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와 성령(성령세례 문제와 관련하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누가와 성령(성령세례 문제와 관련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문
1. 누가의 구원역사 이해와 성령
(1) 누가복음
(2) 사도행전
2. 누가와 성령세례의 의미
(1) 누가복음
(2) 사도행전
3. 성령이 예수님에게 오신 의미
4. 성령이 제자들(교회)에게 오신 의미
5. 미래의 연구와 관련하여

Ⅲ. 결 론

- 참고자료

본문내용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이 문제는 여기서 간단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필자는 차후에 "성경 영감문제 신약연구"라는 제목하에 이 문제만을 집중적으로 취급할 기회를 가질 것이다. 여기서 몇 마디 요점만 언급한다면 복음서나 사도행전 혹은 서신들을 신약 저자들의 목회적 선교적 신학적 작품 으로 보고 그러한 관점에서 성경을 연구하는 것과 성경을 하나님의 영감된 말씀 곧 성령의 작품으로 보고 접근하는 것이 바로 성경적이요 그것이 바로 성경의 유기적 영감의 특성이요 그것이 바로 성령께서 의도하신 것이기 때문이다. 마치 그리스도의 신인 양성의 인격처럼 성경의 신인 요소는 불가분리의 유기적 통일성을 이루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우리 신학은 이것을 분리시켜 한면에만 치우 쳐온 감이 없지 않다. 소위 보수적인 입장의 학자들은 예수 그리스도와 성경의 인적인 면보다 오히려 신적인 면에 치중하여 전체를 보려고 했고 반면에 진보주의 입장의 학자들은 예수님과 성경의 신적인 면은 무시하고 인적인 면에만 치중해서 전체를 보려고 했다. 그래서 두 입장 사이에는 엄청난 괴리가 생기게 되었고 자기 입장만을 절대화하는 지경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 점에서 필자는 진보주의자들이 이제 방향을 바꾸어 예수님과 성경의 신적인 면에 새로운 관을 기울여야 하는 것과 똑같이 보수주의자 들도 이제 예수님과 성경의 인적인 면에 새로운 관심을 기울여야만 할 것으로 본다. 그래서 성경에 대 한 진지한 학문적인 연구가 진보주의자들만의 전유물이 아님을 보여주어야 할 것이다. 가장 엄정하고 가장 높은 수준의 성경 영감과 신적인 권위를 믿으면서 동시에 성경에 대한 가장 높은 수주의 학문적 열매들을 산출할 수 있음을 보여주어야 할 것이다. 동시에 진보주의자들은 자신들의 인적 요소 중심의 예수님과 성경 연구는 사실상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을 놓치고 있는 절름발이임을 깨달아 학문적인 오만 의 잠에서 깨어나야 할 것이다. 가장 신적이면서 동시에 가장 인적이며 가장 학문적인 동시에 가장 경 건할 수 있는 일이 왜 불가능한가?
참고자료
1. 차영배,"오순절의 성령강림의 단회적 사역과 그 본질적 사역의 계속성" 성경과 신학3(한국 복음주의 신 학회 논문집, 엠마오, 1986)
2. "오순절 성령강림의 단회성에 관한 R. B. Gaffin교수 의 견해 비평" 성경과 개혁주의 신학 : 오병세박사 회갑 논문집(개혁주의신행협외 1986)
3. 고재수(N. H. Gootjes )교수의 성령으로의 세례에 관하여" 고려신학보16(고려신학 대학원 1988)
4."서철원교수의 성령세례와 구원에 대한 논평" 목회와 성령(총신대학 신학대학원 초청 강연집, 에페소 서원 1991)
5. 안영복 성령론의 바른이해(기독교 문서 선교회 1989)
6."오순절 사건의 올바른 이해" 고려신학보16(1988)
7.정규남 "오순절과 현대교회 에 있어서 성령역사 차영배 교수님의 논문 오순절 성령 강림의 단회적 사역과 그 본질적 사역의 계속 성에 대한 응답 " 성경과 신학3(1986)
8.서철원 "성령 세례와 구원" 목회와 성령(에페소 서원 1991)
9. 합동 신학교 박형용 교수 "성령세례와 체험에 대한 논평" 목회와 성령
10.권성수 "성령세례와 성령충만" 월간목회12(1991)
11. W. M. Ramsey(The Bearing of RecentDiscovery on the Thrustworthiness of the New Testament(London:Hodder & Stoughhton, 1915)
12.H. Conzelmann(The Theology of St Luke (Philadelphia:Fortress, 1961, 1982))와 EHaenchen(The Acts of the Apostles(Philadelphia:The Westminster Press, 1971)
13. N. B. Stonehouse, Christianity According to the Prologue, The Witness of Luke to Christ(Grand Rapids:Baker Book House, 1970)
14.C. K. Barrett, Luke the Historian in Recent Study(London, 1961)
15.G. Klein, Lukasl als theologiches Program, Zeit und Greschichte ed Dinker(Tubingen, 1964)
16.W. C. Van Unnik, Remarks on the Purpose of Lukes Historical Writing(Luke 1:14), Sparsa Collectal(Leiden, 1973)
17.L. A. CAlexander, LukeActs in its Contemporary Setting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refaces(Ph. D. Thesis, Oxford University Press, 1977)
18.See G. W. H. Lampe, The Holy Spirit in the Writings of St Luke, ed D. E. Nineham, Studies in the Gospels:Essays in Memory of RHLightfoot(Oxfor, 1955)
19. A. J. Mattill, The JesusPaul Parallels and the Purpose of LukeActs:H. H. Evans Reconsidered, Nov T. 17(1975)
20. Conzelmann, The Theologyof St Luke, pp 15-17;WBTatum, The Epoch of Israel, NTS 10(1966-1967), pp 184-195
21. J. Jeremias, New Testament Theology 1(New York:Charles Scribners Sons, 1971)
22. Marshall, Commentary on Luke(Grand Rapids:Eerdmans, 1978), p 150
23.J. D. Dunn, Spirit and Kingdom, Exp T. 82(1970-1971)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4.07.13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04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