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마트와 유통시장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유통시장의 현황과 월마트의 등장

Ⅱ. Wal - Mart의 경영전략
1. Wal-Mart의 등장
2. Wal - Mart의 성장배경
3. Wal - Mart 의 Key success factor
ⅰ. Wal - Mart의 저가격 전략
ⅱ. 물류 네트워크
ⅲ. Wal-Mart의 인사관리
ⅳ. 상품 / 매장 관리
ⅴ. 막강한 구매력과 자금력
ⅵ. 시장선점
ⅶ. 경비삭감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
4. Wal - Mart 의 가치사슬 분석

Ⅲ. Wal - Mart의 미래전망

본문내용

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을 터 주었다. 그 이후 식료품에도 같은 개념을 도입하여 슈퍼센터를 설립함으로써 Wal-mart는 계속적으로 성장 할 수 있었다.
Ⅲ. Wal-mart의 미래전망
♠ Wal-Mart(할인업태) 의 SWOT Analysis
강 점 (Strength)
약 점 (Weakness)
선진 노하우와 막대한 자본력을 지녔다.
조기에 다점포화 전국망을 구축
인사.운영.관리 등 기업활동에서 철저한
현지화 경영
과학적인 물류시스템 구축
자율적인 책임경영
저가의 상품 공급
유통업계간의 거래관행의 차이
인적 서비스 부문이 취약
(Self service 방식)
계산 대기 시간이 너무 길다.
A/S 부문의 취약
기 회 (Opportunity)
위 협 (Threats)
세계적인 소매업태라는 강력한 프리미엄
IMF 등 소비자들의 실질 소득감소로 Wal-mart와 같은 할인업태 이용의 급증
거대한 유통사에 대한 국민적 반감
기존 유통업체들의 다각적인 저항
국내물류정보, 인력Infrastructure의 미비로 선진 관리 시스템 적용의 한계
지역경제 발전에 대한 향토시민들의 반감
높은 지가 및 점포입지의 어려움
"월마트의 아시아 대공습"
96년 중국에 1호점을 내면서 동북아시아를 향해 진군의 나팔을 울린 Wal-mart는 98년부터
한국에도 점포를 내기 시작했다. 한국에선 네덜란드의 마크로가 세운 4개 점포를 일괄 인수하는 형태로 첫 발을 내디뎠다.
Wal-mart는 지난해 11월 중국이 WTO(세계무역기구)에 가입하면서 개방 바람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고 중국시장 공략의 기치를 더 높이 올렸다. 현재 북쪽의 다롄과 남쪽의 선전 등 연안도시를 중심으로 19개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중국 중앙정부는 올들어 20여개 점포를 추가로 연다는 Wal-mart의 계획을 승인한바 있다.
유럽계 대표주자 까르푸의 올해 출점 계획이 중앙정부에 의해 좌절된 것과 대조적이다.
내년까지 중국 전역에 1백개 점포망을 갖추겠다는 Wal-mart의 계획은 순풍을 타게 됐다.
Wal-mart는 지난주 일본에서 극적인 드라마를 연출했다.
일본 4위의 유통업체 세이유(西友)를 사실상 인수해 완강히 저항하던 일본 유통시장에
융단폭격을 예고하고 있다. 오는 2007년까지 지분 3분의2를 차지하기로 계약을 맺어 사실상 주인이 됐기 때문이다. 점진적인 자체 출점 방식이 아니라 급진적인 인수방식으로 호시탐탐 노리던 일본시장
진출의 꿈을 이룬 셈이다. 이로써 한꺼번에 2백 여개의 세이유 점포가 Wal-mart 수중에 떨어지게 생겼다.
앞으로 일본 유통업계는 한바탕 Wal-mart 신드롬에 휘둘리게 됐다.
더군다나 일본 유통업계의 메이저 다이에와 마이카르 등이 잇달아 휘청거리고 있는 상황이다. Wal-mart가 이처럼 공격적인 방식으로 다른 나라 유통시장을 헤집고 들어간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99년에는 영국 진출을 꾀하면서 현지 유통업체 아스다(ASDA)의 2백30여개 점포를 일거에 사들였다.
테스코(Tesco),세인즈베리(Sainsbury)에 이어 단번에 3위로 뛰어올랐던 것.
한 해 2조∼3조원의 순익을 남기는 Wal-mart는 연간이익을 모두 쏟아부어 관심 지역에 '대공습'을 감행하고 있다. 이러한 Wal-mart가 한국에서 만큼 조용한 것은 두가지로 풀어볼 수 있다. 사실상 물류 시스템을 거의 갖추었고 이제는 다점포화 시점으로 거보를 딛기 위한 숨고르기란 분석이 있는가하면 중국으로 건너가기 위한 징검다리 정도로 만족한다는 설명도 있다.
Wal-mart는 미국의 경제 주간지인 <비즈니스위크>에 따르면 한국에서는 고전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고 보도했는데, <비즈니스위크>에서 “1996년 한국이 유통시장을 개방했을 때, 월마트나 까르푸 등 해외 거대 유통업체들이 한국시장을 쉽게 잠식할 것으로 예상했다”며 “한국의 할인점 시장이 지난해 40%나 성장했으나 한국 진출 3년이 지난 Wal-mart 한국지사는 아직 이익을 내지 못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Wal-mart의 이러한 부진 이유는 신세계 이마트가 42개의 점포를 확보하며 전자제품에서 식료품까지 거의 모든 제품을 30% 정도 값싸게 공급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한국 토종 할인업태인 롯데 마그넷 등 한국 업체가 강한 경쟁력을 갖췄기 때문이다.
따라서 Wal-mart가 더욱더 성공하기 위해서는 묶음 구매보다는 낱개 구매를 좋아하고 콘크리트 바닥과 높은 상품 진열보다는 백화점식 친근한 매장 진열을 선호하고, 또한 공산품과 식품을 따로이 구매하는 미국의 소비패턴과 달리 한꺼번에 장바구니식 구매를 하는 한국 소비자들의 구매 성향파악에 더 많은 투자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Wal-mart 의 경영전략의 성공요건은 고객지향성, 운영시스템, 조직관리, 물류시스템, 그리고 인적자원의 관리에 달려있다.
따라서, 소비자의 취향변화에 따라 상품을 기획하고 판매할 때까지의 각 의사결정단계에서 고객 지향적 경영사고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즉 단순히 밀어내는(Push)방식으로의 생산 공급이 아니라 고객이 정말 원하는 상품을 고객이 원하는 시기에 공급하는 끌어당기는(Pull)방식으로 상품을 제공해야 한다. 또 고객 지향적 경영과 低비용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도 효율적인 운영시스템은 필수요건인데, 이러한 효율적 운영시스템. 물류시스템을 통해 정보가 Real time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Wal-mart는 물류 시스템을 확보하는데 주력하였고, Wal-mart의 새로운 시장에 대한 빠른 적응력을 본다면 한국 시장은 물론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 유통시장 공략이 더욱 가속화되어 21C 기업생존의 필수요건인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를 계속 지속시킬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글로벌 경쟁시대의 경영전략 - 박영사 (2001)
Harvard Business Review, May June (1993)
新유통의 이해 (변명식, 현병언 공저)
월마트의 아시아 대공습 한국경제 2002. 3. 20
사회과학 연구 논문집 - 한남대학교 (이덕훈. 이인표)
새유통관리론 - 무역경영사 (1997)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3.11.20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35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