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은 성령을 어떻게 말하는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약은 성령을 어떻게 말하는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들어가는 말

제2장 본격적인 말
Ⅰ. 누가는 성령을 어떻게 이해했는가?
1.승천 이전에 활동하신 성령
2. 오순절 이후에 활동하는 성령
3. 결론적 함축들
Ⅱ.요한은 성령을 어떻게 이해했는가?
1. 예수 승천 이전 시기의 성령
2. 예수 승천 이후의 성령
3. 결론적 함축들
Ⅲ.누가와 요한의 성령론 비교

제3장 나오는 말

본문내용

은 계시적 지혜의 영으로서 십자가에 들린 예수께서 인류를 살리는 영생의 길이라는 것을 깨닫게 하고 영적인 참된 이해와 지식에 이르게 함으로써 사람들을 재창조하신다. 승천 이전 시기에 예수를 통해 역사하던 성령의 구원 사역이 승천 이후에 보혜사 성령의 활동들 가운데 통합되는 것을 알수 있다. 성령 보혜사는 예수의 성육신, 세례, 십자가 등과 같은 예수의 역사적 사건들의 참 의미들을 증거하는 증거의 영이시다(요일5:6-10). 그는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 메시야가 되신다는 참 믿음의 이해에 도달하게 만들고(요일4:1-6) 그들을 하나님의 자녀로 출생하게 만든다(요1:12-13; 3:5-6).
성령은 또한 그들 속에 내주하셔서 세상과 죄를 이길 능력을 제공하시며(3:9) 하나님의 자녀 된 증거로서 계명을 순종하고 의를 행하며 참 사랑을 실천하게 만든다(요일2:29; 3:10,24). 하나님의 참 자녀들은 참 믿음의 고백과 참 사랑의 실천을 통해 특징화되는 사람들이다. 이로써 성령은 새 언약 백성의 존재와 고백, 예배, 증거, 생활을 지탱하는 유일한 원천이신 것이 분명하다.
Ⅲ.누가와 요한의 성령론 비교
누가와 요한의 성령은 기본적으로 구약과 유대교에서 대망되었던 ‘예언의 영’(the Spirit of Prophecy)사상에 기초해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반면, 누가는 성령을 제자들의 구원사역을 집행하는 능력으로 강조하고 있고 요한은 보혜사로서의 성령님 즉, 계시적 지혜의 영이며 우리의 대언자로서 증거하시는 영으로 사람들을 재창조하는 영으로 이해했다.
누가는 예수의 구원사역이 지속, 심화, 확대되는 결정적인 사건을 오순절 성령강림으로 이해하며 성령의 필요를 구원사역의 땅 끝까지의 확장을 위한 것으로 이해한다.
요한 또한 증거사역을 위한 성령의 필요를 인정한다. 그러나 요한의 보혜사 성령은 1차적으로 제자들로 구성된 신앙 공동체의 생활을 뒷받침하기 위해 주어진 선물이다. 성령님은 이해를 하지 못하는 제자들에게 이해를 시켜주는 안내자요 해석자로 인식한다. 제자들의 영안을 열어주기 위한 선물을 성령으로 이해하고 있다.
누가는 오순절 성령의 선물을 회개와 세례, 믿음과 연관시켜 성령을 회심과 입문의 맥락에서 주어진 선물로 이해한다.
요한은 보혜사 성령은 우리들 속에 내주하셔서 세상과 죄를 이길 능력을 제공하시고 하나님의 자녀된 증거로서 계명을 순종하고 의를 행하며 참 사랑을 실천하게 만드는 주체로 이해한다.
제3장 나오는 말
누가와 요한이 이해하는 성령은 전체적인 맥락에서 같다. 왜냐하면 한 사람은 이단이고 다른 사람은 제자가 아니라 둘다 같은 성령님께 이끌리어 성경을 저술했기 때문이다.
어떻게 보면 말의 아와어만 다른 것 같고 다 같은 말처럼 느껴진다.
그러나 누가는 오순절 강림하신 성령님을 강조하고 있고 요한은 우리의 삶속에서 역사하시는 보혜사 성령님을 강조하고 있는 차이점만 있을 뿐이다.
사실 책을 읽으며 많은 부분에서 이해되지 않고 의문이 나는 사항이 있었지만 기본적으로 성령은 어떤 것이라는 맥을 잡을 수 있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5.16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71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