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학4 식용작물학2 E형 보리와 밀의 재배특성을 설명하고 밀의 작부체계상 상대적 불리 요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농학4 식용작물학2 E형 보리와 밀의 재배특성을 설명하고 밀의 작부체계상 상대적 불리 요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1) 보리와 밀의 재배 특성
(2) 밀의 작부 체계상 상대적 불리 요인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에 농가에서는 두 작물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재배하게 되는데, 이는 보리와 밀이 서로의 경쟁 작물로써 작용하게 한다. 그러나 밀은 보리에 비하여 수확 시기가 늦다는 점에서 작부 체계상의 불리 요인을 가지고 있다.
2025년까지 밀의 자급율을 0%대에서 5%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재배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자급율의 확대를 위해서는 단순한 예산 책정과 목표 수립 뿐만이 아니라 작물의 재배 특성을 다각도에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문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밀의 주요 불리 요인이 쌀과 결합된 작부 체계의 한계에 있다면 다른 작물과의 작부 체계를 고려하고 이에 맞춘 구체적인 방안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그 외에도 품종 변경이나 파종법 변경 등을 고려해볼 수 있다.
지금까지의 내용을 바탕으로 보리와 밀의 재배 방식에 대해 한층 더 자세하게 이해하게 되었으며, 이 내용을 바탕으로 더욱 다양한 작물의 재배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도모할 수 있기를 바란다.
4. 참고문헌
- 농촌진흥청, 이달의 농업 기술, 보리·밀 봄파종은 적기에 해야 합니다.
https://www.rda.go.kr/middlePopOpenPopNongsaroDBView.do?no=1372&sj=보리·밀%20봄파종은%20적기에%20해야%20합니다.
- 농촌진흥청 공식 블로그, 부족한 농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법, ‘작부체계’
https://blog.naver.com/rda2448/223258928459
- 농촌진흥청 공식 블로그, 찬이슬 맺히는 한로, 밀, 보리 파종 적기!
https://blog.naver.com/rda2448/220828527741
- 농촌진흥청 공식 블로그, 가을 파종 놓친 보리, 밀, 봄에 심어도 OK!
https://blog.naver.com/rda2448/221806146822
- 농촌진흥청, 농업기술, 2015년 9월호,
http://www.rda.go.kr/board/board.do?boardId=pubctebook&prgId=syb_pubctebookEntry&menu_id=pun&currPage=3&dataNo=100000714407&mode=updateCnt
- 자급률 0.8%, 국수에 진심인 한국은 왜 밀농사를 외면했나, 이승용, MBC NEWS, 2022.05.22.,
https://imnews.imbc.com/news/2022/econo/article/6370948_35687.html
  • 가격3,6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4.03.15
  • 저작시기2024.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39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