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즈벨트의 대소 외교정책:2차 대전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루즈벨트의 대소관
(1) 30년대초 대소관

Ⅲ. 초기 대소 우호정책과 제2전선
(1) 제2전선의 쟁점
(2) 소련의 외교공세의 강화
(3) 전쟁 초기의 무기대여
1. 루즈벨트의 무기대여 구상

Ⅳ. 결론

본문내용

국의 원자재와 기계류가 수입되어 소련의 산업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게 되어 전쟁을 지속할 수 있었다. 개전(開戰)초기 루즈벨트의 대소 무기대여 정책은 국내에 고립주의가 아직도 강한 시점에서는 최선의 방책이었다. 역사가 헤링(George C. Herring)이 지적했듯이, 스탈린그라드에 대한 미국의 지원은 "제한된 공헌"(Limited contribution)으로 요약될 수 있다. 비록, 독일군의 진격을 멈추게 하기에는 늦게 도착되었지만 스탈린그라드 이후 소련군이 베를린으로 신속하게 진격하는데 커다란 공헌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미국과 영국은 '제2차 소비에트 의정서'에서 서명한 총량 400만톤보다 100만톤이 적은 300만톤을 선적하여 목표량의 75%를 선적하였으나, 이는 '제1차 소비에트 의정서'의 양보다 훨씬 많은 것이었다.
영.미 양국과 소련과의 동맹 관계가 단단하지 못한 상태에서 무기대여는 서방 연합국들과 소련을 연결해 주는 가장 중요한 연결고리가 되었다. 아직도 미군이 투입되지 않은 유럽 전선에서는 소련이 홀로 막강한 독군에 대항하여 싸우고 있었고, 이제 무기대여가 미국의 대소 정책의 핵심 사항이고, 전부라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미국은 무기대여를 통해서 소련에 우호적 태도를 보였고, 소련도 무기 대여의 수송 절차와 그 내용으로 미국의 의도를 저울질하는 잣대로 인식하였다.
Ⅳ. 결론
루즈벨트 대통령은 유럽전쟁이전부터 소련에 대한 전략-안보에 대한 잠재능력을 평가하고 있었다. 그는 미국사회의 소련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에도 불구하고 대통령 첫 취임 후 소련에 대한 승인을 서둘렀으며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나서는 미국인들의 고립주의적인 물결에도 불구하고 '무기대여법'을 통과시켰다. 이는 다른 나라에 대한 단순한 무기원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실리적인 내용속에는 소련이라는 목적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루즈벨트가 가지고 있었던 소련에 대한 이익은 소련이 영. 미 에게 요구한 제2전선의 개설문제로 1942년 5월 스탈린의 지시를 받은 몰로토프가 워싱턴에 방문하면서부터 나타나게 되었다. 루즈벨트는 제2전선에 관한 약속을 성급하게 약속하고 말았다. 그러나 미국의 戰時경제체제의 미비와 상륙정의 준비부족, 처칠과 영국참모부의 반대 등으로 1942년 제2전선의 개설은 그 실천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이는 영.미 연합국의 제2전선의 지연으로 인해 소련측은 서방측의 군사적 무능과 나약성을 폭로하게 되었고 그 뿐 아니라, 소련은 영. 미 양국과의 무기대여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에 서게 되었다. 또한 제2전선 개설의 연기는 소련의 어려운 입장을 이해하려했던 루즈벨트에게 더 큰 정치적, 심리적 영향을 미쳤다. 루즈벨트는 제2전선이 늦어지자, 약속을 지키지 못한 점에 개인적으로 스탈린에게 죄책감을 느꼈으며, 그의 이런 심리적 태도는 對蘇 有和政策이 추진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후 몰로토프의 외교공세는 무기대여의 증대, 효율적인 무기대여의 집행 및 선적, 기타 폴란드 문제에서 영. 미 양국의 외교적 양보 등 부수적인 외교적 성과를 달성했다. 결국 제2전선의 지연 때문에 어려운 상황속에 있었지만 소련은 대서방 외교에서 주도권을 확보하여 향후 전쟁의 중반기이후 영. 미와의 협상에서 강력한 발언권을 확보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루즈벨트의 소련에 대한 무조건적 무기대여의 시작은 전쟁 후반부에 와서는 소련재건에 관한 원조로 장차 미. 소간의 냉전체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또 하나의 중요한 협상의 구실점이 되었다. 미국은 전후에 닥쳐올지도 모르는 대공황의 여파를 극복하기 위해 소련이라는 거대한 시장에 매력을 느끼고 있었다. 루즈벨트 대통령의 전후세계의 대한 구상은 정치적으로는 4대 강국이 각각 배타적이지 않은 '개방된 세력권'을 가지면서 세계를 공동으로 관리하고 경제적으로 가능한 무차별적으로 자유무역을 추구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소련과 미국의 협상은 사실상 실패로 끝났다. 여기에는 미국 의회의 비판도 있었지만 전쟁초기당시 무기대여의 원조를 받아들인 것과는 다른 소련측의 태도가 바뀐 것도 작용하였다. 하나는 미국원조가 사회주의 종주국으로 자처하는 소련 국가체제의 건설에서 부담이 되었다는 점이다. 특히 스탈린이 동유럽의 지배를 강화하려는 상황에 부적합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스탈린은 미국의 대소원조를 통해서 전후 동유럽에 대한 소련의 지배력을 약화시키려는 미국측의 의중을 간파했을 것이라는 점이다.
결국 스탈린의 완강한 태도, 미의회의 반발, 행정부내에서 친소파의 상대적 입지 약화. 전쟁종반기의 불신 등 이러한 모든 것들로 미. 소간의 협상은 좌절되었다. 루즈벨트는 전쟁초기부터 전쟁후기까지 소련에 대한 우호적인 입장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이러한 그의 태도는 그가 지니고 있는 정치적인 지도력도 있겠지만 미국의 자국의 이익에 부합되는 행동으로 보여지고 이후 세계의 정세는 냉전으로 기울기 시작하였다.
※참고문헌※
이주천. 『루즈벨트의 친소정책』 서울: 신서원, 1998.
유현석. 『국제정세의 이해』.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1.
최영보 외8인 공저. 『미국현대외교사』. 서울: 비봉출판사, 1998.
이삼성. 『미래의 역사에서 미국은 희망인가』. 서울: 당대출판사, 1995.
김정배. 『미국과 냉전의 기원』. 서울: 혜안출판사, 2001.
안드레아스 힐그루버, 류제승 역 『국제정치와 전쟁전략』. 서울: 한울아카데미, 1996.
즈비그뉴 브레진스키, 김명섭 역 『거대한 체스판』. 서울: 삼인출판사, 1997.
조지프리드먼, 메르디스 프리드먼 공저, 권재상 역. 『전쟁의 미래』. 서울: 자작 , 2001
제임스 E, 도거더, 로버트L, 필츠그라드, 이수형 역.『미국외교정책사』.서울: 영진출판사, 1994
Joseph s. nye, jr. 양준희 역 『국제분쟁의 이해』.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0.
이주천, 『루즈벨트 행정부와 戰後 소련재건에 관한 對蘇援助』,전북사학,1999.
이주천, 『제 2戰線과 루즈벨트의 對蘇政策』,西洋史論, 58권. 서울:韓國西洋史學會,1998.
Henry Kissiuger, Diplomacy, simon & scaugter, 1994.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2.03.04
  • 저작시기20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16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