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디네이션 ) 주얼리코디네이션을 활용한 유색보석시장 활성화 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코디네이션 ) 주얼리코디네이션을 활용한 유색보석시장 활성화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유색 보석의 종류
(1) 비취(Jade)
(2) 오팔(Opal)
(3) 진주(Pearl)
(4) 토파즈(Topaz)
(5) 이외의 유색 보석
2) 유색 보석의 국내·외 시장 규모
(1) 유색 보석의 국내 시장 규모
(2) 유색 보석의 해외 시장 규모
3) 해외 5대 주얼리 브랜드의 유색 보석 관련 마케팅 전략 및 주얼리 코디네이션 활용 방안
(1) 티파니(TIFFANY)
(2) 까르띠에(CARTIER)
(3) 불가리(BVLGARI)
(4) 반클리프&아펠(VanCleef & Arpels)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가 주로 클립이나 브로치 등의 장신구 위주의 주얼리에 유색 보석을 활용하였다면, 불가리는 선두주자의 주요 영역에서 벗어나 여성들이 가장 즐겨 착용하는 주얼리에 유색 보석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특히 불가리의 대표적인 유색 보석 기반 주얼리인 ‘메디터레니안 에덴 링’의 경우 금을 기반으로 한 반지에 다섯 종류의 서로 다른 유색 보석을 원형으로 배치해 마치 오색 찬란한 잎을 가진 꽃이 반지 위에 피어있는 듯한 디자인을 연출하였으며, 널리 사용되는 유색 보석인 자수정과 토파즈 뿐 아니라 희귀 유색 보석인 루펠라이트와 페리도트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소비자들의 구매욕을 적극적으로 높이고자 하였다. 기존의 브로치 및 클립을 기반으로 한 유색 보석 기반 주얼리의 경우 코디네이션에 있어 포인트로 활용 가능하였다면, 불가리에서 제작한 유색 보석 기반 주얼리는 일상 생활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데 그 강점이 있다. 이외에도 터키석과 자수정을 활용한 목걸이, 자수정과 황수정 및 페리도트를 기반으로 한 귀걸이 등이 불가리의 대표적인 유색 보석 기반 주얼리이다.
(4) 반클리프&아펠(VanCleef & Arpels)11)
반클리프&아펠은 업계에서 5위의 판매량을 자랑하는 주얼리 브랜드로, 앞서 언급한 주얼리 브랜드의 장점만을 차용하여 제작한 독창적이고 아름다운 유색 보석 기반 주얼리를 기반으로 소비자의 관심을 끄는 데 성공하였다. 이들은 까르띠에의 동물 기반 브로치를 넘어서는 다양한 종류의 새를 기반으로 희귀 유색 보석을 적극 활용한 브로치와 목걸이 등을 이용해 고차원적이고 독창적인 디자인의 주얼리를 제작하였다. 이외에도 네잎클로버를 형상화하는 독창적인 미스테리 세팅의 에메랄드를 기반으로 한 클립, 커다란 꽃과 작은 꽃이 조화를 이룬 꽃다발과 같은 형태의 사파이어를 기반으로 한 반지 등을 제작하였다. 이와 같은 주얼리 상품은 3대 주얼리 브랜드에서 본인이 추구하는 바를 얻지 못한 소비자의 취향을 적극 반영한 것으로, 반클리프&아펠은 이들의 적극적인 구매를 기반으로 매출 5위의 주얼리 브랜드로 성장하였다. 특히 해당 회사의 주얼리는 일상생활부터 독특한 포인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면으로 코디네이션에 활용 가능하다는 데 그 강점이 있다.
3. 결론
해외의 주얼리 회사가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과 일상 또는 특별한 날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유색 보석 기반 아이템을 활발하게 제작하여 판매량을 늘리고 있는 반면, 한국의 유색 보석 시장은 침체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국내의 유색 보석 브랜드는 대한민국 소비자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거나 시장에 대한 파악을 원활하게 진행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며 대부분의 디자인이 해외 유명 브랜드를 복제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해외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주얼리를 기반으로 한 코디네이션에 유색 보석을 적극 활용한다면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불러일으킬 수 있음과 동시에 이를 기반으로 한 유색 보석 시장의 활성화까지 도모할 수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국내의 주얼리 브랜드는 적극적으로 한국인의 정서와 수요에 맞는 적절한 디자인의 유색 보석 기반 주얼리를 디자인 할 수 있는 창의적인 주얼리 디자이너를 육성해야 하며, 유색 보석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기업 뿐 아니라 관련 정부 부처 또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4. 참고문헌
1) 주얼리 소비시장 분석을 통한 유색보석 활성화 방안 연구, 남경주 저, 한국귀금속보석학회지, 제 7권 3호, 2013
2) ‘비취’, 「미술대사전(용어편)」,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저, 한국사전연구사, 1998
3) ‘오팔’, 「패션전문자료사전」, 패션전문자료편찬위원회 저, 한국사전연구사, 1997
4) ‘진주’, 「패션전문자료사전」, 패션전문자료편찬위원회 저, 한국사전연구사, 1997
5) ‘토파즈’, 「자연지리학사전」, 한국지리정보연구회 엮음, 한울아카데미, 2006
6) 명품 주얼리 브랜드 구축과 마케팅 관리전략 연구, 허순범 저,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7) 명품 브랜드의 유색 보석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이종오 저, 동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8) 티파니 홈페이지, http://www.tiffany.kr
9) 까르띠에 홈페이지, www.cartier.co.kr
10) 불가리 홈페이지, https://www.bulgari.com/ko
11) 반클리프 & 아펠 홈페이지, https://www.vancleefarpels.com/kr
  • 가격3,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12.19
  • 저작시기201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05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