가족집단 면접은 가족치료자가 가족원 하나하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각 가족원은 개인 성격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가족구성원과의 관계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족치료자가 전가족을 만나보겠다고 결정하려면 치료자 자신은 물론, 가족에 민감하여야 하며 전가족을 함께 치료하는 목적과 가치에 관해서 이야기해야 한다.
(2) 시간의 구성과 진행 가족치료를 시작할 때부터 가족치료기간, 만나는 빈도, 면접에 누구누구를 참여시킬 것인지, 만약에 가족원 한두 명이 치료시간에 안 왔을 때 무엇을 할 것인지, 어떤 치료형식이 허용되는지, 집과 사무실 중 어디에서 면접을 할 것인지, 휴가가 되면 치료는 어떻게 할 것인지를 가족치료자는 처음부터 명확히 규명해놓는 것이 필요하다. 가족원은 직접 가족치료가 어떻게 시작되고, 가족이 기대하는 목적이 무엇이고, 어떻게 목표가 달성되는가에 관한 공개적인 토론을 함으로써 능동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3) 가족치료자의 역할 치료자는 가정의 배경 및 일반성, 특수성에 비추어 전가족에게 관심을 갖는다. 동시에 치료자는 각 사람이 치료자가 그를 한 가치있는 인간으로서 관심을 갖고 있다고 느끼게끔 가족 각 사람에게 반응해야 한다. 또한 치료자는 치료시간과 마찬가지로 치료시간과 치료시간 사이에 일어나는 가족의 일상생활면이나 어떤 결정을 내리는 다양한 과정을 관찰함으로써 가족을 도울 수 있다.
(4) 역전이 반응 가족치료자는 그가 가족의 구조에 관여함에 대한 가족의 저항으로 거부당하는 느낌을 가질 수 있고, 또한 그가 무엇을 할 것인가를 결정하거나 예상하기 전에 가족에 갑자기 밀어닥치는 적의에 찬 상호작용이나 혼란 속에 무기력하게 말려들 수 있다. 실제로 가족치료 과정에서 역전이 반응을 조종하기가 쉽지 않다. 가족의 목표 달성을 돕는데 있어서 초조감이나 치료가 끝날까봐 두려워하는 모든 감정은 전이와 역전이 반응면에서 고찰되어야 한다. 이때 가족치료자는 자신의 약점을 잘 아는 것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규수, 의료사회사업론, 형설출판사, 1991.
김유숙, 가족치료, 학지사, 2008.
송성자, 가족과 가족치료, 법문사, 2002.
송성자 외, 가족치료, 시그마프레스, 2004.
이영실 외, 가족치료, 양서원, 2011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5.09.19
  • 저작시기201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19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