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C 기업분석과 문화분석및 SPC 기업전략 사례분석과 SPC 향후전략수립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PC 기업분석과 문화분석및 SPC 기업전략 사례분석과 SPC 향후전략수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SPC그룹 기업소개

2. SPC 기업문화와 철학

3. SPC 기업 경쟁우위 분석

4. SPC그룹 주요계열사 소개

5. SPC 기업전략 연구
(1) 윤리경영과 사회공헌활동
(2) 생산유통전략
(3) 브랜드전략

6. SPC 미래발전방향 수립

본문내용

, 건강스무디 잠바주스 등의 브랜드를 통해미래 성장동력을 육성하고 있으며, 유기농 문 레스토랑 퀸스파크, 이탈리안 레스토랑 라그릴리아, 와인전문점 더월드바인, 유러피안 캐주얼 레스토랑 팔러, 정통화덕피자 전문점 베라피자앤파스타 나폴리 등으로 외식사업 분야에도 적극적으로 진출,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습니다
5. SPC 기업전략 연구
(1) 윤리경영과 사회공헌활동
SPC그룹은 푸드뱅크의 가장 큰 기부자로서 다양한 나눔과 상생, 윤리, 환경경영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단순히 식품을 나누는 것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사람의 온기와 재능을 나누는 일에 앞장서고 있다.
SPC행복한나눔차’ 를 활용하여 임직원들이 직접 매일 소외지역을 찾아가 제품을 전달하는 활동을 실천함으로써 우리 이웃이 사람의 온기와 정을 느낄 수 있도록 힘쓰고 있으며, 청소년 제과제빵직업교육프로그램, 장애인의 취업을 지원하는 ‘SPC행복한 베이커리&카페’ 등 소외계층의 자립 기반을 구축하는 지속가능한 사회공헌활동 활동을 꾸준히 개발ㆍ운영하고 있다.
① 식품기부활동
매일 ‘SPC행복한나눔차’가 전국의 소외된 이웃을 직접 찾아가 신선하고 맛있는 제품을 전달하고 있으며, ‘SPC Happy Birthday Party’ 사업으로 매월 60개소의 지역아동센터에 생일파티용 케이크를 지원하고 있다.
② 교육지원사업
장애인의 제과제빵직업교육 및 취업을 위해 ‘SPC&Soul행복한 베이커리 교실’ 을 운영중에 있으며, 제빵사의 꿈을 가진 청소년들이 꿈을 이룰 수 있도록 ‘SPC 내꿈은 파티시에 아카데미’ 과정을 통해 수준높은 직업교육을 제공하고 SPC그룹 및 계열사에 취업연계를 하고 있다.
③ 자원봉사활동
SPC그룹은 사업장 인근 18개 자원봉사기관과 협약을 맺고 상생협력관계를 지속하고 있으며, 매월 ‘SPC Happy Friday’ 행사를 통해 지역아동센터 아이들에게 케이크 만들기 교실을
열어주고 있다.
④ 장학/펀드사업
SPC그룹 각 브랜드 매장에서 아르바이트 중인 대학생의 학업을 응원하기 위해 매 학기 ‘SPC 행복한장학금’ 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SPC임직원들은 ‘SPC 행복한 펀드’ 에 매달 급여의 일부를 기부하여 장애어린이들의 재활과 치료에 힘을 보태고 있다.
⑤ 장애가족 힐링프로그램
장애인 뿐만 아니라 그 가족의 정서안정을 돕기 위해 매년 2회 ‘행복한 가족여행’ 사업을 통해 장애어린이와 그 가족의 제주도여행을 지원하고 있으며, 푸르메재단, 파스쿠찌, 파리바게뜨와 함께 장애어린이 가족이 함께하는 케이크교실, 커피교실을 진행하고 있다.
⑥ 어린이 베이커리 경영대회
미래에 파티시에를 꿈꾸는 아동/청소년에게 솜씨를 뽐낼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매년 어린이날에 ‘내 꿈은 행복한 파티시에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2) 생산유통전략
파리크라상은 SPC그룹에 속해있어 식품소재에 대한 강력한 공급을 받고 있고 있다. SPC그룹은 밀다원(곡물 제분), 에그팜(전란 생산), 알프스식품(육류가공) 등 식품소재회사를 인수하면서 SPC그룹 내 수요에 대한 공급 및 외부판매를 강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SPC그룹의 구매, 유통 부문에서도 이를 담당하는 삼립지에프에스가 있어 강력한 유통망까지 가지고 있다.
(3) 브랜드전략
SPC 브랜드 중에서도 ‘고급’ 분위기를 만들어내야 하는 파스쿠찌, 파리크라상. 이들은 모두 직영으로 운영하며, 점포 수 확대도 철저히 제어한다. 파리크라상에는 웬만해선 1500원 이하의 빵이 없고, 샌드위치도 2000원대가 즐비한 여타 빵집과 달리 5000원대가 주종이다. 파스타 같은 주방요리는 1만원대다. 파스쿠찌 역시 커피와 샌드위치를 함께 먹으면 대개 만원이 넘게 나온다. 10, 20대라 해도 구매력이 어느 정도는 되는 집단이 타깃이다. 이 두 브랜드 점포는 55개 중 52개를 서울, 경기의 중산층 거주지에 몰아놨다. 파스쿠찌는 강남지역 지하철 역세권과 오피스타운에 몰려 있고, 파리크라상은 반포, 이촌동, 도곡동 등 고급 아파트촌에만 배치했다. 도곡동 타워팰리스 맞은편 파리크라상은 발레파킹까지 해주기로 유명하다. 랜드마크 점포들의 ‘물 관리’는 브랜드 전체의 부가가치를 높여준다.
6. SPC 미래발전방향 수립
우선 첫 번째로 커피제품의 질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오늘날 도넛 전문점에서는 커피 전문점처럼 커피와 도넛을 함께 팔고 있습니다. 다른 도넛 전문점과 차별화를 두기 위해서는 도넛도 중요하지만 커피 제품에 보다 많은 투자를 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커피는 미래의 주력상품이기 때문입니다. 도넛 전문점이지만 커피 전문점과 같은 커피 원두의 처리와 커피 제품의 맛 유지에 신경을 써 소비자들에게 도넛 전문점이지만 커피에 대한 믿음을 주어야 합니다. 커피의 품질이 향상된다면 향후 경쟁사와의 경쟁에서 보다 높은 자리를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두 번째로 일정 점포를 고급화해야 합니다. 현재 국내에 도넛 전문점으로는 던킨도넛츠, 미스터 도넛, 크리스피 크림 도넛이 있습니다. 던킨도넛츠가 국내 도넛 시장에서 약 70%정도 차지하고 있지만 이 자리를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일정 점포를 더 투자하여 고급화를 시키는 것입니다. 일정 점포에서는 메뉴에도 차별화를 두고 다른 일반 점포와는 다르게 넓은 매장면적과 도넛 전문점이라는 컨셉을 유지하면서 고급스러운 인테리어로 고객들에게 접근해야 합니다. 현재 젊은층의 고객들이 많은 도넛 전문점은 메뉴에 차별화를 둔 건강식, 웰빙식의 도넛을 개발하여 보다 폭 넓은 고객층을 가질 수 있게 해야 합니다.
세 번째로 고객입장에 서서 더 좋은 서비스로 최고의 상품을 제공해야 합니다. 지난 모 프로그램에서 파리바게뜨에서 유통기한이 지난 재료를 사용한 일이 밝혀졌습니다. 보통 도넛의 유통기한은 하루라고 명시되어 있으나 제품 구입 시에 이와 같은 정보를 쉽게 알 수 없습니다. 고객입장에 서서 제품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현재 일부 던킨 도너츠 매장에서는 도넛의 선택에 있어 고객이 고르면 점원이 직접 꺼내주는 서비스를 실시하여 제품위생상태를 최적상태로 유지하려는 노력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서비스를 점차적으로 늘려 고객들의 신뢰와 브랜드의 충성도를 잡아야 합니다.
  • 가격3,9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9.04.24
  • 저작시기201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66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