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발발까지(1904∼1914)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전쟁발발까지(1904∼1914)
⑴ 1차 모로코사건
⑵ 영러협상과 삼국협상의 성립
⑶ 2차모로코사건(1911년;Agadir Crisis)
⑷ 보스니아-헤르쩨고비나합병위기
⑸ 발칸전쟁(1912∼13)

2.1차대전의 발발과 그 의의
⑴ 사라예보사건(1914년 6월 28일)
⑵ 전쟁의 시작
⑶ 전쟁의 원인
⑷ 러시아혁명과 브레스트-리토스크조약
⑸ 전쟁의 종결
⑹ 전후처리
⑺ 국제연맹
⑻ 1차대전의 결과와 의의, 그리고 그 영향

3.베르사이유 조약 체제의 성립과 전개
1. 베르사이유 회의의 구성과 원칙
2. 파리강화회의의 결정(I)
- 베르사이유조약의 내용
3.파리강화회의의 결정(II)
- 그밖의 평화조약들
4. 파리강화회의의 결정(III)
- 국제연맹(The League of Nations)
5. 러시아, 오토만 제국의 몰락과 그 영향

본문내용

의 모든 결론은 건고에 불과하엮고 모든 회원국은 거부권을 보유.
회원국은 아무 언제라도 조건 없이 연맹 탈퇴 가능함
4평화조약의 일부로 탄생하였기 때문에 전승국의 이익을 위한 조직으로서 출발하였다.
국제연맹의 구성
32개의 연합국(Original Members), 전쟁중 중립국이었던 13개국 및 평화조약에 서명한 패전국 등이 회원국이 됨.
연맹 회원국의 자격 요건으로는 \'완전한 자치국가, 영연방의 자치령 또는 식민지\'도 회원국이 될 수 있다고 규정하였는데 이는 영국의 입장이 반영된 것이다. 이 규정에 의해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남아프리카, 뉴질랜드, 인도 등이 연맹에 가입하였다. 또한 연맹은 총회, 이사회, 사무국, 상설국제사법재판소 등의 기구로 구성되었다.
국제연맹의 기능
가장 중추적인 기능은 평화유지와 국제분쟁의 평화적 해결이다. 국제연맹은 이 기능을 기본적으로 「군축」, 「분쟁의 제3자에의 부탁」, 「현상 유지의 상호보장」 등의 세가지 방법으로 수행하려한다.
☞ 파리 강화회의의 평가
※파리강화회의 평가에 대한 4가지 견해
1강회회의 결정을 그후의 국제정치현실과 연결시켜 평가하는 견해: 제2차대전의 원인이 강회회담 결정에 있느냐, 양차대전간의 국제정치구조에 있는가에 대한 논쟁이 이에 해당
2강화회의 결정을 윌슨의 이상주의와 결부시켜 평가하려는 입장: 윌슨추종자들은 유럽의 권력정치와 유럽열강간의 이해충돌 때문에 강화회의 결정이 붕괴되었다고 비판하는데 반해, 유럽 정치 현실을 중시하는 견해들은 윌슨의 이상주의 자체가 비현실적이어서 파리회의의 결정이 실효를 거둘 수 없었다고 판단하고 있다.
3베르사이유 조약의 영토문제해결에 대한 논쟁: 베르사이유 조약의 영토해결 자체가 아무런 정당성도 없었다는 판단아래 독일의 조약폐기 자체를 정당화하고 있다.
4배상문제에 관한 입장: 독일에 대한 배상이 과연 유럽 평화유지에 기여할 수 있는가 하는 논쟁(케인즈와 망투의 이론적 대립)
평가
파리 강화회의는 근대국가를 구성단위로 하는 국제사회를 어떤 도덕적인 원칙에 입각하여 재편하려는 최초의 국제회의였다. 국제정치질서가 근대국가의 의사에만 의존되는 경우에는 전쟁의 방지는 불가능하며 따라서 민주주의와 민족주의의 원칙에 입각한 새로운 세계질서의 창출에 의해서만이 평화가 보장된다는 것이다. 세력균형의 원칙대신 집단안정보장체제가 제창되었고 형식적인 실정법(實定法)주의가 배격되고 평화, 자유를 국가의사보다 우선시하는 신자연법주의(新自然法主義)가 제창되었다.
그러나 수세기에 걸쳐 세력균형과 권력정치에 입각하여 온 유럽의 국제정치구조가 아무런 혁명없이 다른 차원의 국제사회로 하루아침에 돌변할 수는 없었다. 제1차 대전을 거치면서 나타날 수 있었던 것은 과도기현상에 그치는 것이었다. 이상주의와 현실주의의 타협이라느 과도기적 현상이 그것이고 이런 현상은 국제연맹의 창설이라는 새로운 국면과 아울러 배상, 영토획정 등 전통적인 권력장치가 함께 공존하고 있는 파리강화회담 결정에 잘 나타나고 있다.
5. 러시아, 오토만 제국의 몰락과 그 영향
소련의 등장과 강대국의 간섭
브레스트-리토브스크 조약 체결로 소련이 전선에서 이탈한 것은 연합군 측에 상당한 타격을 줌
체코인, 슬로바키아인으로 구성된 부대로서 오-헝에 동원되었던 체코군단이 러시아군의 포로가 된 후 다시 러시아군과 함께 오-헝에 대항하여 전투에 참가하게되었다. 이들은 명목상 프랑스 휘하에 있어서 연합군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소련의 등장이후 체코군단을 서부전선에 이동시키는 도중 공산당군과 무력분쟁이 발생, 체코군이 승리하게되었다. 이 승리가 반볼셰비즘 운동을 고무시키고 가열시키게 되었다. 이에 고무되어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등이 반볼셰비즘 운동을 지원하기 위해 시베리아에 출병하였다.
간섭의 종료, 각국의 독립
1918년 말 볼셰비키운동이 승리를 계속하자 연합국측은 무력개입보다는 모스크바당국과 대화를 모색.
벌리트(美)-레닌 회담: \"러시아내에 현존하는 모든 정부들은 현재의 영토를 계속 보유하면서 볼셰비키 정권과 경제관계를 유지하되 연합군은 곧 철수한다.\" →이후 일본만이 시베리아에 계속 주둔함.
발틱제국: 핀란드, 스웨덴, 발틱3국(에스토니아, 리투아니아, 라투비아) 등 소련 정부와 평화 조약 체결.
폴란드: 동부국경이 소련과의 전쟁상태로 인해 문제시되었다. 소련은 평화협상을 제의하였고 연합국은 폴란드인이 거주하는 지역을 기준으로 커즌라인(Curzon line)을 제의하였다. 그러나 폴란드는 우크라이나 전역을 요구하면서 소련을 공격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패전하였으나 프랑스의 지원을 받았다. 이에 소련이 평화제의를 하여 리가 조약에 의해 폴란드는 커즌라인보다 150km 이동(以東) 지역을 더 획득하였다.
루마니아: 소련과 루마니아는 베사라비아가 역사적으로 분쟁이 되었던 지방. 1919년 연합국 최고 이사회는 루마니아에 할양을 결정하였고 1920년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등이 루마니아와 조약을 체결, 이를 승인하였으나 소련은 이 조약에 가입을 끝까지 거부, 현재까지 미수복지역으로 남아있다.
오토만제국의 몰락
세브르조약에 의해 술탄은 아랍세계 전역을 포기하였을 뿐만 아니라 터키본토에 대하여도 연합국들의 요구에 의해 사분오열(四分五裂)되었다. 이런 외세의 침투와 술탄의 통치에 반대하는 민족주의운동이 케말파샤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케말은 1920년 독립을 선언하고 반외세 투쟁을 가속화, 영국의 지원을 받은 그리스와의 전투에서 승리하고 소련과 모스크바조약을 체결, 소련으로부터 카르스, 아르다한을 획득하였다. 그러자 이탈리아는 아달리아에 대한 요구를 포기하였다. 프랑스도 실리시아에 대한 요구를 포기하였다. 그러자 영국은 분노하여 그리스를 지원하였으나 계속 패퇴(敗退)하였다. 이후 케말은 승전을 계속, 영국과 전면전을 꾀하였으나 연합국은 케말과 휴전을 맺었다. 이후 케말은 술탄통치의 종말을 선언하였으며 이로써 오토만 제국은 역사속에 사라지게 되었다.
아랍세계: 아랍세계는 크게 세부분으로 구분되었다. 아랍인들간의 각축장이된 아라비아 반도, 프랑스의 위임통치지역이 된 시리아, 영국의 위임통치지역이 된 팔레스타인과 이라크 지방 등이 그것이다.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3.01.23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02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