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통합교육의 한국학적 전개에 대한 비판적 관점 : 특수교육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인식론 및 특수교육서비스 전달체제를 중심으로

Ⅰ. 서 론

Ⅱ. 완전통합교육의 지식 기초 비판

Ⅲ. 특수교육 서비스 전달체제의 전개과정

Ⅳ. 율곡의 인식론

Ⅴ. 대안적 특수교육 서비스 전달체제

Ⅵ. 결론 및 시사점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완전통합교육 장면에서이든 간에 특수교육의 전문적 실제 없이는 학적 근거를 상실할 수밖에 없다.
둘째, 완전통합교육에 대한 비판적 모형이 가일층되어야 한다. 작금의 경향을 보면 마치 완전통합교육은 장애아를 위한 최선의 모형으로 생각될 수 있으나 이는 사회적 결함을 치유할지언정 학습결함의 치유와는 전혀 무관하다.
참 고 문 헌
김병하. (1998). 특수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정립과 그 과제. 특수교육학연구, 제33권 제1호.pp.5-24.
박의수. (1991). 율곡 교육사상의 인식론적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송석구. (1980). 율곡의 철학사상 연구. 국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이민태. (1987). 율곡의 교육철학 사상.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병도 유정동(해제). (1983). 율곡집. 한국의 유학사상(이상은,이병도외 역). pp.305-432.
정용석. (1999). 율곡의 인식론: 구성주의 인식론 및 완전통합교육에의 시사점. 특수교육학연구. 제34권 제2호. pp. 139-152.
Dunn, L. M. (1968). Special education for the mildly retarded: Is much of it justified? Exceptional Children, 35, 5-22.
Ferguson, D. L. (1995). The real challenge of inclusion: confessions of a 'rabid inclusionist'. Phi Delta Kappan, 77(4), 281-287.
Giegel, H. (1997). Rationality redeemed? : Further dialogues on an educational ideal. Routledge, New York: NY.
Kauffman, J. M. (1993). How we might achieve the radical reform of special education. Exceptional Children, 60(1), 6-16.
Kauffman J. M. (1999). Commentary: Today's special education and its messages for tomorrow.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32(4), 244-254.
Kelly E. J. (1969). Toward a comprehensive paradigm of special education.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3), 244-254.
Kelly E. J. (1971). Philosopical perspectives in special education. Columbus, Ohio: Charles E. Merril Publishing Company.
Lipsky, D. K., & Gartner, A. (1996). Inclusion and school restructuring, and remaking of America society. Harvard Educational Review. 66(4), 762-795.
MacMillan, D. L., Jones, R. L., & Aloia, G. F. (1974). The mentally retarded label: A theoritical analysis and review of research. American Journal of Mental Deficiency, 79, 466-480.
MacMillan, D. L., Semmel, M. I., & Gerber, M. M. (1994). The social context of Dunn: Then and now.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7(4), 466-480.
Rusch, F. R., Rose, T., & Greenwood, C. R. (1988). Introduction to behavior analysis in special education. Engel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 Hall
Semmel, M. L., Gerber, M. M., & MacMillan, D. D. (1994). Twenty five years after Dunn's article: A legacy of policy analysis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7(4), 481-495.
Skirtic, T. M. (1991). Behind special education: A critical analysis of professional culture and school organization. Denver, Colorado: Love Publishing Company.
Skirtic, T. M. (1996). School restructuring, social constructivism, and democracy: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in postindustrial age. Prepared for the symposium, The future trends in social integr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oward 21st century. Taegu university, Taegu, Korea.
Sykes, G. (1996). Reform of and as professional development. Pai Delta Kappan, 78(1), 465-467.
Wilson, B. G. (1997). Reflections on constructivism and instructional design. In C. R. Dills & A. J. Romiszowski (Eds), Instructional development paradigms (pp. 63-80). Englewood Cliffs, NJ: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2.11.12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16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