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복지법의 15가지 장애유형별로 일상생활 속에서의 장애인에 대한 기본예절을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애인복지법의 15가지 장애유형별로 일상생활 속에서의 장애인에 대한 기본예절을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장애인의 15가지 종류 및 기준(장애인복지법)
2. 15가지 장애유형별로 일상생활 속에서의 장애인에 대한 기본예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본예절
(1) 정신지체를 바보 또는 정신박약이라고 놀리고, 나이에 상관없이 반말을 하는데 그들의 인격을 존중해 주어야 한다.
(2) 정신지체장애인이 옆에 오면 피하는데 그런 일이 없도록 하고 무슨 도움이 필요한지 살피면서 보살펴줍시다
(3) 뇌성마비로 언어장애가 있고 온몸을 흔든다고 지능이 낮은 것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뇌성마비의 지능지수는 정상이다.
(4) 뇌성마비장애인들이 비틀거리고 걸을 때 부축해주면 오히려 불편을 주게 된다.
(5) 뇌성마비 장애인에게 음료수를 권할 때는 빨대를 꽂아서 내 놓는 것이 좋다.
(6) 다운증후군이란 그 내용에 대해 모르면 누구랑 똑같이 생겼네 하면서 신기해하는데, 다운증후군은 생김새가 비슷하다는 것을 알아둔다.
(7) 척수장애인들은 소변이나 대변을 실수할 수가 있습니다. 그런 실수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야 한다.
(8) 중도장애인에게 사고 경위에 대해 꼬치꼬치 묻는 것은 실례가 된다.
Ⅲ. 결론
장애인복지법에서는15가지의 장애유형를 분류하고 있는데 장애인은 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를 말한다. 일상생활에서 이런 장애인들에 대한기본예절은 장애인은 나와 다르다는 비장애인들의 생각부터 버려야 한다에서 시작한다고 할 수 있다. 장애인은 비장애인과 조금 다른 방법으로 세상을 살아가고 있을 뿐이다. 더불어 살아가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 장애인들에 대한 기본예절을 지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Ⅳ. 참고문헌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이승기, 윤상용, 서동명 저, 장애인복지론, 신정, 2016
정일교 저, 장애인복지론, 양성원, 2016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6.11.15
  • 저작시기201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30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