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DB시스템을 이용한 지적 및 등기정보 통합이용에 관한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2. 공간정보시스템

3. 데이터베이스의 이질성과 해결방법

4. 공간정보의 상호운용

5. 결 론

본문내용

ry)을 알고 있으면 고유번호와 주민번호를 이용하여 다른 DB에서 필요한 정보를 항상 불러올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기술적 해결책은 항상 법과 제도의 보완과 기구 운용적인 면에서 해결이 선행되어야 실현 가능하다. 지적과 등기정보를 전자적인 형태로 공동활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정책적인 결정과 양 조직 구성원의 필요성 인식, 상호간의 신뢰구축 등이 이루어지고, 관련 기관간에 책임의 한계와 업무절차에 대한 규정을 제정하며, 통신망을 통하여 자료를 교환할 수 있도록 지적법, 부동산등기법 및 시행규칙 등의 관련법 개정이 필요하다.
지적과 등기정보는 국가행정전반에 필수 불가결한 기본정보이다. 그러나 이들 정보를 이용하는 많은 분야에서 자료의 유통이 종이문서나 자기테이프 등에 담겨져 오프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지적과 등기DB를 기본정보로 하는 공공 및 민간부분의 온라인 어플리케이션(on-line application)이 개발된다면 국민편익을 증진하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신속, 정확한 행정을 펼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 이런 응용분야가 하나씩 모여서 국가단위의 정보기반시설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정보통신부,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의 공통데이터교환포맷 표준, 1996
행정자치부, 시군구 행정정보화 시범사업(선행사업) 완료보고서, 1998.
한국전산원, 국가기본정보 공동활용체계 구축방안 연구, 1999.
한국전산원, 시군구 행정종합정보화 사업추진 기본계획(안), 1997.
한국전산원, 정보화를 통한 부동산관리업무 혁신방안에 관한 연구, 1997.
Bishr, Y., Semantic Aspects of Interoperable GIS, ITC Publication, 1997.
Brenner, J., Distributed Application Services, Open Framework, Prentice Hall International, 1993.
Bordie, M. L., The Promise of Distributed Computing and The Challenge of Legacy Information Systems, Proceedings of IFIP WG2.6 Database Semantics Conference on Interoperable Database Systems (DS-5), Lorne, Victoria, Australia, 1992, pp 1-31.
Buehler, K., Mckee, L., The Open GIS Guide, Introduction to Interoperable Geoprocessing, Open GIS Consortium, 1996.
Chatterjee A., Segev A., Data Manipulation in Heterogeneous Database, SIGMOD Record, vol. 20, No. 4, December, 1991. pp 64-68.
Deignan, F., Hollingsworth, D., Networking Services, Open Framework, Prentice Hall, 1993.
FGDC, Spatial Data Transfer Standard (SDTS),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Inc., 1997.
Gardels, K., A Comprehensive Data Model for Distributed, Heterogeneous Geographic Information,
http://regis.berkeley.edu/gardels/geomodel_def.htm, 1997.
Goh, C. H., Madnick S. E., Siegel M. D., Context Exchange: Overcoming the Challenges of Large-scale Interoperable Database Systems in a Dynamic Environment,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and knowledge management (CIKM), 1994.
Hebbel, F., Distributed Object Oriented Systems,
http://www.opengis.org/ogc/distobj1.htm, 1996.
Howe D., Data Analysis for Database Design, Edward Arnold, 1989.
Molenaar M.,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Spatial Object Modelli ng for GIS(Research Monographs in GIS), Taylor & Francis, 1999.
OMG, The 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and Specification, Object Management Group, 1996.
Radwan M. M., Bishr Y., Open System Perspective to federated Heterogeneous Spatial Databases, Report to OEEPE Steering and Science Meeting, Leipzig, Germany, 1996.
Robinson, I., Distributed Information Access Technologies, Osborne Mcgraw-Hill, 1993.
Sheth A., Larson J., Federated Database Systems for Managing Distributed, Heterogeneous and Autonomous Databases, ACM Computing Surveys Vol. 22, No. 3, 1990, pp183-236.
UCSG, Delivering Data to the Desktop - A Guide to ODBC Drivers, Universities and Colleges Softrrrrrrrrrrrrrrrrrrware Group Middleware Working Part y, 1995.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04.09.06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52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