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레포트) 세계 도시인구 증가가 초래하는 제반 문제점과 해결방안 및 우리나라의 고령화추세와 대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레포트) 세계 도시인구 증가가 초래하는 제반 문제점과 해결방안 및 우리나라의 고령화추세와 대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세계 도시인구 증가가 초래하는 제반, 문제점과 해결방안
인구증가란?
세계인구와 세계 도시인구
⊙문제점
⊙ 해결 방안

2. 우리나라의 고령화 추세와 대책
1) 우리나라의 고령화 추세
2) 요인과 대책
3) 결론

본문내용


2019년
2067년

유소년
노년

유소년
노년

유소년
노년
세 계
75.0
65.7
9.3
53.2
39.2
14.0
62.0
31.8
30.2
아프리카
90.1
84.1
6.0
78.7
72.5
6.2
55.5
43.2
12.2
아 시 아
79.6
72.9
6.7
47.7
35.0
12.7
62.9
26.5
36.4
유 럽
55.6
39.4
16.3
53.5
24.6
28.8
76.4
25.5
51.0
라틴아메리카
86.2
78.9
7.3
49.1
36.1
13.0
67.2
25.5
41.7
북아메리카
61.7
45.7
15.9
53.0
28.0
25.0
70.5
27.3
43.2
오세아니아
65.9
54.1
11.7
56.8
37.1
19.7
63.4
31.1
32.4
남 북 한
82.9
77.3
5.7
38.8
20.7
18.0
94.6
21.7
73.0
한 국
83.8
78.2
5.7
37.6
17.1
20.4
120.2
17.8
102.4
북 한
81.0
75.3
5.7
41.3
28.3
13.1
65.1
26.1
39.0
2) 요인과 대책
고령화의 요인으로는
(1) 출생률의 저하,
(2) 평균 수명의 신장을 들 수 있습니다.
출생률이 계속해서 감소함에 따라 젊은 층이 서서히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고령자 비율이 높아져 갑니다.
또한 사망률이 저하되어 결과적으로 평균 수명이 증가하면 고령자 인구도 증가하여 고령화가 진행됩니다. 고령화는 다산(多産) 다사(多死)의 시대에서 소산소사(小産小死)로의 변화라고 할 수 있으며, 인구 피라미드가 \'피라미드형\'에서 \'종형\'으로 더 나아가 \'항아리형\'으로 이행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급속한 저출산·고령화 현상은 산업 전반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며, 국가 전체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저출산은 장기적으로 산업 활동에 투입되는 노동력 부족과 소비 인구 감소에 따른 국내 시장 수요의 감소로 이어지게 되며 이러한 현상은 국가의 잠재적 경제 성장률을 하락시켜 국가 경쟁력을 약화시킵니다.
현재는 단순히 출생율이 줄어드는 것뿐만 아니라 총 출생아의 수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추세가 계속된다면 생산 인구의 감소와 경제 위축, 국가재정지출 증가 등의 문제가 심각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고령 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사회의 활력이 저하되고 소득을 벌 수 있는 인구에 비해 연금을 받으며 생활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높아져 사회 보장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세대 간 갈등과 같은 사회적인 문제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고령화 대책으로는
저출산. 고령화 현상에 따른 문제점의 해결은 무엇보다 적극적인 출산 장려 정책과 노인 복지 문제 해결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아이 낳기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적절한 출산 정책을 마련하고 가정과 지방자치단체, 사회가 함께 육아를 책임지는 사회로 변해야 합니다.
다시 말해, 보육 시설 확충, 출산비 지원, 육아 휴직 확대 및 자녀 교육비 지원 등을 통해 자녀를 낳고 키우는데 어려움이 없는 환경을 만들어줘야 합니다.
또한, 심각한 고령화가 이루어지기 전에 노인 부양부담을 경감하기 위해서 노인의 소득기회를 확충 시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고령화 사회를 대비하여 평생 교육, 재취업 기회 확대, 현 60세인 정년을 65세로 연장하는 등을 통해 노인들의 경제적 기반을 마련해주어야 합니다. 이와 더불어 건강하고 안정적인 노후 생활 보장을 위한 노인 복지 정책이나 노인 편의 시설과 실버산업 확대 등 고령화 사회에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사회 환경을 마련하는 것 역시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대응책들은 정부가 지원을 해주는 방식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즉, 세금부담이 커지게 될 것입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은 무엇보다 정부가 이러한 급속한 고령화 흐름에 맞춰 그에 맞는 환경을 조성해주는 시스템과, 법률을 도입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개개인이 고령화 시대의 적정 나이에 해당되기 전에 노후 준비를 철저히 하여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될 것입니다.
3) 결론
현재 우리나라는 심각한 저출산 상황이며 초 고령화 사회의 진입을 앞에 두고 있습니다. 요즘 언론에서도 거의 매일같이 보도할 정도로 심각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저출산 문제 해결과 그에 따른 생산연령 인구 증가, 고령화 사회에 해당되는 노인인구의 사회참여를 유도하게 하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개개인은 철저한 노후 준비를 하는 것이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가장 중요한 핵심이라 생각 합니다. 정부와 국민들 모두 노력해 앞으로 다가올 문제를 현명하게 해결해야 할 것입니다.
※ 출처 및 참고자료, 참고 사이트 ※
세계도시의 이해 원격수업 - 동영상 강의
유엔인구국 세계도시인구 증가추이
한겨례신문 2050년 세계인구 셋중 둘은 도시인
세계 자원연구소 세계 물부족 위험지도 https://www.wri.org/aqueduct
BBC뉴스 https://www.bbc.com/korean/news-41705102
[네이버 지식백과] 고령화 [ageing, aging, 高化] (21세기 정치학대사전, 정치학대사전편찬위원회)
[네이버 지식백과] 고령화사회 [Aging Society, 高齡化社會] (두산백과)
KBS뉴스 - 우리나라 총인구 5천163만 명…가파른 고령화
아시아경제 - 저출산고령화 여파…0~4세 영유아 인구 첫 200만명 미달
통계청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bSeq=&aSeq=377226&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earchInfo=&sTarget=title&sTxt=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PA002&conn_path=I2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81A21&conn_path=I2
  • 가격4,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0.03.19
  • 저작시기201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76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