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섬유산업의 발전방안과 최근의 수출실적동향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현황
1. 섬유산업의 국내경제상 위상
2. 국내섬유산업의 세계위상
3. 주요 섬유국의 특징과 경쟁력 현황
4. 지식경쟁력 분석

II. 지역섬유산업의 현황
1. 우리나라 섬유산지별 현황
2. 대구경북지역의 섬유산업
3.지역섬유산업의 문제점

III. 대구섬유산업육성방안「밀라노 프로젝트」
1. 기본목표
2. 사업개요
3. 밀라노 프로젝트 추진 후 지역섬유산업의 모습

IV. IMF이후 섬유직물수출 현황
1. 대구경북지역의 섬유산업수출 비중
2. 섬유직물류 품목별 수출 현황
3. 폴리에스터직물의 국가별 수출 현황
4. 환율변화와 섬유직물의 수출실적 변화

본문내용

.92
73,179
45.90
3.23
브라질
71,678
-16.1
1.73
110,697
54.4
3.32
65,014
-32.70
2.87
스리랑카
86,652
18.2
2.09
72,749
-16.0
2.18
55,431
-4.30
2.45
남아프리카공화국
49,860
54.7
1.20
56,649
13.6
1.70
50,033
14.80
2.21
폴란드
116,637
-14.2
2.81
85,662
-26.6
2.57
49,763
-38.40
2.20
터키
103,551
114.2
2.49
98,822
-4.6
2.96
48,877
-42.20
2.16
베트남
85,728
-6.0
2.06
69,179
-19.3
2.07
46,038
-19.90
2.03
과테말라
35,776
44.2
0.86
42,559
19.0
1.28
41,859
26.70
1.85
스페인
63,274
15.2
1.52
52,498
-17.0
1.57
36,505
4.40
1.61
싱가폴
85,470
-13.8
2.06
37,190
-56.5
1.11
35,460
28.10
1.57
오스트레일리아
86,799
18.8
2.09
56,410
-35.0
1.69
35,444
-19.20
1.57
파나마
59,786
-19.4
1.44
55,773
-6.7
1.67
32,825
-27.60
1.45
일본
86,793
10.8
2.09
49,930
-42.5
1.50
31,270
-23.20
1.38
필리핀
45,393
32.7
1.09
37,684
-17.0
1.13
31,215
6.10
1.38
대만
59,298
-11.9
1.43
38,160
-35.7
1.14
18,854
-36.80
0.83
태국
19,902
-32.7
0.48
15,331
-23.0
0.46
18,450
57.50
0.82
말레이지아
10,242
-29.3
0.25
7,547
-26.3
0.23
9,827
102.70
0.43
세 계 전 체
4,154,645
-5.1
100.00
3,337,787
-19.7
100.00
2,262,727
-14.50
100.00
1997년 이후 중국, 대만 및 홍콩 지역의 수출비중은 29%수준에서 IMF이후 1998년에는 23%수준으로 감소하였고, 1999년 9월 누계기준으로 20%수준까지 감소하여 97년 이후, 전체 수출지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약 9%이상 감소하였다. 반면 인도네시아, 싱가폴, 필리핀, 태국, 말레이시아의 동남아 5개국의 경우, 동남아 외환위기로 97년 기준 5.87%에서 98년에는 3.72%로 감소하였다가 99년 9월 현재로는 7.43%로 오히려 외환위기 이전수준보다 증가하였다. 하지만 수출실적을 살펴보면, 동남아5개국과 과테말라, 남아프리카공화국, 스페인을 제외하고는 모든 지역에서 감소하였다.
4. 환율변화와 섬유직물의 수출실적 변화
IMF이후 환율의 급격한 변동과 금융위기가 우리 나라 수출에 미친 영향을 산업전체수출, 총섬유수출, 직물류수출, 대구경북지역직물류수출, 폴리에스터직물수출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아래의 표와 같다.

구 분
평균환율
산업전체
섬유산업
직물류
직물류
(대구경북)
PE직물
1997년
937.15
136,164
18,345,922
10,491,949
4,544,652
4,154,645
1998년
1398.90
(49.3↑)
132,313
(2.8↓)
16,532,097
(9.9↓)
8,782,579
(16.3↓)
3,655,019
(19.6↓)
3,337,787
(19.7↓)
1999년
(9월누계)
1194.52
(17.3↓)
101,201
(3.7↑)
12,538,096
(1.8↓)
6,621,312
(3.2↓)
2,413,773
(17.1↓)
2,262,727
(14.5↓)
단위 : 천불(단, 총상품수출은 백만불), ( )는 증감율(%)
1999년은 전년누계(1998년 9월누계)대비 증감율임.
즉, IMF이후 98년 한해 경제위기로 인한 수출침체를 겪은 뒤에, 99년도에는 우리 나라 산업전체 면에서는 원/달러 평가절하로 인한 수출증대효과와 동남아경제의 회복 그리고 최근의 엔화절상 등의 호재로 인해 상품수출이 전년누계대비 오히려 3.7%증가하였으나, 섬유산업부문은 99년에도 1.8%정도 감소하였고, 이는 직물류 3.2%감소, PE직물 14.5%감소로 나타나 섬유산업중에서도 PE직물부문이 IMF이후 가장 큰 침체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물산지인 대구경북지역의 경우 다른지역에 비해 더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 : KOTIS
IMF이후 환율변동이 PE직물수출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97년 연평균 환율이 937.15원에서 98년 연평균 환율이 1398.90원으로 49%정도 평가절하가 되어 수출물량은 세계주요합섬직물시장의 침체에도 불구하고, 약 2.6%정도 감소하는데 그쳤으나, 수출단가는 17.7%정도로 큰 폭으로 감소되어 수출금액 면에서는 19.7% 감소하였다.
1999년은 9월 시점으로 전년대비 평균환율이 17%정도 평가절상 되었고, PE수출물량은 9월 누계기준으로 약 0.2%정도 감소로 그쳐, 수출물량은 다소 회복되고 있다. 수출단가는 최근 회복세로 들어섰으나, 97년 11월 급락이후 여전히 IMF이전 수준으로 회복하지 못하고, 99년 한해도 평균 전년대비 14% 이상 여전히 감소하였고, 수출금액 면에서는 전년대비 누계기준으로 14.5% 감소하였다.
지역섬유산업의 발전방안과
최근의 수출실적동향
목 차
I. 우리나라 섬유산업의 현황
1. 섬유산업의 국내경제상 위상
2. 국내섬유산업의 세계위상
3. 주요 섬유국의 특징과 경쟁력 현황
4. 지식경쟁력 분석
II. 지역섬유산업의 현황
1. 우리나라 섬유산지별 현황
2. 대구경북지역의 섬유산업
3.지역섬유산업의 문제점
III. 대구섬유산업육성방안「밀라노 프로젝트」
1. 기본목표
2. 사업개요
3. 밀라노 프로젝트 추진 후 지역섬유산업의 모습
IV. IMF이후 섬유직물수출 현황
1. 대구경북지역의 섬유산업수출 비중
2. 섬유직물류 품목별 수출 현황
3. 폴리에스터직물의 국가별 수출 현황
4. 환율변화와 섬유직물의 수출실적 변화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4.09.14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70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