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육아 개념 역사, 어린이집과 비교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동육아 개념 역사, 어린이집과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I. 공동육아의 개요 1
1. 공동육아의 개념 및 목적 1
2. 공동육아의 등장배경 2
3. 공동육아의 역사 3
1) 비제도화기: 제도 밖 실험 3
2) 반제도화기: 제도 곁 대안 모델 4
3) 제도화기: 제도 안 법제화 5
4. 공동육아의 조직 5
1) 공동육아연구회 5
2) 조합협의회 5
3) 교사협의회 6
4) 단위기관별 공동육아 조직구성 6

II. 공동육아의 내용 8
1. 공동육아 어린이집과 일반 어린이집 비교 8
1) 부모참여의 중요성 10
2) 교육의 자체로서의 아동: 아동관 10
3) 지역사회와의 연계 11
4) 교사의 역할: 교육의 주체 12

III. 조사자 분석 13
1) 공동육아의 장 단점 13
2) 이 조사를 통해 배운점

본문내용

1. 공동육아의 개념 및 목적
공동육아란 말 그대로 ‘아이들을 함께 키우자’라는 뜻으로 ‘우리 아이들’을 ‘함께’ 키우자 라는 의미 키우자는 뜻이다. 따라서 여기서 의미하는 ‘아이들’이란 내 아이를 맡기거나(탁아) 남의 아이를 보호시켜줄 때(보육)의 의미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함께 키우자라는 말에서 볼 수 있듯이 나뿐만 아니라 이웃, 지역사회, 국가 모두가 우리의 아이들을 함께 키워보자는 것을 뜻한다(정병호, 1994). 즉, 공동육아란 육아를 개별가정의 책임영역에서 국가와 사회의 책임영역으로 전환해야한다는 ‘사회적 육아’라는 개념으로 집약된다(황윤옥, 2008).
공동육아는 실체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돌봄을 공유하는 공동체를 지향한다. 공동육아에서는 아이들의 성장을 부모 뿐만 아니라 사회가 공동으로 책임져야하는 것으로 보고 부모는 물론 육아와 관련한 각종 사회조직과 집단이 육아의 책임 담당자로서 우리 사회의 미래 성원을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하게 양육하는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의미있게 본다(공동육아와 공동체교육). 즉, 공동육아는 공동체적 상황에서 공동체적 삶을 익히며 공동체적 사회를 만들어가는 능력을 중요시 여긴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20.04.29
  • 저작시기2017.4
  • 파일형식기타(docx)
  • 자료번호#11301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