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관점에서 본 서울시 도시농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속가능한 관점에서 본 서울시 도시농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II.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2
1. 지속가능한 발전의 이론적 배경 2
가. 지속가능한 발전의 정의 및 내용 3
나. 지속가능한 발전의 국내 현황 3
2. 선행연구검토 4

III. 사례분석 – 서울시의 도시농업사업 5
1. 사업의 취지 및 내용 5
2. 지속가능한 발전 관점에서의 서울시 도시농업 사업 8
가. 경제적 측면 8
나. 환경적 측면 9
다. 사회적 측면 9

IV. 평가 10
1. 서울시 도시농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적 한계 10
가. 경제적 측면 10
나. 환경적 측면 11
다. 사회적 측면 11
2. 서울시 도시농업의 개선방안 12
가. 경제적 측면 12
나. 환경적 측면 13
다. 사회적 측면 14

V. 결론 14
● 참고문헌

본문내용

5, 세계와 도시, vol3, p.14.
또한 도시농업을 통해 재배된 작물의 안전성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안전한 먹거리 확보’가 도시농업의 목적 중 하나인 반면 아직 작물의 오염 정도를 측정한 연구 결과가 부족하므로 연구가 시급하다. 특히 우리나라는 이웃 국가인 중국의 영향으로 매년 봄마다 황사를 겪고 있으므로 시기별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질소산화물을 비롯한 여러 도시의 대기 오염물질이 비료 역할을 해서 특정 작물의 경우 더 잘 자랄 수 있게 도와준다는 의견도 있지만 먹거리의 안전성을 위해서 일정 높이 이상의 옥상텃밭이나 도시 외곽의 교통량이 적은 지역에서 노지텃밭을 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하지만 대기오염 때문에 도시농업을 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보다는 생활권에서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도시의 공기를 정화하는 방안으로 정책을 펼쳐야 할 것이다.
사회적 측면
시민참여 활성화를 위해서는 각종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우수사례를 발굴하여 텃밭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작성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교육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장기적으로는 텃밭을 기반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시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주제별 창의적 프로그램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오충현 외, 전게서, p146
말기 환자, 노숙인, 장애인, 각종 중독자를 위한 병원 내 치유 및 자활을 위한 텃밭 프로그램, 취업 취약계층 베이비붐 세대를 대상으로 도시농부학교 내 커리큘럼 및 독립된 귀농학교 프로그램, 자치구별 텃밭자치회를 대상으로 두레 농사와 기부 농사, 텃밭 문화활동 프로그램 등이 있다.
시민참여와 관련해 영국 얼로트먼트 가든을 소개하고자 한다. 영국은 일찍부터 시민농원의 개념인 얼로트먼트 가든(Allotment Garden)을 도시구획 안에 설치하였다. 영국에는 다양한 형태의 도시농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영국 브리스톨과 뉴캐슬, 런던 등지에서는 임대형 텃밭인 얼로트먼트가, 주로 저소득계층 거주지역에는 유휴지를 이용한 공동체 활성화 프로그램인 커뮤니티 정원(Community Garden)이, 그리고 가축을 포함한 텃밭의 요소가 커피숍이나 공방과 결합한 도시농장(city farm) 등 이 있다. 시민들은 이 얼로트먼트를 임대 받기 위해 몇 년씩 대기하고 있을 만큼 인기가 대단하다. 우리나라도 단순히 시민의 여가를 보내기 위한 도시농업이 아니라 커피숍과 공방이 결합한 형태처럼 자영업자들도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
결론
지금까지 지속가능한 발전과 도시농업의 개념 및 현황을 알아보고 지속가능한 발전의 관점에서 서울시 도시농업을 평가했다. 지속가능한 발전은 양적 성장에 초점이 맞춰있던 20C와 달리 질적인 성장 및 지속성에 초점을 맞춘 21C에 나타난 자연스러운 움직임이다. 경제적 성장만을 바라보고 달려온 지난 날로 인해 사람들은 경쟁으로 인한 불안감을 느끼고, 이웃도 모르고 살만큼 공동체가 붕괴되었다. 또한 잦은 개발로 인해 환경 또한 파괴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시농업은 생명의 소중함을 알고, 인간의 존엄성을 깨닫게 하여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환경을 보전하는 등의 효과로 삭막한 도시인 서울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서울시의 도시농업은 지속가능한 발전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서울시의 도시농업은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명목 하에 2012년부터 시행되었지만 아직까지 이를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한 연구는 없다. 다만 도시농업의 효과를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측면에서 알아보았을 뿐이었다. 또한 도시농업의 현황을 모아둔 자료인 ‘서울시 도시농업 마스터플랜’에 도시농부의 수, 도시농업의 일자리 창출수, 예산,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의 효과, 로컬푸드의 생산량 등 양적 자료가 나와 있으나 주로 경제적인 효과에 초점을 맞췄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현황을 파악하지 못해 추정에 그치는 자료도 존재한다. 따라서 정확한 도시농업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시농업은 영국의 얼로트먼트 가든과 일본의 시민농원, 독일의 클라인가르텐 등 선례가 많기 때문에 다른 해외의 사례를 참고하여 보완 및 개선해 나가야 한다.
지속가능한 발전과 같이 어떠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 개념을 위한 사업을 구상할 때에는 그 가치가 사라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지속가능한 발전은 단순히 친환경적으로 성장해 나가는 발전이 아니라 현재 세대와 미래 세대를 잇는 구체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양적인 성장에 집중하여 성과 중심적으로 도시농업을 평가하게 된다면 지속가능한 발전의 진정한 가치를 알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환경과 사회분야와 관련된 공동체 의식 향상과 도농교류와 같은 질적인 효과도 실태조사를 통해 자료를 파악할 수 있게 하되 그 가치를 담을 수 있도록 새로운 개발 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평가 방법 또한 지속가능한 개발의 가치를 담을 수 있을 때 진정으로 서울시의 도시농업이 지속가능한 발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
논문
권태은(2014), 「서울시 도시농업의 발달과 현황」,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pp.108-112.
박진욱 외(2013), 「제도적 측면에서 살펴본 도시농업의 현황과 과제」, 농촌계획, vol 19, pp.61-73.
이창우(2015), 「도시농업의 트렌드 변화와 서울시의 전략」, 세계와 도시, vol3, p.14.
이창우(2012), 「발전의 패러다임 변화와 지속가능한 발전」, 한겨레경제연구소 콜로키엄, p.6.
희망제작소(2013), 「국가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The Hope Report 13호, pp.5-8.
2. 정부 보고서 및 연구 보고서
서울연구원(2015), ‘서울특별시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p21.
서울연구원(2012), 「서울시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 pp.36-52.
오충현 외(2013), 「서울시 도시농업 마스터플랜 보고서」,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p.35-36.
전국귀농운동본부(2008), 「생활농업으로서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 연구」, p.109.
  • 가격2,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6.11.30
  • 저작시기201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40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