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 동아시아의 근대화 운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980년대 동아시아의 근대화 운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머리말 (1860년 이후의 동아시아 정치환경)
동아시아의 근대화운동
1. 양무운동
2. 무술변법운동
3. 명치유신
맺음말

본문내용

와 같은 준비 위에 1888년에 천황의 이름으로 헌법을 반포하니, 이것이 1946년까지 시행된 明治憲法이다. 내각은 천황에게만 책임을 지고 군대통수권 및 선전·강화·조약체결의 권한은 천황에게 귀속되었다. 의회는 貴族院과 衆議院으로 구성되었는데, 모든 면에서 천황의 절대권과 그것을 실제로 장악하고 있는 과두집정세력의 영도권을 보호하는 조치를 충분히 취한 입헌체제의 확립이었다. 천황제에 대한 정신적 지도 지침으로는 이듬해에 발표된 敎育勅語가 있었는데, 이는 국가와 천황과 도덕의 근원을 일체화하여 천황에의 충과 어버이에의 효를 도덕의 근원으로 규정하는 유교적 덕목이 나열된 것이었다. 이로써 천황은 국민이 절대적으로 복종해야 할 정신적, 도덕적 권위로서 등장하게 되었고, 천황제 국가가 성립하였다.
이 후, 청·일전쟁의 승리와 그 배상금을 바탕으로 한 戰後經營을 통하여 명치 헌법 체제의 내실이 비로소 완성되고, 천황제 국가가 체제적으로 확립하기에 이른다. 즉 1900년 전후의 시기에 대외적으로는 금본위제가 성립되고 조약 개정이 실현됨과 아울러 민법, 상법을 중심으로 하는 국내법 체계가 정비되어 자본주의 발전의 조건이 갖추어졌다.
천황제 국가가 체제적으로 확립된 시기는 세계사적으로 보면 제국주의 단계로의 고전적 전환기이며, 무엇보다도 그 확립을 가져온 청·일전쟁의 승리가 중국에 대한 제국주의 열강의 식민지 분할을 본격화한 계기가 되었고, 그 확립은 동시에 일본이 제국주의 국가로 넘어가는 전기이기도 하였다.
3. 맺음말
19세기 중엽에 일어난 중국과 일본의 개방은 동아시아 세계질서와 이를 유지하여온 중국 중심적인 조공제도에 대한 서방제국에 의한 도전의 결과이며, 그 후 1870년대 초부터 80년대 초 사이에 일어난 한국의 개방은 이른바 서양의 충격(the impact of the West)에 희하여 조성된 동아시아의 새 국제질서가 전통적인 세계질서를 대체하여 간 과정을 분명하고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
서방의 압력으로 중국과 일본은 문호 개방을 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일본의 문호개방은 중국의 경우와는 달리 전쟁을 겪지 않았으나 정권의 붕괴를 초래했으며, 서양세력의 강압에 의해 맺어진 조약 모두가 중국과 일본에게 불리한 내용인 불평등 조약이었다.
서양의 세력은 동아시아 나라들에게 위협적임과 동시에 뒤따라야 할 대상이었기에 1860년대 이후에 발생한 근대화운동은 서양의 것을 모방하여 정치·경제·문화 등의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펼쳐졌다.
중국의 양무운동과 무술변법운동은 서양 열강의 침략으로부터 중국의 위기를 구하려는 입장에서 출발된 것인데도 제국주의에 대한 저항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그들의 도움을 받아가며 운동을 전개시켜 나가려 하였고, 또한 일본의 명치유신의 주체가 권력의 핵심을 장악하고 개혁을 추진하였던 것과 비교하면 이 두 운동의 주체 세력은 중앙 정권의 핵심을 장악하지 못했다는 한계와, 운동의 바탕이 되는 사상 즉 중국의 전통제도는 그대로 둔 채 서양의 과학 기술만을 받아들인다는 '中學爲體 西學爲用 사상'의 한계로 인해 실패햐였다.
그러나 비록 실패하였다 하더라도 그들이 제창하였던 정치제도의 개혁바람은 중국인의 정치의식을 깨우치게 하였고 또한 민족자본의 기업의 발생과 발전을 가져왔다.
양무운동의 실시로 중국에서 민족 자본기업의 첫 발걸음을 내딛게 하였고, 후에 일어난 중국의 半植民地化를 어느 정도는 늦추었으며 이 운동기간에 설립된 학교에서는 전문 인재를 양성하게 되어 중국사회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였다.
또한 무술변법운동의 실시는 중국들에게 구국과 애국의 정신을 고취시켰고, 운동의 실패는 혁명의 태동의 되었다.
마지막으로 명치유신의 실시는 일본의 자본주의의 성공을 이끌었으며, 이것은 후에 일본이 제국주의의 길을 걷는데 그 바탕이 되어 주었다.
※참고도서
.민두기, 『일본의 역사』, 지식산업사, 1976. 11. 1.
.김경희, 『개관동양사』, 지식산업사, 1983. 3. 20.
.임혁순저, 서울대동양사연구실편, 『강좌중국사Ⅴ』, 지식산업사, 1989. 11. 5.
.윤혜영저, 서울대동양사연구실편, 『강좌중국사Ⅵ』, 지식산업사, 1989.
.김용덕저, 서울대동양사연구실편, 『강좌중국사Ⅶ』, 지식산업사, 1989.
.신승하, 『중국근대사』, 대명출판사, 1990. 8. 26.
.趙矢元·馮興盛 공저, 『중국근대사』, 청년사, 1990. 3. 30.
신승하, 『중국사』, 대한교과서,1998.
박영재·박충석·김용덕 공저,『19세기 일본의 근대화』, 서울대학교출판부,1996.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09.23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84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