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학-추석명절과 차례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한가위의 어원

2. 추석의 유래와 의미

3.차례(茶禮)
(1). 차례상 차리기
(2). 추석 차례상 진설법
(3). 추석 전통 제례 순서

본문내용

,식혜를
올린다.
- 어동육서(魚東肉西)
어동육서 (魚東肉西) 진설법에 의하여 어류를 동쪽에, 육류를 서쪽에 진설하여 그 가운데 두부, 채류를 진설한다. 적이라 함은 불에 굽거나 찐것을 말하며 전이라 함은 기름에 튀긴것을 말한다.
- 두동미서(頭東尾西)
생선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한다.
- 건좌습우(乾左濕右)
마른 것은 왼쪽에, 젓은 것은 오른쪽에 둔다.
- 반좌갱우(飯左羹右)
메(밥)은 왼쪽에, 국은 오른쪽에 둔다.
- 남좌여우(男左女右)
남자는 왼쪽에, 여자는 오른쪽에 선다.
(3). 추석 전통 제례 순서
- 영신(迎新)
먼저 대문을 열고 병풍을 친다. 신주, 지방 또는 조상의 사진을 모신다.
- 강신(降神)
조상의 영혼을 맞는 의식, 제주가 향을 피우는 일이다. 집사자가 강신 술잔을 주면 제주는 그것을 모사(茅沙 : 그릇에다 모래를 담는 것) 위에 세 번 나누어 붓는다. 집사 자는 술잔을 받아 제자리에 두고 제주는 두 번 절한다.
- 참신(參神)
모든 참사자가 일제히 두 번 절한다.
- 음복(飮福)
참사자가 한자리에 앉아 제수를 나누어 먹는 일, 음복을 끝내기 전에 제복(요즘에는 양복을 입는다.)을 벗거나 담배를 피워서는 안된다.r

키워드

  • 가격6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3.11.28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51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