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스스포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댄스스포츠의 명칭

2. 댄스스포츠의 종목

3. 댄스스포츠의 예절

4. 댄스스포츠의 특성 및 효과

5. 댄스스포츠의 발전과 육성 방안

본문내용

체의 균형적 발달을 기대할 수 있게 하고 정서적이고 아름다운 음악을 청취하면서 운동을 실시하게 되면 마음을 안정시켜 편안함을 주며 스트레스를 해소하여 몸과 정신 건강에 이상적인 운동이라 할 수 있다.
5. 댄스스포츠의 발전과 육성 방안
첫째, 댄스스포츠의 사회적 인식을 바꾸어야 한다. 세계적인 추이에 걸맞게 국내에서는 아직도 댄스 문화에 대한 잘못된 고정관념이 있어 전반적으로 부정적 시각으로 일관하므로, 댄스와 더불어 예의와 도를 함께 지도하고 이론적 배경을 중시함으로써 무지하고 저질적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야 할 것이다.
둘째, 댄스스포츠의 지도를 체육시설의 법률 적용대상으로 귀속됨으로써 생활 체육 뿐 만 아니라 엘리트체육으로서도 육성해야 한다.
셋째, 기존의 무도 단체를 하나의 연합체로 구성하여 대한체육회에 가맹시킴으로써 이상적인 스포츠 활동과 국내·외적인 경기에도 유기적 관계를 이룩해야 한다.
넷째, 댄스스포츠 지도자의 자질함양에 만전을 기한다. 국내의 경우에 사교댄스나 볼륨댄스의 지도자들이 일반인이나 학생들을 대상으로 댄스스포츠를 지도하고 있기 때문에 체계적인 교육내용이나 학술적인 배경이 전혀 무시된 채 단순한 기능만을 중심으로 전수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기초부터 흔들리는 댄스스포츠 역사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이론과 실기를 겸비한 지도자가 하루 속히 배출되어야 함은 절박한 현실이다.
다섯째, 댄스스포츠 지도과정의 통일을 이루어 국내 및 세계 대회의 무대에 진출을 목표로 해야 한다. 일부에서는 아직도 무도장에서 놀기 위한 수단으로 쓰였던 사교적인 동작을 댄스스포츠인 것처럼 지도하고 있어 스포츠로서의 발전이 저해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하루속히 시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여섯째, 댄스스포츠 지도자의 자격검증을 공신력 있게 제도화해서 합리적이며 효율적인 방법으로 운영해야 한다.
일곱째, 댄스스포츠가 학교체육의 일환으로 채택하여 생활체육과 경기 적인 측면을 모두 충족시켜 예술성이 가미된 스포츠로서의 진수를 선보여야 한다.
여덟째, 유능한 지도자의 자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과 댄스스포츠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타당성 있게 연구해야 한다.
아홉째, 국내경기와 국제경기에 대비하여 선수 층을 다양하게 발굴하고 육성하는데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참 고 문 헌>
김종기(1981). Modern Ballroom Dancing의 본질과 에티켓. 한국무도교육협회.
박계순(1997). 한국 댄스스포츠의 발전과제, 한국댄스스포츠연맹. 인천대연구소.
염옥남(1986). Ballroom Dance의 생리학적 현상으로 본 운동효과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순원(1998). 댄스스포츠. 도서출판 금광.
이은주(1984). 왈츠에 대한 소고.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규청(1998). 댄스스포츠의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홍경.
조규청(1999). 댄스스포츠 실제. 도서출판: 홍경.
조규청(2002). 댄스스포츠전개 양상과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 대림대학.
최세창(1984). 볼륨댄스. 서린문화사.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10.24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82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