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3국(한국·중국·일본)간의 환경 갈등과 공동체 해결방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국제환경문제의 대두
Ⅱ. 환경문제와 관련한 국제적 갈등의 이해
Ⅲ. 동북아 3국의 국내 및 지역 환경문제
Ⅳ. 범세계적 및 지역적 환경보전협력과 동북아 3국
Ⅴ. 동북아 지역환경갈등 해소방안
Ⅵ. 결론: 향후 동북아 지역환경협력을 위하여

본문내용

Shawna and Michael Atchia, 1995, Environmental Management: Issues and Solutions, New York: Wiley.
Vogler, John and Mark Imber, 1996, The Environment and International Relations, New York: Routledge.
Warford, Jeremy J., 1989,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Economic Policy in Developing Countries," in Gunter Schramm and Jeremy J. Warford (eds.),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Economic Development,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富士總合硏究所, 1992, 《環境要覽》, 東京: 富士總合硏究所.
西宮ライフサイエンスセミナ硏究委員會, 1994, 《地球環境と人間:私たちが知らなかつたこと》, 東京: 菜根出版.
권인혁, 1992, 〈2000년대 환경외교〉, 《국회보》 제312호.
김동수, 1994, 〈민주주의와 공동체주의: 자유주의·공동체주의 논쟁을 넘어서〉,
《한국정치학회보》 제28집 1호.
김동수, 1994, 〈기후변화협약의 국제정치: 우리나라에 대한 영향과 대응방안〉,
《한국정치학회보》 제28집 2호.
김병완, 1994, 《한국의 환경정책과 녹색운동》, 서울: 나남출판사.
김승진/나성린, 1994, 《환경-무역관계가 한국무역에 미치는 영향》, 서울: 세계경제연구원.
김철수, 1993, 〈국제교역환경 전망과 대응책〉, 《외교》 제25호.
노융희, 1988, 〈환경정책의 과제와 방향〉, 《국회보》 제265호.
문흥호, 1998, 〈중국의 환경실태와 정책〉, 《1998년 한국국제정치학회 춘계학술회의논문집》.
대한무역진흥공사, 1993·1994, 《선진국의 환경장벽 I·II》, 서울: 대한무역진흥공사.
대한서울상공회의소, 1992, 《지속성장을 위한 환경정책: 환경규제와 경제적 인센티브》, 서울: 대 한서울상공회의소.
민병승, 1996, 《동북아지역의 환경문제와 국제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환경기술개발 원.
손종국·유영옥, 1997, 《동북아론》, 서울: 학문사.
송복, 1995, 《세계화 전략으로서의 공동체 재건》, 서울: 공보처.
서헌제, 1996, 《대외통상환경의 변화와 법제개편》, 서울: 집문당.
선준영, 1993, 〈국제환경외교와 우리의 대응〉, 《외교》 제28호.
신용하, 1985, 《공동체이론》, 서울: 문학과 지성사.
신유균, 1995, 《신교역질서와 한국의 선택》, 서울: 한국무역경제.
신유균, 1993, 《신국제경제질서》, 서울: 한국무역경제.
안병훈, 1990, 〈지구환경문제의 국제적 추세: 우리나라 환경외교의 문제〉, 《국회보》 제285호.
안승국·이상환·이태흥·홍원표, 1997, 《정치의 대전환: 포스트모던공동체와 결사체민주주의》, 서울: 인간사랑.
오호성, 1995, 《환경과 경제의 조화》, 서울: 조선일보사 출판부.
외무부, 1993, 《동북아환경협력을 위한 고위실무회의 결과보고서》, 서울: 외무부국제경제국.
외무부, 1994, 《동북아환경협력을 위한 전문가회의 및 제2차 고위급회의 결과 보고》, 서울: 외무 부국제경제국.
외무부, 1992, 《지구환경동향과 환경외교》, 서울: 외무부국제경제국.
외무부, 1996∼97, 《지구환경정보》 창간호∼22호, 서울: 외무부국제경제국.
외무부, 1996, 《환경외교편람》, 서울: 외무부국제경제국.
외무부, 1992·1994, 《주요국제문제분석》, 서울: 외무부 외교안보연구원.
유승익, 1994, 〈한국의 환경 외교정책: 과제와 전망〉, 아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편, 《생태사 회과학》, 경기: 아주대학교 출판부.
이병곤·김일곤·전영권, 1994, 《지구환경문제와 보전대책》, 서울: 법문사.
이병욱, 1997, 《환경경영론》, 서울: 비봉출판사.
이상돈, 1993, 《환경위기와 리우회의》, 서울: 대학출판사.
이상돈, 1994, 〈국제환경규제의 현황과 과제〉,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편, 《현대산업사회와 환경 문제》, 서울: 정문출판사.
이상환, 1995, 〈국제적 환경·무역갈등과 한국의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1995년 한국국제정 치학회 연례학술회의 국제정치경제분과 논문집》.
이상환, 1998, 〈국제적 환경 갈등과 협력: 분석과 전망〉, 창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편, 《창원 대 사회과학연구》 제4집.
이신화, 1996, 〈환경전쟁(Eco Conflict)?: 폭력갈등과 국제질서 위협요인으로서의 환경파괴〉,
《한국정치학회보》 제30집 3호.
이영준, 1995, 《국제환경법론》, 서울: 법문사.
이은호, 1998, 〈동북아환경문제에 관한 지역협력〉, 《1998년 한국국제정치학회 춘계학술회의논 문집》.
이정전, 1995, 《녹색경제학》, 서울: 한길사.
이종무, 1992, 〈유엔환경개발회의와 한국의 환경외교〉, 《외교》 제21호.
이해찬 역, 1994, 《세계환경정치》, Gareth Porter and Janet Welsh Brown, Global Environmental Politics, 서울: 도서출판 돌베개.
임종수, 1996, 《국제환경·무역연계논의 동향과 대응방안》, 서울: 한국환경기술개발원.
조경근, 1998, 〈일본의 환경실태와 정책〉, 《1998년 한국국제정치학회 춘계학술회의논문집》.
조찬래, 1998, 〈한국의 환경실태와 정책〉, 《1998년 한국국제정치학회 춘계학술회의논문집》.
조찬래, 1996, 《근대정치철학》, 서울: 대왕사.
최무웅, 1994, 《돌풍 그린라운》, 서울: 정훈출판사.
최병두, 1995, 《환경사회이론과 국제환경문제》, 서울: 도서출판 한울.
최종범·김기순, 1994, 《자연환경과 국제법》, 서울: 범양사 출판부.
외무부, 1996·1997, 《지구환경정보》 제1호∼제22호.
통계청, 1997, 《국제통계연감》 서울: 통계청 국제통계과.
한택환, 1993, 《한·중 환경협력에 관한 연구》,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40페이지
  • 등록일2002.11.27
  • 저작시기20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33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