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문화 소통의 장- 한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아시아 문화 소통의 장- 한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을 걷는 일본인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는 것과 설이나 추석등 명절에만 입는 특수한 옷으로 여겨지는 한복과는 대조적이라 할 수 있다. 한복의 세계화를 논하기에 앞서 ‘안으로부터의 세계화’를 생각해 봐야 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우리의 것인 한복을 세계적인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내가 먼저 한복에 대한 거부감을 버리고 아껴야 할 것이다. 한복의 고름과 동정에 대해서 묻는 외국인들에게 최소한 고름을 메는 방법이나 동정, 노리개 등은 설명 할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또한 장점은 살리고 불편한 점은 개선하는 것이 바로 현대화다. 요즘은 한복에 양복의 장점을 적절히 가미하는 것이 트렌드라고 한다. 특유의 아름다움은 유지하면서도 보온성이나 내구성 등을 꼼꼼하게 고려한 생활한복이 등장하고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한복은 불편한 옷’이라는 선입견을 버리고, 일단 나부터 먼저 한복을 입어보는 것이 한복의 세계화를 향한 가장 빠른 길일 것이다.
※ 참고문헌
동아시아의 문화 선택 한류. 백원담. 펜타그램
한류전문가 강철근의 한류이야기. 강철근. 이채
동아시아의 한류. 신윤환 외. 전예원
중국은 왜 한류를 수용하나. 장수현 외. 학고방
naver 백과사전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8.03.25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08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