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차례상][설날][설][세시풍속][명절][전통명절][차례의 의미][차례상 차리기][설날의 의복][설날의 놀이][설날의 세시풍속]차례의 의미, 차례상 차리기, 설날의 의복, 설날의 놀이, 설날의 세시풍속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차례][차례상][설날][설][세시풍속][명절][전통명절][차례의 의미][차례상 차리기][설날의 의복][설날의 놀이][설날의 세시풍속]차례의 의미, 차례상 차리기, 설날의 의복, 설날의 놀이, 설날의 세시풍속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차례의 의미

Ⅲ. 차례상 차리기

Ⅳ. 설날의 의복
1. 생활한복
2. 전통한복
3. 한복차림의 바른 예의

Ⅴ. 설날의 놀이
1. 윷놀이
2. 널뛰기
3. 연날리기

Ⅵ. 설날의 세시풍속
1. 원일소발
2. 야광이 쫓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록 비는 마음에서 이다.우리나라에서 연날리기가 널리 민중에게 보급된 것은 조선시대의 영조왕 때라고 한다. 영조왕은 연날리기를 즐겨 구경했고 또 장려하였다고 한다.
Ⅵ. 설날의 세시풍속
1. 원일소발
정월 초하룻날 저녁 머리카락을 불태우는 풍속. 머리카락사름이라고도 하며, 지난 1년간 빗질할 때 빠진 머리카락을 모아 빗 상자 속에 넣어 두었다가 설날 저녁에 문 밖에서 태움으로써 그 냄새로 인해 악귀가 도망친다는 풍습이다. 머리가 빠지는 염병 = 장티푸스라는 병을 막기 위하여 미리 머리를 태워버리는 유감주술 형태의 세시 풍속은 각 지방에 남아있다. 전북, 충남, 경남 지방에서 정월 초하루부터 대보름 전까지 방과 마당 쓴 것을 버리지 않고 모아 두었다가 대나무와 함께 불에 태우는 것도 그 중 하나인데, 이것은 농사와 결부된 것으로 \'복\'을 밖으로 나가게 하는 행위를 꺼리는 데서 온 풍습으로 보인다.
2. 야광이 쫓기
정월 초하룻날 밤이나 보름날 밤에 관행되던 풍습으로 야광귀, 양광이 또는 암팽이라고도 불리는데 \'야광이\' 라는 귀신이 인가에 들어가 사람들의 신발을 신어보고 발에 맞으면 신고 간다는 속설 때문에 나오게 된 풍속인데 신을 도둑맞은 사람은 그 해 1년간 운수가 나쁘다고 하여 설날 밤이면 어른 , 아이 할 것 없이 모두 신을 방에 들여 놓고 잠을 잔다. 야광이를 쫓기 위해 밤이 되면 일찍 대문을 걸어 잠그거나 금줄을 치거나 딱총으로 큰 소리를 내어 쫓기도 하지만 대개는 체를 걸어두는 경우가 많다. 대문이나 마당의 높은 장대에 체를 걸어두면 야광이가 하늘에서 내려와 체의 눈을 세어보다가 잘못 세어 다시 세고 또 세고 하는 중에 신을 신어 보는 것도 잊어버리고 새벽닭이 울면 도망간다는 것이다 이처럼 체의 구멍 하나하나에 광명을 뜻하는 수많은 눈으로 벽사의 힘이 있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또한 장례행렬 앞에 4개의 눈을 한 방상씨 가면을 세우는 것처럼 눈을 많이 가진 것은 귀신에게 두려움을 준다고 믿어왔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국립국어연구원, 우리 문화 길라잡이, 학고재, 2002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 세시풍속, 국립민속박물관, 1997
민속학회, 한국민속학의 이해, 문학아카데미, 1994
이광렬, 우리나라 세시풍속, 청연, 2005
임동권, 한국세시풍속연구, 집문당, 1985
조선의 민속전통 편찬위원회, 민속놀이와 명절(하), 대산출판사, 2000
한국민속학의 이해, 문학아카데미, 1994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4.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97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