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농축과 오염물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생물농축 정의

◎ 생물농축 물질의 특성

◎생물농축 현상

◎ 생물농축 오염물질
― 농약류 : DDT, PCB, BHC
― 중금속류 : 카드뮴, 크롬, 수은, 납

본문내용

데서 결국 이런 병명을 얻게 되었다.
우리나라 : 경남 양산 공단내의 플라스틱 분쇄기등 제조업체인 현대 정밀 공업사 근로자 두명이 1990년 11월에 신종 직업병인 카드뮴중독으로 판명되어 요양승인을 받았다.
ㄴ.수은
미나마타병 : 일본의 미나마타병은 세계에서 가장 잘 알려져 있는 공해사 건이다. 일본 구주(九州) 미나마타(水保) 시에서 미나마타만으로 흐르는 하천의 상류에 신 일본질소 주식회사가 있었다. 이 공 장에서 배출된 메틸수은이 하천과 만의 해수중의 플랑크톤, 해조류에 흡수되어 먹이연쇄 과정을 통 해 메틸수은이 물고기의 체내에 농축되고 최종적으로 인간이 장기간 섭취한 후 수은중독 증상이 발 현된 것이다. 이 병의 증상으로 상지와 하지의 신경마비, 보행장애, 시신경장애, 언어장 애, 청각장애 등이 나타났고 심한 경우 정신착란과 경련을 유발하며, 수은에 중독된 어머니에서 태어난 아이들까 지도 선천적으로 이러한 증상들이 나타나 선천성 미나마타병이라 불리우게 되었다. 미나마타시에서 일하던 어떤 의사가 처음으로 신경 장해가 있는 환자들을 몇 명 발견하고 이 병의 원 인에 의문을 품고 연구하기 시작했고 이어 시 당국에서 관심 을 가지게 되었으며 결국은 구주 의과대학의 질병역 학 연구팀에서 9년 이상의 연구를 거쳐 공해병임을 확인하였다.
ㄷ. 납
한강과 중랑천에 서식하고 있는 붕어와 잉어의 납 오염도가 점점 심해져서, 이 곳에서 잡히는 물고 기는 더이상 식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이 붕어와 잉어의 중금속 오염 현황을 분기별로 조사한 결과 이들 어류의 납 오염 실태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붕어의 경우, 1/4분기에는 kg당 1.59-1.92mg으로 기준치인 kg당 2mg을 넘지 않았으나 2/4분기에는
2.18-2.46mg으로 기준치를 초과했으며, 3/4분기에는 3.1-3.7mg으로 오염도가 심각해졌다. 잉어도 1/4 분기에는 1.17-1.56mg으로 기준치를 넘지 않았으나 2/4분기에는 2.1-2.38mg으로 기준치를 넘어선 뒤 3/4분기에는 3.1-3.8mg으로 역시 오염도가 심해졌다. (한겨레신문, 1996. 11 .20)
◎ 참고 문헌
환경위생학총론 ― 홍상욱, 나규환, 이장훈, 황갑수 공저 47∼55, 62∼66p
http://www.ksdn.or.kr
http://bioedu.snu.ac.kr
http://www.youngran.hs.kr
두산세계대백과사전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03.07
  • 저작시기20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17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