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기업 환경론] 뉴질랜드에 대하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제 기업 환경론] 뉴질랜드에 대하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뉴질랜드 개요

1) 일반사항과 정치, 경제 현황 및 우리나라와의 관계
2) 뉴질랜드 대표 수식어 키위의 의미
3) 스포츠문화 및 생활환경
4) 뉴질랜드 기업 소개 - 제스프리(Zespri)


2. 비즈니스 환경 및 문화

1) 시장의 특성

2) 비즈니스 문화

3. 한국 기업의 뉴질랜드 진출

1) 뉴질랜드 투자환경
2) 한국 진출 기업사례
-대주건설, 현대 로템, 삼성전자, 엘지 전자


Ⅲ. 결론

본문내용

전이 교민사회에 고용창출 효과 기대
㉣ 2007년 삼성전자의 전 제품을 제시할 브랜드 샵을 Newmarket에 개장할 준비
- 삼성전자의 움직임이 타 한국 기업의 뉴질랜드 시장진출을 선도하는 역할 기대
“삼성 콜 센터, 2007년 8월 17일 오픈” -소비자들의 구매결정에 가장 중요한 요소
㉮ 제품 관련 문의와 AS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가?
- 이러한 소비자들의 고민을 해결해 줄 콜 센터 오픈을 한 달 가량 앞둔 삼성전자 뉴질 랜드 지점은 준비 중일때도 밀려드는 고객들의 문의에 바쁨.
- 고객 서비스의 중요성을 절감: 교민들을 위한 한국인 상담원을 배치함.
㉯ 제품에 관한 전반적인 문의와 A/S상담을 제공할 콜센터 전화번호는
0800 SAMSUNG이며, Mairangi BAY에 위치한 삼성 뉴질랜드 사옥 G층에 Contact Centre를 오픈하고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 주력
뉴질랜드의 오클랜드 삼성 브랜드 인지도
- 뉴질랜드 오클랜드에 거주하는 한국이민자의 인터뷰내용에서 발췌함 (08년 4월 인터뷰)
㉠ 1998년) 그 당시 뉴질랜드는 자체 전자제품을 생산하는 회사가 거의 없었다.
Fisher & Pakle 이라는 작은 전자 회사가 겨우 텔레비전과 냉장고 마이크로웨이브 만드 는 정도였다. 즉 세계 가전제품이 다 모여 있는 시장이라는 말이다.
98년 뉴질랜드의 전자제품 가게에 가면 95%가 일제 소니를 비롯 파나소닉과 유럽쪽의 필립스 등이 자리 잡고 있었고 매장 맨 안쪽에 눈에 잘 띄지도 않는 자리에 삼성 마이크로웨이브와 청소기 정도가 팔리고 있었다.
㉡ 2008년) 오클랜드 전자매장 중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는 Npel&Leeming 이라는 매장에 가면 텔레비전 파트의 중심을 자리 잡고 있는 텔레비전이 삼성이다. 그뿐만이 아니라 매장 곳곳에 삼성의 제품들이 자리 잡고 있다. 더군다나 가격 면에서 오히려 일제와 비슷하거나 어떤 제품들은 동급 사양중에서도 일제보다 더 비싼 가격에 팔리고 있다.
이곳 핸드폰 가게 역시 삼성 제품이 가장 고가에 제일 많이 팔리고 있는 실정이다.
(4) LG전자
엘지전자의 뉴질랜드 시장 진출로 키위 전자업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뉴질랜드 헤럴드는 2007년7월 27일 ‘Electronic shock as Korean firms move here'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LG전자가 호주에서의 성공 노하우를 바탕으로 뉴질랜드에 진출, 국내 전자업계에 큰 파장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상했다.
LG 전자를 주목하는 이유
엘지는 호주에서 플라즈마 TV, LCD TV, 홈 시어터, DVD 녹화기, 전자레인지, 세탁기, 양문 냉장고 등 7개 부분에서 가전제품(시장 점유율 1위)으로 선정됐다.
뉴질랜드 전자업계가 엘지를 주목하는 이유는 바로 이 때문. 올해로 호주 진출 10년째를 맞는 엘지가 호주에서의 성공 노하우를 토대로 문화적으로 유사한 뉴질랜드 시장에서 태풍의 핵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또 2006년 뉴질랜드에 진출한 Apple社가 총판 체제를 유지하는 것과 달리 엘지는 지점 체제로 탈바꿈했다는 점도 공격적인 경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진출과정 및 계획
㉠ 지난 20년동안 웰링턴에 있는 L.M Rankine(사장 박태양)社를 통해 총판 체제로 뉴질랜 드에 공급. 박씨가 유통사업을 접으면서 뉴질랜드 지점이 자연스럽게 설립됨.
㉠ LG전자는 효과적인 현지시장 공략을 위해 엘지전자 뉴질랜드 지점(지점장 천성호)을 2007년 8월 1일 East Tamaki에 오픈.
㉢ 2007년 8월 22일 키위 유통업체 관계자등 150여명을 초청, 지점 오픈기념 제품 설명회 를 개최함.
- 천지점장은 “플라즈마TV, LCD TV, 홈 시어터 등 최신 기종을 선보여 유통업체 관계자 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면서 “Fisher &Pakel 이 강세를 보이고 있는 냉장고, 세탁 기를 제외하고 나머지 제품에서 유통업체 관계자들로 경쟁력을 인정받았다”고 설명함.
㉣ 호주와 같은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기 위해서는 3년 이상 걸릴 것으로 봄.
- 삼성보다 1년 늦은 후발주자인 만큼 겸허하게 시장에 접근 하여, 품질과 서비스를 최우선으로 삼아 뉴질랜드에 한국 브랜드의 이미지 향상에 기여하겠다는 포부를 보임.
Ⅱ. 결론
뉴질랜드는 1860년대 이후 이주 정착민의 사회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경제공황, 마오리족 부착 운동 등 여러 변화를 토대로 국가적 발전을 이룩하며 최근 들어 많은 이민자를 받아들임으로 인구가 불어나는 추세이고, 남섬에서 북섬으로 인구 이동이 심화되었으며, 때문에 오클랜드 주변의 도시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나라이다.
또한, 남태평양과 유럽 문화가 혼합된 독특한 문화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삶의 목표가 높게 표준화와 두터운 중산층이 유연한 생활리듬 (충분한 휴식과 자기발전에 대한 투자시간이 높음) 이 생활화 되어 있기에 비즈니스 거래 시 이런 점에 유의해야 한다.
한편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수준의 투명하고 편리한 비즈니스 환경을 가지고 있는 뉴질랜드는 투자절차 간소화와 외환 규제가 없는 등의 개방적인 외국인 투자 유치 정책을 앞장 서 폄에 따라 충분히 매력 있는 해외시장으로 손꼽을 수 있다.
그렇기에 앞으로 우리 기업들은 현지 시장을 확보한다는 일차원적 목적보다는 우리나라의 단점을 보완하며 전체적으로 양국이 Win-Win 하는 보완적, 동반자적인 관계에서의 투자진출만이 글로벌 기업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참고 문헌>
삼성 경제 연구소 http://www.seri.org/
대한 무역투자 진흥공사 http://www.kotra.or.kr/
주한 뉴질랜드 대사관 http://www.nzembassy.com/
매일경제 신문 http://www.mk.co.kr/
한국 철도 신문
http://cafe.daum.net/eastofeden
http:// cafe.daum.net/go2nz/npto/46 뉴질랜드 뉴스&뉴스편
http://mixsh.com/detail/552178 : 한미FTA 뉴스 동영상
현대자동차 뉴질랜드편 CF, 뉴질랜드 럭비팀 동영상
http://blog.naver.com/kybkang9/100024704459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4.12.10
  • 저작시기201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32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