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공제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공제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고대 동아시아 세계질서의 구조적 특성

3. 조공의 기원

4. 조공관계의 분류

5. 조공관계의 변천

6. 조공제도의 성립과 목적

7. 조공관계의 허와 실

본문내용

적으로 고도로 발전했던 중국의 존재는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율령제, 불가, 유교 등의 도입은 각 국가에 발전과 안정을 가져왔음이 틀림없다. 이는 조공관계가 수당을 지나면서 개방적인 관계에서 폐쇄적인 관계로 전화되면서 더욱 심화되었다. 특히 明淸代의 해외무역금지로 인해 각 국가간에 문화를 교류할 수 있던 기회는 "조공사신"에 한정될 수 밖에 없었다. 조선의 경우에도 많은 수의 사람들이 북경을 방문하거나 그 이후에 많은 문물을 받아들일 수 있었다.
조공관계의 虛에 대해 논하자면, 조공관계는 국가내의 지배계층에 커다란 힘이 된다는 것이다. 앞에 언급했던 소식의 글에서 고려에서의 조공품은 왕부의 물건이요, 인민의 膏血이라는 말이 나온다. 이 말은 조공품의 상당수가 서민들은 소지하기 힘든 귀중품임을 의미한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조공관계는 양국 모두에게 재정적으로 불리함을 끼친다. 그러나 이는 모두 일반 백성에게 전가될 뿐이었으며, 지배계층은 조공품과 사여품들로 자신들의 이해를 충족시켰다. 또한 조공을 바치는 나라의 경우에는 군사적 위협을 덜어주며, 정치의 정당성 마저도 확보해주는 존재는 너무도 소중한 존재라고 할 수 있다. 억압적인 조공관계에 있었던 元代에 高麗국왕이 좌지우지당했던 일들, 그리고 朝鮮에 있어 즉위나 세자 책봉등을 중국에 구했던 일들이 모두 이와 같은 경우라고 하겠다. 조공체제가 폐쇄적으로 변한 것은 각 국의 지배계급들이 권력을 유지하는 데 더욱 좋은 기회를 제공한 것으로 보인다. 체제의 가장 위에 있던 국가는 책봉국들이 안정화되기를 바라며 따라서 직간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다. 조공제도에서 또하나의 커다란 폐해는 사대주의라 하겠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에 있어서 사대주의는 국가의 발전에 커다란 해를 끼치었다. 중국에 의지하여 지배 정당성을 획득하고 이에 따른 사대주의, 중국문화의 우수성에 따르는 모화사상은 우리 나라의 정치적·문화적 독자성의 발전을 크게 저해했으며, 특히 19세기 후반에 서구와 접촉하여 그 교역을 수용할 시기에 중국과의 사대관계, 모화사상은 한국의 朝野로 하여금 舊殼에서 일찍 벗어날 수 없게 하였다.
조공제도가 오랫동안 지속되게 된 커다란 이유는 중국인들의 중화사상에 있다고 하겠다. 자신들의 문화적 우수성에 대한 확신, 그리고 그만큼의 힘을 가지고 있었기에 가능했다. 그리고 조공을 바치는 국가들은 그 속에서 자신들의 이해관계를 확장시킬 수 있었기에 쉽게 책봉을 받아들였다고 하겠다.
8. 마치며
조공제도를 어렵게 끝마치며 동아시아 세계질서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 "조공책봉체제" 또한 국가와 국가간의 이해관계를 최대화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었다고 생각한다. 물론 국가내부에 있던 일반 백성들의 경우에는 생활에 커다란 어려움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그러나 당시 지배자들의 체제안정을 위한 뛰어난 체제였으며, 하나의 국제질서로서 오랫동안 이어져 내려왔다. 본인의 미력함으로 우리나라와 중국의 관계에만 초점을 맞추었으나, 조공제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의 단초를 마련했다는 점을 위안으로 삼으며 졸고를 마친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6.19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61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