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산업의 메카 일본시장을 공략하라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 언

해외기업들의 성공적인 시장 진입 어려워

해외기업들의 시장 포지션은 미약한 수준

일본시장의 전략적 의미 재검토 필요

3G 휴대폰이 전략 방향 전환의 계기

일본 전자시장 공략의 4가지 포인트

본문내용

유율 40%를 기록하며 대표적인 히트상품으로 자리매김했는데, 단일 제품 기준으로 2004년 80억엔의 매출을 시현하기도 했다. 특히 이 성과는 비일본계 해외기업들이 성공하기 힘든 일본시장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주목할만하다. 아이팟의 핵심적인 성공요인은 젊은층에게 단순한 제품이 아니라 패션 액세서리 제품이라는 문화 코드로 어필했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 애플은 신제품의 전세계 동시 발매 전략을 채택, 젊은 층에게 새로움과 호기심을 자극하여 이목을 집중시키는 등 문화상품으로서의 이미지를 강조했다. 이 점은 국내기업들이 특히 모바일 A/V 분야에서 신제품을 개발하고 출시하려고 할 때 반드시 참고해야할 대목이다. 이를 위해서는 획기적인 디자인 컨셉을 제품 개발에 접목시키는 노력도 동시에 요구된다.
● 전략적 제휴를 적극 활용하라
일본기업들은 글로벌시장에서 국내기업들이 필연적으로 만나게 될 경쟁자이지만 동시에 새로운 시장을 만들고 키워가는 동반자로서 역할할 가능성도 크다. 따라서 일부 영역에서는 일본기업과의 Win-win의 전략적 제휴를 적극 활용하는 것도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여기에는 동종 업종간은 물론 이종 업종간의 전략적 제휴도 포함된다. 금번의 LG전자와 NTT 도코모와의 제휴를 이종 업종간 전략적 제휴의 대표적인 사례로 들 수 있다. LG전자의 경우 이 제휴를 일본시장 및 유럽 i-mode 서비스 시장 진출의 기회로 적극 활용할 태세다. NTT 도코모 또한 이미 3G 분야에서 앞서가고 있는 LG전자의 글로벌 시장 대응력을 이용하여, 일본 및 유럽에서의 서비스 시장 지배력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 가격9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7.13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70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