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엔터테인먼트 기업핵심역량과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및 SM엔터테인먼트 해외진출전략분석과 향후전략제시 - SM 마케팅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M엔터테인먼트 기업핵심역량과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및 SM엔터테인먼트 해외진출전략분석과 향후전략제시 - SM 마케팅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SM엔터테인먼트 기업소개

2. SM엔터테인먼트 기업핵심역량

3. SM엔터테인먼트 경영전략

4. SM엔터테인먼트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5. SM엔터테인먼트 STP분석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6. SM엔터테인먼트 마케팅 4P전략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7. 해외진출 마케팅전략 분석
(1) 일본시장 마케팅전략
(2) 중국시장 마케팅전략
(3) 미국시장 마케팅전략

8. 향후전략제시
- 4차산업혁명 맞춤전략

본문내용

있는 ‘요시모토 흥업’과의 합작으로 이루어졌으며 SM엔터테인먼트는 55%의 지분을 투자하였다.
SM엔터테인먼트는 오디션이나 직접캐스팅을 통해 가수를 발굴하고 트레이닝시키며 이들을 매니지먼트하여 AVEX에게 준비된 가수를 제공한다. 그리고 AVEX는 SM엔터테인먼트를 통해 제공받은 가수의 일본데뷔를 위하여 일본시장에서 통할만한 일본어로 된 노래를 작곡하고 음반을 제작하며 음반발매 후 홍보와 마케팅과정을 전적으로 맡고 관리한다. 이처럼 SM엔터테인먼트는 가수를 제공해주고 그에 대한 로열티, 그리고 음반판매량에 따른 런닝 개런티 등을 받는다. 즉, SM 엔터테인먼트는 AVEX와 '라이센스 협정'을 체결하여 SM 엔터테인먼트에서 라이센스를 취득하여 발매되는 음반은 일본에서 발매할 때 AVEX 연예인으로 소속되어 AVEX 제휴사를 통해 자유롭게 음반을 발매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AVEX에 소속된 연예인은 한국에서 앨범을 발매할 때 SM 엔터테인먼트 연예인으로 소속되어 자유롭게 음반을 발매할 수 있게 하고 있다.
SM Japan의 설립으로 인하여 SM엔터테인먼트는 일본에서의 한국음반 발매, 한국가수의 일본 활동 매니지먼트, SM엔터테인먼트의 신인 한,일 동시 데뷔, 일본음악 수입개방에 따른 일본음악 정보수집 등의 활동을 더욱 원활히 할 수 있게 되었다. SM엔터테인먼트는 SM Japan을 아시아 음반시장 진출의 전진기지로 활용할 계획을 수립하였다.
(2) 중국시장 마케팅전략
SM엔터테인먼트는 2001년 1월 SM Japan을 설립하여 일본시장에 본격 진출하였고, 일본시장 내에서 BOA의 성공 신화를 낳은 후 중국 시장의 본격적인 진출을 위하여 SM China를 설립하였다. SM엔터테인먼트는 중국의 최대 음반회사인 차이나 레코드-중국창편총공사와 '라이센스 계약'을 해서 보아의 2002년 8월 해외진출스페셜 앨범인 ‘Don't Start Now'와 'No.1'의 발매와 ’My Name'과 ‘My Player' 중국어 버전을 발매했다. 그리고 중국태생의 가수를 직접 발굴하여 철저한 트레이닝 시스템에 따라 매니지먼트를 함으로써 2002년부터 BOA 급으로 성장을 위해서 장리인을 캐스팅하고 트레이닝을 하며 홍콩 매니지먼트사와 협력하여 중국 전역을 대상으로 한 신인가수 오디션 프로그램 제작 구상을 하였다.
(3) 미국시장 마케팅전략
SM 엔터테인먼트가 미국 LA에 SMTOWN 뮤지엄(가칭)등을 포함한 복합 엔터테인먼트 공간을 구축, 미국 현지 시장 공략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SM은 미국 LA의 코리아타운 중심부인 6가와 옥스퍼드 코너에 위치한 건물을 매입하고 박물관을 비롯, 한식당과 엔터테인먼트 공간 등 다양한 콘텐츠 사업을 펼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국의 현지인들이 한류를 경험할 수 있는 장소를 미국의 헐리우드에 설립하는 부분에 대해 오랜 시간 검토해 왔으나, 케이팝(K-POP) 열풍을 기반으로 한류가 더욱 성장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한류에 관심 있는 미국 현지인들과 관광객들을 LA 코리아 타운 내로 유입시키는 것이 더 의미 있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SM은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미국 현지 법인 SM Entertainment USA를 통해 직접 건물을 매입했으며, 뮤지엄 형태로의 활용은 물론 신개념의 한식당, 엔터테인먼트 공간, 홀로그램 등 다양한 콘텐츠 사업 전개 및 상업 활동이 가능한 장소를 선정, 허가절차 및 에스크로우(ESCROW)를 최근 완료하여 정식으로 미국 현지법인의 소유가 되었다. LA 코리아 타운의 중심부에 위치한 이 건물은 리모델링을 거쳐, 한국의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경험할 수 있는 뮤지엄을 포함한 복합 엔터테인먼트 공간의 형태로 오픈할 예정이어서, 미주 지역 한류의 메카로 성장할 전망이다. 미국 LA코리아 타운 내 ‘SMTOWN 뮤지엄 및 복합 엔터테인먼트 공간’ 건립은 한류의 새로운 미래를 여는 첫 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SMTOWN 뮤지엄’을 다양하고 우수한 한류 콘텐츠들을 미국에서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랜드마크와 같은 장소로 발전시켜 한류를 확산시키는 데 더욱 기여할 것이며, 홀로그램등 SM의 새로운 콘텐츠를 선보이는 장소로도 활용할 계획이라고 설립 의미를 밝혔다.
8. 향후전략제시
- 4차산업혁명 맞춤전략

Online/Mobile Content
Retail
Fashion/Merchandising
Food & Beverage
Karaoke
Video Content Production
Global Concert
Entertainment Space
Mobile Application(Everysing, Vyrl)
AI(ObEN)
Music Platform
SM엔터테인먼트의 핵심 성공 전략은 ‘사업 다각화’다. 사람들에겐 아티스트로만 많이 알려져 있는 회사지만 그 누구보다 사업 다각화에 공격적이었고 그것을 기반으로 글로벌 진출에 성공했다. SM엔터테인먼트는 아티스트라는 기본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끊임없이 콘텐츠 레퍼런스로 삼아 그 다음을 모색하고자 했다. 사업 다각화가 모두 성공만 한 것은 아니다. 망하기도 했다. 온라인·모바일 콘텐츠를 만들었던 판당고코리아는 SM으로 인수합병됐고, 2000년에 시작한 리테일 사업은 여전히 큰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SM엔터테인먼트는 사업다각화에 뒷걸음은 치지 않는다. 다각화만이 콘텐츠를 밀어낼 수 있는 구조를 만들 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SM엔터테인먼트에는 인공지능 사업팀이 있다. 3D 인공지능 아바타 회사인 오벤(ObEN)에도 투자를 한다. 이밖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뮤직 플랫폼 사업도 꾸리고 있다. 생뚱맞아 보일 수 있지만 임성희 그룹장은 “이것이 바로 SM엔터테인먼트가 지난 20년 동안 30%씩 성장할 수 있는 배경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각화만이 콘텐츠를 밀어낼 수 있는 구조를 만들 거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세계는 4차산업에 집중하고 있다. Sm 역시 4차산업에 주의를 기울이고 잇다. 다양한 사업을 통해서 그 관심을 증명하고 있는데 앞으로도 4차산업에 맞춘 다양한 사업으로 콘텐츠를 다각화하여 sm의 성장을 도모하여야 한다.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9.01.06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60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