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 복음서 연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사본
(1)도마 복음서
(2)사해사본(Dead Sea Scrolls)
(3)파피루스(Papyri)

2. 독본
(1)번역본(Translations)
(2)본문 비평(Textual Criticism)
(3)문학 비평(Literary Criticism)

3. 비평
(1)자료 비평(Source Criticism)
(2)양식 비평(Form Criticism)
(3)편집사 비평(Redaction Criticism)
(4)청중 비평(Audience Criticism)

4. 해석학
(1)역사적 예수
(2)새 해석학

5. 복음
(1)교회와 복음
(2)예수의 말씀들

6. 복음서
(1)마태복음
(2)마가복음
(3)누가복음
(4)요한복음

7. 신학
(1) 인자
(2)하나님의 아들
(3)부활

8. 해석

본문내용

고있
다.
(3)부활
논쟁의 중심이 되는 특별한 주제는 예수의 부활에 관한 신약 성경의 가르침
이다. 바울은 "만일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지 않았다면 우리의 전파하는 것도
헛것이요, 너희 믿음도 헛것이다"라고 말한다. 그리스도의 부활은 분수령이
다.
* 제기된 문제들
1) 부활의 가르침은 일종의 해석의 문제이다.
2) 구약과 신약 성경의 죽음의 상태로부터 다시 살아난 언급 즉 일상적 상
태로 돌아간 것에 불과 예수의 부활은 영원한 생명에로의 부활
3) 논쟁
# 복음서 저자들이 빈 무덤 사실 강조, 마가복음 기사는 예수님의 갈
릴리 나타나심으로 표현 으로 4복음서에서만 '무덤'이란 말 사용
a.예수님의 육체는 부활할 때 근본적 변화 : 부활 상태에 있는 생명은 다
른 차원
b. 바울 : 고린도 교회에 보낸 첫 편지에 부활은 육체적 몸으로의 복귀가
님을 나나냄
# 부활절 기사가 똑같은 통일성을 보여주지 않고, 복음서들이 쓰여질
당시에는 신앙고백적 형태의 메아리만이 자료였음
# 초대 기독교 공동체 신앙이 부활의 사실보다 더 중요시 됨.
* 해석
1) 콘젤만(Hans Conzelmann)은 부활은 역사적인 사건으로 입증되어질 수
없다.
2) 마르센(Willi Marxsen)는 예수의 가르침이 오늘날 살아서 사람들의 믿
음에로 부르고 있기 때문에 부활은 의미 있게 타당하게 된다.
3) 예수의 육체는 여전히 무덤에 남아 있으나 영적으로 새로운 생명에로
부활함
4) 베드로가 예수에 대한 환상을 갖은 때는 갈릴리에 있을 때였다.
5) 마르센은 모든 강조점을 믿음(신앙)에 두며 복음서의 기록을 불신임하
는 자세를 취하나 빈 무덤의 소리는 마르센이 중단시킬 수 없는 메아리로
되풀이 됨 즉 기독교 신앙과의 단절과 탈선을 동반
6) 부활 후 먹고 마심은 누가와 요한이 생생하게 보도하고 있는 부활 후의
장면
7) 바울은 부활장에서 신자들에게 육체적 부활을 위한 예수님의 부활의
적용을 말하고 있다.
* 수정(Modification) - 판넨베르그(Wolfhart Pannenberg)
1) 판넨베르그(Wolfhart Pannenberg)은 예수의 부활을 하나의 역사적
사실이 아닌 개념(idsa)으로 제시하고 있는 주장들에 대해 강력한 이의을
제기하고 있다. 부활은 죽은 시체가 다시 생명을 갖는 것이 아니라 변형
(tramsfor mation)이라고 본다.
2) 예수의 나타나심 취급할 때 모든 것을 다메섹 도상에서 겪은 바울의
체험 문맥에 두며 하늘로 부터 온 것을 인정
3) 빈무덤의 역사성을 인정하나, 성경 보도를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
* 결론
복음서 기사와 사도행전과 바울 서신들의 저자들은 부활절과 부활절 이후의
사건들을 완전 무결하게 보도하려고 쓴것이 아니고, 각 저자들의 목적과 목
표와 관련하여 썼으며, 그 점을 이해하고 읽는다면 수많은 불일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그들의 보도를 통해서 그들은 예수께서 무덤에서 육체적으
로 부활하셨다는 논박할 수 없는 명백한 증거를 제공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부활의 주님의 제자이면서 부활사건의 직접 목격자들이다.
8. 해석
* 실존주의적 접근
실존주의적 접근은 불트만에의해 제창되었다.
불트만은 고백적 진술로 되어 신화론적 언어는 제거될 것이 아니라 재해석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각 복음서 본문들의 역사적 배경을 무시해
버려 복음과 역사와의 연결을 끊어버렸다.
* 후(후)불트만 학파의 접근
1) 푸흐(Ernst Fuchs,1903-)와 에벧링(Gergard Ebeling,1912-)이 불트만
의 성경 접근과 약간 다른 성경 접근을 발전시킴
2) 신학자들의 과업은 신약 성경 본문 안에 구체화되 있는 진리가 오늘날
사람들에게 의미있는 것으로 전달되도록 진리를 다른 말로 옮기는 것이다
3) 신약 성경을 이해하려면 실존주의 철학자가 되어야 한다
4) 해석자는 본문의 진리가 어떻게 옮겨져야 할 것인가를 설정한 후 문법,
역사,신학에 관련 없이 주관적으로 그 본문을 해석한다.
* 구조주의(Structualism)
데 싸우세르( Ferdinand de Saussure, 1857-1913 ) 와 레비 스트라우스
(Claude Levi-Strauss, 1908)에 의해 창시된 사상 운동에 기원을 두며 영어
권에서는 지난 10년 사이에서 부터이다. 대조 연구를 제시하려고 하지는 않
고, 역사는 아무런 의미를 지니지 않았으며, 저자가 무엇을 전달하려는
지 관심이 없음을 나타낸다. 또 신약 본문의 역사적 배경을 무시하고
정당한 자리를 차지할 수 있는 것은 해석학적 방 법론과 관계를 가질 때
이다.
* 포괄적인 접근
개별 복음서의 구조와 구성에 관한 연구가 독자들에게 저자의 사상에 대한
통찰을 가져자 준다는 점에서 이 방법은 칭찬을 받을 만 하다가. 리덜보스
는 마태복음서의 배열및 내용과 관련하여 첫 복음서를 통일성과 목적을 보
여주는 건축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는것으로 보았다. 또한 마태복음서를 구
조학적 편집전망으로 본다.
* 원리들
1) 당대의 유대인들과 이방인들의 관습,전통,종교적 규범들을 잘 알고 있
어야 한다.
2) 문화적 원리와 아주 밀접하게 연결되 있는 것이 바로 역사적 원리이다.
3) 해석의 역사적,문화적 규칙과 모순되는 것이 아니라 보충해 전자를 완
전케 하 는 것임을 주지해야한다. 신학적 원리는 구약과 신약의 통일성 강

4) 주어진 본문 자체,문법,문학적 형식에 관련된 것으로 주석가는 가장 좋
은 본문을 확립해야 한다.
* 방법
1)본문의 범위를 한정하고 그 본문의 주변을 탐색하라.
2)본문의 직접적 문맥과 넓은 문맥을 다같이 고려하면서 본문을 읽어라.
3)본문을 문법적으로 분석하라.
4)중요한 단어의 의미와 구절의 전후 문맥관계를 살펴보라.
5)본문의 문학적 특성,구조,문체를 살펴보라.
6)본문의 역사적 배경에 대한 철저한 연구를 하라.
7)본문이 구약에 대해 가지고 있는 신학적 연관관계를 살펴보라.
8)본문에 관한 주해학적,신학적 주석들을 참고하라.
9)본문이 말하는 하나의 핵심적인 주제를 결정하고, 보조적인 개요를 만들
어라.
10)본문을 오늘의 필요성에 부합시키도록 하라.
성경 말씀을 풀어 설명하라.
죄인들을 권고하라.
구세주를 경외하라.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2.06.27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72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