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정세와 21세기 한반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동북아정세와 21세기 한반도

1. 평화와 번영의 동북아시대

2. 동북아시대의 도래

3. 동북아시대 구상

4. 동북아구상과 한반도 전략

본문내용

의미 (북한이 뚫리지 않으면 진정한 동북아 수송네트워크는 완결될 수 없음)
- 즉, 남북한 관계를 동북아질서의 틀 속에서 풀어내고, 동북아질서의 구축을 통해 남북한관계를 진전시켜나겠다는 발상임.
- 참여정부의 ‘평화번영정책’은 대북정책 (통일정책이 아님)이기도 하지만 한반도 정책이자 동북아정책임.
- 북한을 一國으로 보지 말고 한반도의 일부, 더 나아가 동아의 일부로 보고 접근하는 새로운 인식론이 필요함.
- 북핵문제는 6자회담을 통해 외교적으로 해결함: 중국의 긍정적 역할이 두드러짐.
o 동북아 에너지협력사업과 북한문제
- 북한 에너지문제의 심각성: 에너지난의 해소없이 북한의 재건은 불가능함.
- 동북아에너지협력의 틀속에서 북한에너지문제를 접근
o 가스파이프라인 건설사업
- 정부, 민간자본, 국영기업 등의 컨소시움이 참여하는 다자주의 사업
- 이르쿠츠크 案 (정부의 산업자원부 안): 중러 에너지협력사업에 한국이 참가하는 형태이며, 주로 남한의 에너지시장에 초점을 두고 있어 북한을 배제시키는 방안임
- 사할린 案: 북한을 참여시켜 동북아지역사회로 개방을 유도하고, 북한 에너지난을 해소하여 경제재건의 기초를 마련해주며, 핵문제도 같이 해소하는 다목적 사업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2.15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54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