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궁중 복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교수
유송옥(궁 중 복 식 연 구 원 장)의 글에서 발췌........

조선시대 궁중 복식에 관해서 쓴 글입니다....

조선왕조는 억불숭유 정책을 국시로 하여 유교가 조선왕조의 지도이념이 되었다. 따라서 복식문화도 예를 표현하고 그것을 지키기 위한 목적을 가장 중시하였으며, 그 외에 그 시대적인 미적 예술감각의 표현 등에 부응하여 500년간 변천되어 왔다.
조선왕조를 시대적으로 4기로 나누면 초기·중기·후기·말기로 나눌 수 있는데, 초기는 고려왕조의 복식을 계승하여 조선왕조 복식제도의 초석을 만든 시기이고, 중기는 초기에 완성된 경국대전에서 제정된 관복을 습용한 시기이며, 후기는 조선왕조의 중흥기로 민족적 특색을 나타내는 복식문화가 발전한 시기이고, 마지막으로 말기는 외국에 문호를 개방하기 시작하여 한·양복 혼용이 시작된 시기이다.

조선왕조는 신분제도가 엄격했던 사회였으므로 복식으로서 신분의 상·하와 존비·귀천을 나타내었다. 또한 전제군주국가였으므로 왕권은 절대통치권의 무제한 권력을 의미하였다. 따라서 왕실의 권력을 표현하는 복식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가장 중시되었다.
조선시대 궁중복식으로는 궁중가례복식, 궁중정재복식, 궁중책봉의례복식, 왕실능행복식 그리고 황제등극식복식이 있다.

1. 궁중가례복식

궁중가례란 국왕을 비롯하여 왕세자, 왕세손과 같이 왕실의 혼례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그 절차는 납채(納采), 납징(納徵), 고기(告期), 책비(冊妃), 친영(親迎), 동뢰(同牢)의 육례(六禮)로 진행되기 때문에 여러 달에 걸쳐 수천 명의 인원이 동원되는 나라의 큰 잔치였다.
납채(納采)는 대월에서 간택된 왕비집에 청혼하러 사자(使者)를 보내는 의식인 납채의와 왕비집의 역할을 하는 별궁에서 청혼을 받아들이는 수납채의로 진행된다.

본문내용

: 주단(朱緞)으로 만든다.
(13) 석( ) : 적단으로 만들며 황조(黃 )로서 연을 두르고 현색 끈을 맨다.
2) 통천관(通天冠)·강사포(絳紗袍)
고종어진 강사포본은 통천관을 쓰고 있다. 강사포의 구성은 「국조오례의서례」에 의하면 규·관·의·상·대대·중단·폐슬·말·석으로 되어 있다.
통천관은 원유관과 그 형제(刑制)가 같으나 통천관은 12량에 5채옥을 12주씩 꿰었으며 12수의 부선(附蟬)이 장식되었고 관 앞에 산술(山述)이 장식되어 있다. 주영을 양쪽에 달았으며 옥잠을 꽂았다. 강사포는 강색이며 단으로 생각되는 윤기있는 질감의 느낌을 주고 있다. 어진에서의 중단은 속에 입는 옷이라 겉에 나타나지 않고 있으나 「국조오례의서례」에는 없는 동정이 달려 있어 국말에 국속화된 형태를 나타내주고 있다. 폐슬은 면복의 것과 같은 모양이나 장문이 없다. 그 외의 규·대대·말·석은 면복의 것과 같다.
3) 자적 익선관(翼善冠)·황곤룡포(黃袞龍袍)
1897년 국호를 대한으로 고치고 왕을 황제로 칭함에 따라 왕의 홍곤룡포도 황곤룡포로 바뀌었다.
황제의 상복에 관해 「증보문헌비고」에서 보면 "황제의 상복에 있어서 익선관은 그 정(頂)이 앞은 낮고 뒤는 높은데 오사모(烏紗帽)의 두 각을 꺾어 올려서 약간 정 밖으로 나가게 한다. 포는 황색으로 깃이 둥글고 소매의 폭이 좁은데 앞뒤와 두 어깨에 각각 금으로 짠 반룡(盤龍) 하나가 있다. 대는 옥을 쓰고 화는 가죽으로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2) 황후복식(皇后服飾)
1) 적의(翟衣)
고종이 황제에 오르자 황후의 적의로 심청색(深靑色) 적의를 입게 되었다. 이는 대한제국 칭제에 따라 고종 황제가 중국의 황제와 같은 신분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면복에 12장문을 표현한 것과 같은 것으로서 황후의 적의에는 12등분하여 채적문 154쌍을 직문하였으며 황태자의 적의에는 9등분하여 채적문을 직문하였다. 적의의 구성은 이 외에 중단·보·하피·폐슬·대대·청말·청석으로 되어 있다.
2) 원삼(圓衫)
조선조말 대한제국으로 개칭하면서 왕비를 황후라 하고 그 원삼도 황후의 복색을 좇아 황원삼으로 바뀌었는데 이는 황색 길에다가 소매에 색동과 백한삼이 달리고 오조원룡문을 금수한 원보(圓補)를 양 어깨·앞·뒤에 가식하였다.
(3) 황태자복식(皇太子服飾)
1) 구류면류관(九旒冕旒冠)·구장복(九章服)
황태자의 면복은 「세종실록」 관복도에서 정한 종래의 조선시대 국왕이 입었던 9류면관에 9장복을 착용하였다. 황태자의 면류관은 겉은 현색이고 안은 주색인데, 앞은 둥글고 뒤는 모나며, 앞뒤에 각각 9류가 있다. 매류는 각각 9옥인데 적·백·청·황·흑의 5채를 차례로 꿰었다. 옥형·금잠·현담에 청광 충이를 드리우며, 백옥진주의 영으로 매었다.
황태자의 면복 구성은 규·면류관·의·상·수·중단·폐슬·방심곡령·패·대대·말·석이다.
2) 원유관(遠遊冠)·강사포(絳紗袍)
황태자의 조복은 원유관, 강사포이다. 관의 앞뒤에 각각 아홉 솔기마다 다섯가지 채색의 구슬 아홉을 얽어매고, 솔기와 관무(冠武)에 아울러 잠(簪)을 꿴다. 영을 매는 곳은 모두 금으로 장식하되, 금잠을 하고 주영을 한다. 옥규는 면복의 제도와 같다. 포는 강색으로 깃, 소매끝, 선, 도련도 강색으로 한다. 홍상은 면복의 상과 같되 다만 장문수를 놓지 않는다. 중단은 소사로 하는데 홍색으로 깃, 소매끝, 선, 도련을 하고 깃에는 불문 열하나를 짠다. 폐슬은 상의 색과 같고 본색으로 선을 두른다. 옥패는 면복의 제도와 같되 다만 운룡문이 없고 소수만 있어 네 가지 채색으로 짠다. 대대·후수·말·석은 적색으로 하되 모두 면복의 제도와 같다.
3) 익선관(翼善冠)·홍곤룡포(紅袞龍袍)
조선조 말까지 홍룡포는 임금의 상복이었으나 광무 원년(1897)에 고종이 황제로 등극하고 「대명회전」을 취하여 황태자의 복식으로 사용하게 되어 당시의 「증보문헌비고」에 기록된 황태자의 상복인 홍룡표를 입게 되었다. 포는 적색으로 깃이 둥글고 소매의 폭이 좁은데, 앞뒤와 두 어깨에 각각 금으로 짠 반룡보가 있다. 대는 옥을 쓰고 화는 가죽으로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4) 황태자비복식(皇太子妃服飾)
1) 적의(翟衣)
황태자비로서의 영친왕비의 적의는 대홍색이고, 왕세자빈의 적의는 아청색인데 황후와 황태자비의 적의는 심청색인 것이 다르다. 그 속에는 깃에 불문 11개가 금직된 옥색 중단이 들어 있다.
2) 원삼(圓衫)
황태자비의 홍원삼으로 궁중유물전시관에 소장되어 있는 원삼은 대홍색 운봉문단을 겉감으로 하고, 수자(壽字)·편복( )·표주박문이 직조된 황색 안을 넣었으며 안단둘레에 같은 문양의 남색 단을 둘렀다. 양무는 텄으며 뒷자락이 앞자락보다 길다. 소매끝에는 황·남색의 색동과 한삼이 달려 있는데 목단문이 연속으로 큼직하게 직금되어 있다. 양 어깨의 앞뒤와 소매의 하단에는 운봉문이 화려하게 금직되어 있고 앞뒷길의 하단에도 역시 같은 운봉문이 금직되어 있다. 운봉문의 형태는 화염문을 가운데에 두고 봉황과 7마리의 새끼봉이 유유히 날고 있으며 사이사이에 운문이 가득하다. 여기에 봉대(鳳帶)를 띤다.
3) 당의(唐衣)
궁중유물전시관소장의 연초록색 당의는 도류불수문관사(桃榴佛手紋官紗)로 양 어깨 부분과 앞뒤 길의 하단과 깃에는 수복자가 부금되었는데 장수와 만복을 누리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길상어문이다. 옷고름은 다홍색 문사이며 여기에도 수복자가 부금되어 있다. 또한 금사로 수놓은 오조룡보를 양 어깨와 가슴· 등의 4곳에 부착한 당의로 소례복으로 사용되었다.
4) 저고리(赤古里)
황태자비의 저고리는 황색 삼회장저고리이다. 금박은 없고 고름의 길이는 비교적 짧다.
5) 치마(赤 )
궁중유물전시관에 소장되어 있는 영친왕비의 유물을 통해서 알아보면 스란단을 두층 붙인 것을 대란치마, 스란단이 하나인 것을 스란치마라 하며, 대란치마는 대례복에 스란치마는 소례복으로 착용하였다. 스란단의 문양은 신분에 따라 차이를 두었으며 황태자비는 왕비의 수준으로 봉황문을 부금하여 착용하였다. 영친왕비의 대란치마는 남색과 홍색이 있는데 남색 대란치마는 겉감은 남색 목단문사이고 안감은 백색 삼팔주로 스란단에는 화염문을 사이에 두고 봉황이 마주 보고 있는 봉황문이 부금되었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2.06.15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61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