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계획서(유기농산물 인터넷 판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업계획서(유기농산물 인터넷 판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아이템명

2. 설명(사업개요)

3. 이유

4. 창업준비사항 및 비용
1) 소요자금 분석
2) 창업준비

5. 시장환경 및 수익성
1) 시장 세분화
2) 표적시장
3) 인터넷 쇼핑몰 통계 현황[건강식품/농수산물]
4)경쟁력분석
5)수익성

6. 성공요소

7. 홍보 및 마케팅 전략

8. 주요사례

9.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

10. 결론

본문내용

등 파동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우리농산물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고 농약을 사용한 채소류는 아예 처다 보지 않게 되어가고 있다.
○ 또한 인터넷 이용자 수가 2003년말 현재 29,220천명으로 50대 이상을 제외하고 전국민이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주 5일제 근무 정착과 더불어 고속철도가 개통되어 전국이 반나절 생활권에 접어 들었다. 고객과 생산자와의 만남의 장을 만드는 테마상품을 꾸준히 개발하고, 바이오관련 신개발 제품의 신속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 고정고객을 확보하여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6. 성공요소
1) 고정고객 확보 : 고객을 파트너로 만들어야 한다. 회원가입에서 물건구입까지 고객을 위한 서비스에 만전을 기한다. 고객은 반응이 빠를수록, 인간적일수록 감동한다.
2) 다양한 경쟁력이 있는 제품과 이벤트 제공 : 상품에 따른 다양한 카테고리를 만들고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여 자신의 샵에서 고객의 필요한 모든 정보를 얻어갈 수 있도록 노력한다
3) 신용과 신뢰성을 돈독히 한다. 소비자가 믿음이 가게되면 자기만이 아닌 주위의 여러 사람에게 자연스럽게 홍보가 되고 또한 수익성이 확보될 것이다. 개인정보의 철저한 보호와 기존고객의 목소리를 듣고 개선할 수 있는 체계를 확립한다.
4) On_line과 Off_line 병행 : 무점포 사업보다는 On/Off_line 사업이 수익성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업의 다각화를 통한 이익창출을 위해서 On_line상에서 경험이 쌓이게 되면 Off_line과 연계하는 방안 강구
7. 홍보 및 마케팅전략
○ 친환경 농산물 및 국립농산물 품질관리원으로부터 인정받은 상품(건강식품 등)과 자연 속에서 성장한 상품만을 취급하여 소비자에게 신뢰성을 확보한다.
○ 소비자의 수준에 맞은 다양한 가격대의 상품을 확보한다. - 적당한 가격에 적당한 품질이 오히려 경쟁력이 있다.
○ 상품에 대한 정보제공 뿐만 아니라 상품을 생산하는 농장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이벤트 상품으로 기획 제공한다.
○ 서비스를 대폭 강화해서 고객이 졸도할 수 있는 정도의 경쟁력을 강화한다.
○ 최대한 널리 알린다. 다양한 이벤트, 언론사 보도, E메일이나 뉴스그룹, 자신이 팔고 있는 아이템에 관심이 있는 동호 게시판도 적극 활용
○ 검색싸이트의 상순위에 링크될 수 있도록 홈페이지 관리에 최선을 다한다.
○ 각 상품의 이미지에 상품에 대한 조리법이나 맛있게 먹을 수 있는 방법을 알 수 있도록 컨텐츠를 구성한다.
예) 참다래는 후숙(後熟)이 되어야 제맛이 납니다. 후숙은 기온이 15도에서 15~20일간, 20도에서 10일정도면 말랑말랑 합니다. 여러 가지 영양가도 풍부하여 특히 비타민 C는 감귤의 4배, 포도나 사과의 20배가 됩니다. 한조각 입에 넣으면 사르르 녹는 것이 감미로우며 사과 딸기 메론을 합친 것 같은 독특한 맛이 나며 그 속에 있는 깨알같은 씨는 고소하기도 합니다. 이 과일은 생과, 술, 쥬스 등으로 드실 수 있습니다.
8. 주요 사례
○ 큰샘유기농축산 : http://www.meattown.co.kr
돼지고기를 판매하는 전문몰이다. 돼지의 생산 및 Off_line 매장에 대한 동영상을 제공하고 있다.
○ 유기농 누림팜 : http://www.nurimfarm.com/
공급자의 유기농 생산현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서 고객의 신뢰를 쌓고 있다.
○ 웰빙 그린세일: http://www.greensale.co.kr/
건강식품 및 채소류를 제외한 알곡위주의 농산물을 판매하는 쇼핑몰이다
○ 애농 : http://62mart.co.kr/
유기농 및 건강식품과 건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포털 형태의 쇼핑몰이다.
○ 웰빙건강클럽 : http://www.bmkshop.com/
건강식품 및 창업에 관한 정보와 최근 창업과 관련한 설문조사 내용도 제공하고 있다
9.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
○ 뉴비즈니스연구소 : http://www.newbiz.or.kr
○ 무료 홈페이지 개설 : http://www.hihome.com
○ 웰빙 건강클럽 : http://www.bmkshop.com
○ 사단법인 한국유기농협회 : http://www.organic.or.kr
○ 농림부 : http://www.maf.go.kr
○ 인터넷 관련 통계 : http://isis.nic.or.kr
10. 결론
예비 창업자는 가격파괴 사업을 기피하고 웰빙 창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e닷컴(www.changupe.com)이 예비 창업자 820명을 대상으로 최근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 응답자의 68.3%는 가격파괴 사업이 ‘유망하지 않다’고 답했다.
. 반면 웰빙 창업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7.1%가 ‘유망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가격파괴 사업은 1000원 김밥, 1000원 만두, 1500원 자장면, 5000원 남성미용실 등이 대표적인 것이다. 3500원 삼겹살, 3300원 화장품, 저가형 생필품점, 할인매장, 인터넷쇼핑몰 등도 가격파괴 사업으로 분류된다.
예비 창업자가 가격파괴 사업을 기피하는 가장 큰 이유는 ‘상품의 질이 낮을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32.5%)이었다. 이어 ‘한때의 유행이기 때문’(31.7%), ‘수익성이 낮을 것 같아서’(21.1%) 등의 순이었다.
웰빙사업이 유망하다고 생각하는 가장 큰 이유는 ‘최근 등장한 새로운 트렌드이기 때문’(68.4%)이었다. 유기농전문점, 전통음식점, 아로마전문점, 스파, 피부관리, 요가 등이 웰빙사업의 주요 아이템이다.
창업e닷컴 이인호 소장은 “웰빙사업은 2002년 하반기 이후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각광받는 창업 트렌드”라며 “‘잘 먹고 잘 사는 것’이 삶의 중요한 가치로 부각됨에 따라 웰빙사업은 더욱 유망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자료출처:동아일보]
개인적으로 정년퇴직을 하게 되면 어떤 형태로든 개인적인 사업을 해야 한다. 시골에서 자랐기 때문에 농산물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지식이 있으며 또한 건강한 삶을 지켜줄 수 있다는 자부심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유기농과 건강식품을 취급하는 쇼핑몰을 꼭 운영해 볼 계획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5.02.28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66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