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산과 견적 실무 가이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적산과 견적 실무 가이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구조 수량 산출 6가지 부재(기초/기둥/보/슬래브/옹벽/계단)
2. 부재가 만나는 부분(중첩부분)을 산출하는 방법
3. 기초의 산출
4. 슬래브 부재 산출
5. 옹벽 부재 산출
6. 보 부재 산출
7. 기둥 부재 산출
8. 계단 부재 산출

본문내용

×길이
마구리 거푸집 산출:층별로 전체 슬래브를 하나의 부재로 보아 외곽 슬래브 마구리 거푸집을 한번에 산출.
5. 옹벽 부재 산출
1)옹벽:길이×층고-개구부면적
2)기초, 슬래브와의 중첩 부위 공제
☞ 기초와 옹벽이 만나는 부분은 기초에서 산출, 옹벽과 슬래브가 만나는 부분은 슬래브에서 산출하므로, 옹벽 산출시 기초와 슬래브랑 만나는 부분을 공제한다.
3)개구부 공제 및 마구리 산출
☞ 마구리 거푸집 별도 산출. 개구부 보강 철근도 산출.
레미콘(체적㎥):옹벽길이m×층고(슬래브 두께 공제)m×옹벽두께m
거푸집(면적㎡):옹벽길이m×층고(슬래브 두께 공제)m×2(양면). 개구부가 있을 경우 개구부 수만큼 공제하고 개구부의 마구리 거푸집 추가 산출.
철근(길이m):가닥수×길이. In Bar, Out Bar. 폭 고정근, 보강근.
6. 보 부재의 산출
1)보:길이 산출
기둥 중심선 거리를 산출에 사용. 기둥과 만나는 부위는 기둥에서 산출하므로 보의 길이에서 공제. 이때 사용하는 길이를 보의 내폭 길이라고 한다.
2)기둥과 만나는 부위는 기둥에서 산출
철근은 기둥의 중심선까지 산출이 되어야 하지만 레미콘과 거푸집은 중첩되는 부분이 기둥에서 산출되므로 보의 중심선 길이에서 공제를 해야 한다.
3)슬래브와 만나는 부위는 슬래브에서 산출
슬래브와 만나는 부위는 슬래브에서 산출하므로 보에서 슬래브 두께만큼 공제한다. 보의 높이에서 슬래브 두께를 뺀 값이 보의 유효춤이다.
4)데크와 만나는 보 하부 별도 산출
보의 하부 거푸집은 슬래브에서 산출한다. 그러나 슬래브가 DECK라면 슬래브와 보의 거푸집 종류가 다르므로 보 하부의 거푸집을 다른 규격으로 슬래브와 분리하여 산출해 준다.
이때 보와 DECK슬래브가 만나는 부분을 5㎜ 정도 중첩되게 작업할 수 있어야 실제 수량을 산출하는 것이다.
◎ 보 부재 산출 방법
1)보의 길이:중심선 길이-기둥두께
☞ 보의 길이는 기둥에서 기둥간 중심길이로 적용. 그러나 중심선 길이는 철근의 길이에만 적용하고 레미콘, 거푸집의 수량은 중심선 길이에서 기둥 끝선까지를 공제한 길이로 산출. 이를 보의 내폭 길이라고 한다.
2)양단 기둥의 중심 길이
기둥 중심선에서 중심선까지의 거리가 철근의 길이.
3)슬래브의 두께
슬래브와 만나는 모든 부재는 슬래브에서 산출. 보에서 수량 산출할 때도 콘크리트와 거푸집은 슬래브 두께만큼 공제한다. 그러나 철근은 슬래브의 영향을 받지 않음.
4)DECK와 만날시 별도 산출
데크와 만나는 RC보는 데크거푸집과 재질이 달라 합판거푸집으로 별도 산출한다.
◎ 보 부재 산출식
1)레미콘=보폭길이m×보의 유효춤(보의 높이-슬래브 두께)m×내측길이(중심선길이-기둥두께)m로 체적 산출.
2)거푸집=보의 하부폭은 슬래브에서 산출하므로 보의 측면 유효춤 면적만큼만 산출.
보의 유효춤(보의 높이-슬래브 두께)m×내측길이(중심선길이-기둥두께)m×2(양면)
3)철근
주근은 상, 하부로 나누어 가닥수×길이 만큼 산출.
늑근은 가닥수×보둘레길이 만큼 전체 길이값으로 산출.
도면에 따라 수직, 수평으로 보조철근이 있으면 추가 산출.
7. 기둥 부재 산출
1)기둥의 개소 산출
종류별로 층별 개수를 정확히 산출. 층고가 다를 경우 높이 별로 개수를 다르게 산출.
2)중앙과 상하부 띠근 간격 상이할 수 있다.
3)기초, 보, 슬래브와의 중첩 부위
기둥과 기초가 만나면 기초에서 레미콘, 거푸집 산출.
기둥과 슬래브가 만나면 슬래브에서 레미콘, 거푸집 산출.
철근은 관통하므로 공제하지 않고 전체 층고 높이로 산출.
◎ 산출 주요 변수
1)개수 산출
층별로 파악. 층고가 상이할 경우 구분하여 파악.
2)기둥의 크기(가로×세로)
3)층고-슬래브 두께
슬래브 두께를 공제하는데 이는 슬래브에서 산출하기 때문이다.
기둥과 보와 만나는 부위는 기둥에서 산출.
◎ 기둥 산출 공식
1)레미콘(㎥)
☞ 가로길이m×세로길이m×높이(층고-슬래브두께)m
2)거푸집(㎡)
☞ 기둥의 둘레길이m×높이(층고-슬래브두께)m
3)철근(m)
주근:가닥수×길이
대근:가닥수×기둥 둘레길이
도면에 점선으로 표기된 보조 대근이 있으면 추가 산출.
8. 계단 부재 산출
1)계단:1/2 면적 산출
계단참은 슬래브와 동일하게 산출.
경사부분은 계단을 절반씩 정보를 입력하여 계산식을 통해 산출.
2)디딤판, 챌판 산출
경사부분은 디딤판과 챌판이 경사 슬래브 위에 얹혀 있는 구조.
3)계단의 폭 및 계단 단수의 산출
계단의 폭은 절반값을 말하며, 계단 단수는 건축도면의 계단 단면도에서 확인.
4)계단 거푸집 종류
경사거푸집은 챌판 부분에만 설치.
최근에는 알폼으로 전체 틀을 갖추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거푸집도 있다. 그러므로 거푸집의 특징에 맞게 산출.
5)마구리 거푸집:별도 산출 안함(옹벽에서 산출)
계단의 마구리 거푸집은 별도 산출하지 않는데 옹벽 거푸집을 산출할 때 계단과 붙은 마구리 부분을 공제하지 않기 때문.
◎ 계단의 부재 산출
1)계단참과 계단
계단참이라 불리는 수평부분은 슬래브와 동일하게 산출, 경사 부분은 계단 부분과 경사 슬래브 부분을 따로 계산하여 산출.
2)계단의 디딤판과 챌판의 값
경사 부분은 디딤판과 챌판이 경사 슬래브 위에 얹혀 있는 구조.
3)계단 폭의 1/2 산출
계단의 산출은 각층 평면에서 절반씩 산출.
평면상에서 하나의 계단실이지만 산출은 오름과 내림의 2개 부재로 나누어 산출.
4)계단 단수 값
계단의 단수는 건축도면의 계단 단면도에서 확인. 단수에 따라 챌판과 디딤판의 값으로 자재의 수량이 산출.
◎ 계단 부재 산출식
1)레미콘(㎥)
계단참 슬래브:가로길이m×세로길이m×계단두께m×2(상하부)
경사부분:가로길이m×할증율×세로길이m×슬래브 두께m
계단부분:디딤판폭m×챌판폭m×0.5×계단폭m×계단단수
2)거푸집(㎡)
슬래브 부분: 가로길이m×세로길이m
경사부분: 수량이 적고 큰 오차가 없어 15%의 할증률로 적용.
챌판의 면적: 챌판의 폭m×계단의 폭m×계단 단수.
- 참고문헌 -
현동명, 현장기술자를 위한 건축견적 이야기,e대한경제, 2022(2쇄)
강병두, 건축적산, 구미서관, 2020(4판)
최산호, 오정근, 임남기, 건축적산·견적학, 기문당, 2006(개정판)

키워드

적산,   견적,   내역,   시공,   공사비,   산출,   슬래브,   거푸집,   기둥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2.08.22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03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