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과 디자인-한국 전통문양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전통문양
(1)문양의 의의
(2)문양의 발생
(3)문양의 특징

2.연꽃 문양
(1)연꽃무늬
(2)연꽃무늬의 유래
(3)연꽃무늬의 종류
(4)연화문

3.도깨비문양
(1)도깨비문양

4.태극문양
(1)태극문양
(2)태극무늬의 자취

5.구름문양
(1)구름문양

6.나무문양
(1)나무무늬의 기원
(2)종류와 상징적 의미
(3)쓰임새

본문내용

전설 속에 나타나고 있으며, 이를 형상화한 문양이 여러 방면에 시문되었던 것이다.
6.나무문양
(1)나무무늬의 기원
우리는 어느 민족보다도 나무에 얽힌 사연들이 많다.
또는 무늬로 나타낸 미술품도 적지 않다. 우선 나무를 원형으로 표현하는 방법은 대개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그 하나는 신화적인 발상이며 또 한 가지는 자연 신앙에 의한 것이라 하겠는데, 그 예로서 첫번째는 신단수로 자연수를 신화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두번째는 소도라하여 인공으로 다듬어 신앙화시켜 나타낸 막대기인데 , 각기 신나무, 신대라는 점에서 서로 공통성이 주어진다. 민속 신앙적으로는 '신단수'를 서낭나무의 원형으로 볼 수 있고, '소도'는 후대의 서낭대 또는 '솟대'라 하는 것과 연관지을 수 있다. 신단수는 곧 세계수이며 우주목이어서 신내림 나무라 할 수 있으니, 그 나무는 하늘에 이르는 높은 산 위에 솟아 있어서 천신들은 이 나무를 타고 오르내린다. 따라서 신단수는 하늘과 땅을 이어주는 기둥구실을 하여 하늘사다리, 곧 천제라 일컫는다. 우리 신화에는 그 나무 아래에 하늘님이신 환웅께서 내려와 신시를 열고 나라를 세루니 이로써 우리나라의 기원이 되는 것이다. 그 나무가 지닌 우주성과 세계성, 그리고 신앙성은 그림으로 또는 무늬로 표현되어 왔는데 그 표현 양식이 각기 다양하다. 그리고 신단수는 공동체의 중심이 된다고 보고 있는데, 이는 그것이 단순히 공간적 중심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중심임을 의미한다. 신수의 세계성, 우주성은 자연관과 관련되며, 공동체성은 정치적, 사회적 공동체 성립과 관련되어 강한 문화적 징표를 지니고 있다.
나무를 나타내는 상징 도형은 나무의 뿌리, 줄기, 뻗어나간 가지를 나타내는 형상의 그림 문자로 나타나며, 신화적인 혹은 종교적인 의미를 지닌 문자와 상징들이 상당히 많이 사용되어 왔다. 오늘날까지 민간 신앙으로 전하고 있는 서낭나무 신앙은 고대 이래의 신내림나무, 신령나무의 관념이 공존한다고 믿고 있다. 동양 고건축의 목조 건축 양식에서 뿐 아니라 희랍 고전 건축 양식의 하나인 도리스식, 코린트식, 이오니아식 건축 등도 그러한 나무의 형상으로 기둥을 삼고 있다. 즉 도리스식 건축을 대표하는 올림피아에 있는 헤라의 사당과 코린트식의 아칸더스 주두, 또 아테네 전성 시대 건물인 에랙테움 전당의 기둥, 그리고 인도 가야산에 있으며 석가가 그 나무 아래 앉아서 7년간 도를 깨달아 정걱을 성도했으며 해마다 석가가 입멸한 날에는 잎이 시든다고 하는 지성의 나무, 또는 명상의 나무라 하는 보리수 등 모든 고전 건축의 기둥 형식은 우주 세계를 받들고 있는 거대한 나무, 즉 우주목으로 표현되고 있음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이외에도 '나무도령 설화', '나무꾼과 선녀', '오누이 전설'등 성화와 신이담이 하늘과 땅을 이어주는 나무를 소재로 하고 있다.
나무에 얽힌 생활 신앙 요소가 그림으로 그려진 민화라든가 실제 존재하지 않는 나무에 전설로 내려오는 이야기도 적지 않다. 서왕모의 궁정에서 자라는 복숭아 나무는 3천 년에 한 번 꽃이 피며, 영원히 생명의 열매인 천도는 3천 년이 지나야 열매가 열리는데 그 천도를 먹으면 장수한다고 한다. 그래서 복숭아 나무는 귀신이 두려워하기 때문에 집안에 심어 놓거나 그 가지를 문 중방에 걸어 놓아 병마등 잡귀가 집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부적의 역할을 한다고 전하는데, 오히려 그것을 집안에 두면 조상의 영혼까지 쫓아버려 좋지 못하다는 속신도 있다. 또 담장에 찔레나무를 올리면 호상이 온다고 하여 그 나무를 심는 것을 삼가하였다든가, 자귀나무를 집안에 심으면 부부간의 애정이 깊어지고, 엄나무는 잡귀를 물리치는 위력을 지니고 있으며, 석류나무는 자손이 크게 번창한다고 하였다.
(2)종류와 상징적 의미
나무를 소재로 한 무늬의 증류는 대개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그 하나는 불교적인 소재의 것으로 보상화, 연화, 보리수 등이고, 두번째는 생활과 관련된 기복 신앙의 요소로서 모란, 연화, 매화, 국화, 파초, 대나무, 감나무, 소나무, 잣나무, 밤나무, 배나무,뽕나무,복숭아나무, 버드나무, 석류나무, 포도나무, 계수나무 등이 주로 나타난다.
중국이나 우리나라에서는 4계절을 나타내는 상징 꽃나무가 있다.
즉 봄은 작약, 여름은 연화, 가을은 국화, 그리고 겨울은 매화이다. 또 1년에 12달을 상징하는 꽃나무가 정해져 왔다. 그 종류와 순서는 1월은 매화, 2월 복숭아꽃, 3월 작약, 4월 벗나무, 5월 목련, 6월 석류, 7월 연화, 8월 배나무, 9월 당아욱, 10월 국화, 11월 치자나무, 12월 양귀비 등이다.
이 밖의 수목 무늬들은 각기 여러가지 길상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예를 들자면 매화, 대나무, 국화, 연화,모란 등의 소재를 다룬 무늬는 회화의 그림 소재에서 옮겨온 것으로, 흔히 군자의 곧고 청렴한 기상과 비유되어 4군자라 일컬어지고 또는 세한삼우라 불려져 왔다.
(3)쓰임새
우리 미술에서 나타나는 수목 무늬가 각기 지니고 있는 의미와 쓰임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매화에 대하여 고사에서 이르기를 "춘한속에 홀로 핀 야매의 고고한 자태는 군자와 고사의 지조와 절개"로 비유하고 있다. 또한 "매화는 선비의 아취를 지니고 대는 대장부의 기백을 지녔도다"라는 시제에서 말해주듯이 이러한 간일한 그림 소재는 전인의 품격을 반영하고 있다.
매화, 대나무는 문인화 등 회화에서 뿐만 아니라 고려 시대 이래 도자기, 나전칠기 등 공예에서 장식 문양으로 많이 쓰여지고 특히 문인의 기품을 반영하는 요소로 문방제구의 무늬로 즐겨 사용되어 왔다.
대나무 그림의 소재는 문인화로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중국이나 우리나라에서는 '죽'이 '축'과 같은 음, 같은 소리를 내기 때문에 이에 착안하여 축수의 의미로서 취죽도가 많이 그려졌다. 대나무와 매화, 그리고 소나무는 능히 추위를 이겨내기 때문에 연연세세 영구불변의 절조와 비유되고 또한 변하지 않는 우정을 뜻하였다.
따라서 건축 장식이나 가구장식, 각종기물이나 의상의 무늬로 쓰여져 왔다. 대는 수명이 길고 사시 사철 늘 푸르러서 장수를 상징하고 있다.
소나무 대나무 버드나무 매화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4.09.13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67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