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교육 이수 명령을 받은 학생에 대한 인식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자료의 분석
1) 심리.정서적 요인(F1)
2) 사회 환경적 요인(F2)
3) 주관적 요인(F3)
4) 각 관점의 공통점과 차이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이다.
학업에 대한 가치와 관련해서는 학교공부보다 다른 것에 더 관심이 많다는 점(+4)과, 청소년기의 문제행동이 사춘기의 일시적인 행동이 아니라고 보는 점(+3), 학교적응을 위해서는 자기수용과 이해(+4)와 함께 또래 또는 전문가의 지지(+3)가 필요하다는 점 등에 높은 점수를 부여하였다.
그러나 학교 부적응의 문제를 가진 청소년들이 모두 유아기의 발달과정에서 문제를 지녔거나(-3), 오히려 학교제도에 의해 피해자가 전혀 아니라고 인식하면서도(-4), 이기적이지 않다(-3)는 데에 동의하고 있어 이를 일반화하여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이에 따라 진술문 24의 내용과 관련해 "명상기법을 활용한 자기탐색"의 필요성에 동의하였으나, 타인의 수용과 이해에 대해서는 매우 부정적인 견해(-4)를 보였다.
이상에서 주관적 요인에 대한 관점을 유지하고 있는 응답자들의 경우에도 심리·정서적 및 사회·환경적 요인과 관점을 갖는 응답자들과 공통으로 인식하고 있는 점이 발견되었다. 이들의 경우 전자와 비교할 때 학교 부적응 문제의 공통요인으로 자기수용과 이해(진술문 27), 또래 친구의 지지(진술문 33)의 필요성과, 이기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진술문 19)는 데에 대체적으로 동의하였다. 후자와 관련해서는 진술문 19와 27에서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 각 관점의 공통점과 차이점
Q 연구에 있어서 분석되는 것 중의 하나가 산출된 요인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각각의 요인들이 공통적인 견해와 각각의 요인을 차별화하는 진술문에 대한 분석을 의미한다.
분석의 결과 세 가지의 견해가 공통적으로 동의하는 진술문이 2개, 두 가지의 견해가 일치하는 경우가 2개, 두 가지 이상의 견해에서 차이를 보이는 진술문이 2개로 나타났다. 공통적으로 동의하는 진술문 중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진술문은 27의 단 1개에 불과하였으며, 두 개의 견해에 대해서는 진술문 32, 33의 경우로서 역시 2개항에서 일치된 견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을 수용하고 용서할 수 있도록 한다"는 진술문 27에 대해 각각의 요인들이 3, 3, 4를 부여함으로써 매우 강하게 긍정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부모의 지지가 필요하다"는 진술문 32에도 4, 4, (2)를 부여하고 있어 대체로 긍정적인 의사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가운데 진술문 33의 경우에는 "또래 친구의 지지가 필요하다"에 대해 3, (-2), 3을 부여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요인 1(F1)과 3(F3)에서는 서로 견해가 공통되나 요인 2와는 전혀 상반된 견해를 나타내고 있다.
반면에 부정적인 인식으로 공통된 견해가 나타난 것은 진술문 19의 경우로서 "그런 학생들이 이기적인 아이들이라고 생각 한다"에 대해 각각 요인들이 -3, -3, -3의 동일한 점수를 부여하여 매우 유의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앞 절에서 논의한 세 가지 관점과 요인 중 두 개 요인에서 차이를 발생하게 한 진술문의 항목은 1, 28의 경우로 나타났다. 이들 진술문은 학업에 대한 가치 정도와 또래 친구의 지지에 관련된 것들이다. 진술문 1은 요인 2와 3과의 관계에서 -3, 4를 부여하고 있는데 반해, 진술문 28에서는 요인 1과 3의 대응관계에서 3, -4를 부여하고 있어 부정과 긍정의 견해가 전자와 정반대로 나타남을 보게 된다.
참고문헌
교육개발원(2004).『교육통계연보』.
교육부.『96년도 교육부 주요정책 과제』.
김석연(2002).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문화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준호 외(1993). 친구와 비행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서울 : 형사정책연구원.
박성수(1991). 가정교육과 청소년 비행과의 관계. 서울 : 형사정책연구원.
박지홍(2002). "비행청소년의 심리적 성장환경과 성격특성에 관한 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심응철(1992). "심리적 성장 환경과 자아 개념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유성경·이소래(1998). 잠재적 중도탈락 학생에 대한 개입체제 개발연구. 서울 : 청소년 대화 의 광장.
윤미경(2002). "잠재적 중도탈락 학생을 위한 적응유연성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홍익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경림(2001).
이숙영 등(1997). 중도탈락 학생의 사회적응 상담정책 개발연구. 서울 : 청소년 대화의 광장
정동화(1995). "아동의 학교 스트레스와 그에 따른 부적응에 대한 사회적지지의 완충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최희선(1999).
현연화(1998). "중·고등학교 복교생의 중도탈락 예방을 위한 학교사회사업 서비스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마에다(前田重治)(1976). 不適應のみかた, 心理面接の技術, 慶 通信.
Astone et al.,(1971).
Brown, D.(1986).
Ekstrom, Goertz, Pollak, & Rock(1986).
Eysenck(1970).
Finn, J. D.(1989). Withdrawing from school.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9, 117-142.
Groger, H. & Groger, R.(1971). "The Criminogenic Family : Does Chronic Tension Trigger Delinquency," Crime and Delinquency 14, January, 220-225.
Levine, H. M.(1986). Educational reform for disadvantaged students: An Emerging crisis. West Heaven, CT: National Educational Association.
Little & Thomas(1983).
Robinson(1996).
Rotter, J. B.(1954). Social learning and clinical psychology. Englewood Cliffs, N. Y.: Pre- ntice-Hill.
Rumberger(1990).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8.04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88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