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수궁 답사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덕수궁 답사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덕수궁 연혁
1. 덕수궁의 건립
2. 구한말의 덕수궁
3. 일제시대의 덕수궁
4. 해방 후의 덕수궁

Ⅱ. 덕수궁의 주요 건물
1. 대한문
2. 함녕전과 광명문
3. 중화전과 중화문
4. 석조전
5. 석어당
6. 준명당
7. 즉조당
8. 정관헌

본문내용

으로 인하여 어려움에 처했던 시기에 선조가 나라를 다스렸던 그 때를 생각하며 선왕을 추모했다. 1897년 고종은 즉조당을 임시 정전(正殿)으로 사용하였으며 이름을 태극전(太極殿) 이라 하였고 원구단에서 황제 즉위식을 한 후 이 곳에서 하례(賀禮)를 받았다. 다음해 중화전(中和殿)으로 개칭하였다가 1902년 정전인 중화전이 완공되어 다시 즉조당으로 환원하였다. 1904년 불에 타 같은 해 다시 중건하였다.
8. 정관헌
1900년에 지은 벽돌단층집으로서 서양식 건축에 한국 전통양식을 가미하였다. 팔작지붕은 간결하게 슬레이트 기와로 이었다. 바닥은 대리석을 깔았으며 내부의 인조석기둥은 로마네스크(Romanesque)양식을 따랐다. 단층의 처마 밑에 지붕을 달아 앞·좌·우측에 퇴칸(退間)을 두고 퇴칸의 기둥사이 의 하부는 소나무, 사슴, 박쥐, 당초문 등을 새긴 난간을 설치하고 기둥의 주두는 화려한 코린트 양식에 오얏꽃 문양을 곁들였다. 기둥사이의 상부는 모란꽃, 구름, 박쥐, 꽃병 등이 투각(透刻)된 장식을 하여 한국의 전통문양(紋樣)을 가미한 서양식 테라스를 두었다. 고종이 이곳에서 연회를 열기도하고 가배(커피)를 마시고 다과를 들며 음악감상을 하는 등의 연유처(宴遊處)로 사용했다.
덕수궁은 일제시대와 개발독재 시대를 거치면서 파괴되어 창덕궁이나 경복궁의 규모엔 미치지 못하지만은 파란만장하였던 한말 역사의 현장으로서 우리들로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궁궐이라고 하겠다.
―참고 문헌―
한국고궁건축, 편집부 편, 1996년, 열화당,
덕수궁, 김순일, 1997년, 대원사
덕수궁, 편집부 편, 1986년, 열화당

키워드

덕수궁,   고궁,   답사기,   조선,   건축물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10.14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62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