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미디어에 관한 자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2. MPEG(Moving Pictures Experts Group)
3.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4. VRML(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
5. 멀티미디어의 활용
6. TCP/IP
7.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8. FTP(File Transfer Protocol)
9. PPP(Peer to Peer Protocol)
10. SLIP(Serial Line Internet Protocol)
11.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12. 통신프로토콜의 기능
13. URL과 도메인 네임
14. 라우터(Router)
15. 게이트웨이(Gateway)
16. 허브(Hub)
17. 모뎀(Modem)
18.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19. 케이블 모뎀
20. 플러그 인(Plug-in)
21. 스트리밍(Streaming)
22. 웹 브라우저의 기본 기능

본문내용

내 에는 개별적으로 빛을 내는 점들이 있다. 글자를 표현하기 위해 픽셀들의 위치를 기억하 고 확대 시에 계단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고,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간단하고 빠르다.
·벡터 폰트: 선과 선의 연결 좌표 및 선의 종류와 그에 따른 여러 가지 인수들을 기억한다. 확대시에도 깨끗한 글자를 유지할 수 있고, 레스터 폰트에 비해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 하기가 어렵고 계산이 필요하므로 시간이 많이 걸린다.
15. 디더링(Dithering)
백과 흑, 2가지 도트의 배분을 변화시켜 회색처럼 중간층 색조를 표현하는 것으로 그림의 회색 부분을 백과 흑이 불규칙하게 늘어선 점의 집합으로 디지털화한다. 팔레트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제한된 수의 색상을 사용해야 할 경우, 그 제한된 색상들을 섞어서 다양한 색상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16. 앤티앨리어싱(Antialiasing)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대부분의 모니터에서는 화면을 2차원 배열 형태의 점으로 구성하고 이러한 점들의 모습이 조합 되 화면에 표시되는 픽셀은 모두 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둥근 원을 그려도 깨끗하지 않고 테두리가 거칠어 보인다. 이 때문에 화면에 표시되는 색 가운데 원 모양과 접해 있는 주변의 모든 색들을 약간 혼합해서 색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드는 편법을 사용하는데, 이렇게 하면 저해상도에서도 상당히 부드러운 원으로 보이게 된다. 이러한 방법을 바로 앤티앨리어싱이라고 한다.
17. Modeling(모델링)
모델링은 만들고자하는 장면에 3차원 뼈대를 세우는 작업이다. 사출(extrution)이라 하여 원을 기둥으로 사각형을 육면체로 만드는 등 높이가 없는 평면에 높이를 주는 작업이라든지 곡면이나 생물체의 형상을 만들어 내는 과정 등을 말한다.
18. Rendering(렌더링)
렌더링은 모델링 된 물체의 모형에 명암과 색상을 입혀 사실감을 느낄 수 있도록 표현하는 방법 등으로 입체감을 부여하는 일련의 작업. 컴퓨터 그래픽에서 3차원으로 물체를 작성한 후에 표면에 질감을 주는 작업. 렌더링은 주로 곡면의 질감이나 텍스처 등을 나타내기 위해 쓰이므로 렌더링이 잘된 그래픽은 보다 정교한 표현이 가능하다.
19. JPEG와 GIF압축의 차이점
·JPEG: ISO(국제 표준화 기구)와 ITU-TSS(전기 통신 표준화 센터)에서 추진하고 있는 컬러 정지 화면의 부호화 방식의 표준화를 말하며 그래픽 이미지의 압축이나 해제 방식을 의미한다. 현재 거의 모든 그래픽 이미지의 포맷이 JPEG포맷을 따르고 있 으며 이미지의 손실이 거의 없이 고화질 압축이 가능하다.
·GIF: IBM호환 컴퓨터용 비트맵 컬러 그래픽 파일 형식. 컴퓨서브에서 비롯된 GIF는 스캔 사진 등의 고해상도 그래픽에 대해 효율적인 압축 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주로 전자 게시판 시스템에서 그래픽을 교환할 때 사용된다.
20. 래스터 방식과 벡터 방식의 파일 포맷의 종류
·래스터 방식
①PCX: 초창기에 사용되던 포맷. 16컬러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래픽에 대해서 어느 정도 의 압축 효과를 얻음.
②BMP: Microsoft사에서 지원하는 가장 단순한 파일 포맷, 비트맵 방식에서 가장 기본 이 되는 포맷.
③GIF: 팔레트를 사용하는 8비트 컬러만을 지원하는 압축 포맷.
④JPEG: 특별히 사진의 압축을 위해 고안된 파일 포맷.
·벡터 방식
①EPS: 프린터에 그래픽 정보를 보내기 위해 등장한 Postcript언어를 활용한 포맷.
②WMF: Window에서 사용하는 메타파일 방식으로 그리기 도구 프로그램에서 공통적으 로 지원하는 포맷.
③AI: 대부분 그래픽 소프트웨어가 이 포맷을 지원.
④CDR: Corel Draw에서 사용하는 파일 포맷.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2.04.30
  • 저작시기20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36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