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잡극의 작가와 작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 잡극의 작가와 작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잡극>

1.西廂記(서상기)
緖論
本論
結論

2.關漢卿(관한경)

3.마치원(馬致遠)

<참고자료>

본문내용

작품의 작품성과 그의예술가적 자질을 평가한바 있다. 세상을 개탄하고 경치를 노래한 작품에 뛰어난 것이 많으나, 은둔사상(隱遁思想)이 짙어 잡극에서 보는 허무사상과 통하는 것이 있다.
-소령 창작 능력이 뛰어남
마치원은 소령 창작에도 뛰어난 능력을 발휘했다. 소령이란, 원대에 흉성한 시가의 하나로 민가소조(民歌小調)와 설창(設唱)예술에 기초하여 발전된 것이다. 사와 비슷하여 장단이 일정하지 않고, 구의 형식이 시처럼 규격화되어 있지 않았다. 비교적 솔직한 언어 사용을 하고 규격이 없으므로 글자 수에 크게 제한을 받지 않는다. 몽고인은 유목민족이기 때문에 격률이 엄격하고 우아한 시나 사보다는 소령이 더 친근하게 느껴짐이 사실이다.
마치원의 소령은 104수가 현존하는데 그 중 28자로 된 [천정사(天 沙).추사(秋思)]가 유명하다.
--- 썩은 나무 위에 까마귀,
물 흐르는 작은 다리 옆의 인가들.
서풍 속에 옛 길 지나가는 여윈 말,
석양이 지는 서쪽,
하늘가에서 사람의 애를 끊나니.
이 소령은 가을날의 황혼을 애처롭게 그려, 유랑자의 쓸쓸한 마음을 표현하였다. 동사를 사용하지 않고 명사를 배열하고 있어, '클로즈업'기법같이 상징적인 화면이 머리 속에서 가득 펼쳐지는 느낌이다.
이 소령의 1구는 가을 풍경을 묘사하여 암울한 분위기를 그려내면서 나그네의 애수를 함축적으로 부각시켰다. 2구는 다리 밑으로 흐르는 물과 그 옆의 인가에 안주한 사람들을 통해 나그네의 정처 없는 발길을 역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1구가 애처로워 보이는 풍경으로 자신의 애수를 나타냈다고 하면 2구는 다른 사람들의 기쁨 속에서 처량해지는 자신의 모습을 나타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의 2구는 작품 전체의 애처로움과 쓸쓸함을 나타내는 한편, 나그네의 설움의 원인을 알려주는 핵심이 되는 부분이다.
이 소령은 음절이 조화롭고 색채가 선명하여 시적 경지에 도달하였을 뿐 아니라, 화폭에 하나씩 그려 넣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주덕청은 [중원음운]에서 이 소령을 가을의 느낌을 표현한 대표적인 작품이라고 하였고, 근대의 오매는 [고곡진담]에서 고금을 넘나드는 작품이라고 극찬하였다. 여기에서 볼 때 오늘날 [추사]가 문학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 지 알 수 있다.
여기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마치원은 소령을 한 폭의 그림과 같이 표현한다. 그렇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정말 엄청난 관찰력이 필요할 것이다. 작가로서 그런 눈을 가질 수 있고 그렇게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은 정말 엄청난 재능이다. 마치원의 소령은 수량 면에서도 원대의 으뜸이지만, 그 내용 역시 원대의 으뜸이라고 하겠다. 마치원에 관한 좀 더 많은 자료가 있었으면 하는 생각이 든다. 이렇게 훌륭한 작가의 기록이 많지 않다는 사실이 마치원에 대해 좀 더 알고 싶은 나에게는 너무 큰 아쉬움이 남는다.
<참고자료>
1998, 중국 문학 산책 --백산서당--
1996, 중국 역사와 문학(하) --학문사--
중국 문학사 --신아사ecie
두산 동아 대 백과 사전
http://muhupin.com.ne.kr/index.htm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2.02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44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