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복음의 신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누가복음에 대한 개괄적 이해
1.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의 통일성
2. 누가복음 형성에 관한 이론
3. 누가복음의 기록 목적과 동기
4. 누가복음의 저자와 기록시기 및 장소.`

Ⅲ. 누가복음의 신학
1. 종말론
2. 그리스도론
3. 예루살렘 중심주의와 성전
4. 소외된 자에 대한 관심
5. 정치적 의도성의 문제
6. 평화의 신학
7. 이방인에 대한 관심
8. 기도신학

본문내용

P.106-107
5. 평화의 신학
"평화"는 누가문서에 있어서 중요한 신학적 관심사 중의 하나였다. 이는 누가가 복음서 기자들 중에서 "평화"란 단어를 가장 많이 사용한 사람이란 사실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평화"란 단어가 마가복음에서는 1번, 마태복음에서는 4번, 그리고 요한복음에서는 6번 사용되고 있는데, 누가복음에서는 14번(1:79; 2:14, 29; 7:50; 8:48; 10:5, 6; 11:21; 12:51; 14:32; 19:38, 42; 24:36), 그리고 사도행전에서는 7번(7:26; 9:31; 10:36; 12:20; 15:33; 16:36; 24:2)사용되어 있다.
) 김득중, 「누가의 신학」, 컨콜디아사, 1991, p.p.184-185
누가가 그의 문서에서 이처럼 '평화의 복음'을 강조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리고 이 평화의 복음은 누가 당시 그의 독자들인 로마 사람들과 기독교인들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가? 이미 언급한 것처럼 누가는 그의 문서 여러 곳에서 로마 당국이 경계해야 할 반로마적 세력이 아니라, 기존의 정치 질서를 받아들이면서 이 땅에 진정한 "평화 ", 즉 pax Romana가 아닌 paxChristi를 실현시키기 위해 "평화의 복음"을 전하는 종교임을 인식시키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누가는 예수가 로마의 극형인 십자가형에 처형된 사실 때문에 마치 기독교로 개종하는 것이 로마 제국에 반역하는 행동으로 생각하여 기독교 복음을 받아들이는데 주저하는 로마 세계 안의 많은 사람들에게, 로마 당국이 기독교에 대해 유죄 판결을 내린 적이 없으며 오히려 로마의 관리들이 기독교에 대해 호의적으로 대처해왔음을 알려줌으로써 로마 세계에 대해서 좀더 효과적으로 복음을 전할 수 있는 길을 모색했던 것으로 보인다.
) Ibid. p. 187.
결국 누가문서는 기독교인들과 로마 당국을 향해 제시된 "평화의 복음"이었다. 누가는 제 1세기 말경 세계 종교로 성장해가는 기독교(하나님)와 이미 세계를 지배하고 있던 로마제국(가이사)간의 화해와 일치를 꾀하고 있었다. 그래서 누가는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그리고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눅 20:25)라고 말함으로써 기독교와 로마제국의 관계를 "이것이냐 저것이냐?"의 양자 택일의 관계로 보지 않고 "이것도 저것도"의 관계로, 즉 평화적 공존의 관계로 보고 있다. 어쩌면 이것이 본래 로마가 추구하고 의도했던 "로마의 평화"였겠지만, 이것이 누가에게 있어서는 예수가 추구하던 그리고 하나님께서 이 땅 위에 실현하고자 하셨던 "그리스도의 평화"였다. 누가에게 있어서는 이것이 "하나님께는 영광이요, 땅위에서는 기뻐하심을 입은 자들 가운데 평화(눅 2:14)"가 되는 진정한 "평화의 길"(눅 1:79)이었을 것이다.
6 이방인에 대한 관심
마태복음서를 유대인의 복음서라고 부르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누가복음을 가리켜 "이방인의 복음서"라고 부른다. 그것은 누가의 보편주의 관점이 세계적이기 때문이다. 예수의 족보에서도 마태가 예수의 조상으로 다윗과 아브라함까지만 추적하는 것과는 달리 아브라함을 넘어 온 인류의 조상인 "아담"에까지 그리고 다시 하나님에게까지 소급하고 있는데, 이것은 인류 모두가 하나님의 아들인 것을 보여준다. 또한, 누가복음에 나타난 사렙다 과부에 대한 칭찬, 수리아 사람 나아만, 백부장에 신앙에 대한 칭찬 등은 복음이 특정인을 위한 것이 아니라 모든 인류를 위한 것임을 말한다.
) 김득중, 「신약성서개론」 , 컨콜디아사, 1986, P.107.
????누가의 신학 pp. 303참고.
7. 기도신학
마가복음에도 기도에 대한 언급이 많으나(막 1:35; 6:41,46; 7:34; 8:6-7; 14:22-23, 32-39; 15:34) 마가의 관심은 예수의 교훈이나 설교보다 행동에 더 쏠리고 있다. 마태의 경우도 기도에 대한 관심을 많이 보이나 Q자료나 마가에서 나온 자료 이외에 자신의 특수자료에서 기도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지는 않다. 요한복음에도 기도에 대한 언급이 별로 나오지 않지만, 17장은 복음서에 보전된 가장 긴 예수의 기도문이다.
?????누가의 신학 PP.265 참고
8. 찬양시와 노래에 대한 관심
????????성종현,
김득중, 「누가의 신학」, 서울:컨콜디아사, 1991.
김득중, 「성서주석:누가복음Ⅰ」, 대한기독교서회, 1993.
김득중, 「신약성서개론」, 컨콜디아사, 1986.
박수암, 「신약연구개론」,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1998.
성종현, 「신약 성경 연구」, 장로회 신학대학교 출판부, 1994.
채위, 「누가복음」, 대한기독교서회, 1982.
B.M. 메츠거, 「신약성서개설」, 나채운 역, 서울: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3, P. 95.
I. Howard Marshall, 「국제성서주석:누가복음Ⅰ」, 한국신학연구소???
Norman Perrin, Dennis C Duling, 박익수 옮김, 「The New testamention introduction:새로운 신약성서개론], 한국신학연구소, 1991.
Richard J. Cassidy, Jesus, Politics, and Society, 한완성 역, 「예수·정치·사회」, 대한기독교 출판사, 1983.
김종? , 「불의한 재판관 비유(눅 18:1-8)의 주석적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8.
김용권, 「불의한 청지기의 비유연구;눅 16:1-13에 대한 주석적 고찰」, 장로회 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12.
박경은, '예수의 나사렛 회당 설교에 대한 사회학적 해석」, 감리교 신학대학 대학원 신약성서 신학 석사학위논문, 1987.
박응천, 「유아설화(눅 1:5-2:52)의 신학과 누가 신학의 통일성에 관한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12.
류성철, 「누가복음의 수난사에 나타난 신학」, 한신대학 대학원 신학과 석사학위논문, 1984.
홍성인, 「누가에 나타난 예수의 가난 이해」, 장로회 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12.
S.G. Wilson, 「Lukan Eschatology」, p.340.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2.11.03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01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