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와 한국농업의 진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FTA
■ 정 의
■ FTA의 효과
■ FTA가 선호되는 이유

2. 농업의 국제화
■ GATT와 농산물 무역
■ UR 협상
■ FTA와 농업의 국제화

3. 한-칠레 FTA발효 1주년 교역동향 분석
(1) 수출․입 총괄
(2) 주요 수출 품목 동향
(3) 주요 수입품목 동향
(4) 농수축산물

4. 한국 농업의 문제점과 대처방안
■ 문제점
■ 대 책

본문내용

37
-14.9
2,238(0.3)
63.1
05. 2
573,212
-11.5
2,854(0.5)
27.5
< 농산물 수입동향 >
단위 : 천 달러
구분
대 세계
대 칠레(전체수입 중 칠레 비중, %)
03.4-04.2
04.4-05.2
증가율(%)
03.4-04.2
04.4-05.2
증가율(%)
농산물
6382119
7453208
16.8
19699(0.3)
25442(0.4)
29.2
포도
18371
18540
0.9
11170(60.8)
10928(58.9)
-2.2
키위
22539
44957
99.5
1758(7.8)
2885(6.4)
64.1
포도주
15133
55489
22.9
3503(7.8)
8814(15.9)
151.6
농산물
(포도주제외)
6336986
7397718
16.7
16196(0.3)
16628(0.2)
2.7
※ 수입이 급증할 것으로 우려되었던 포도는 수입이 2.4억원 감소함. 또한 포도주 제외서 농산물 수입증가액은 전년 동기대비 2.7% 증가에 그침
4. 한국 농업의 문제점과 대처방안
■ 문제점
● 국내 생산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수입농산물도 증가해 수급 불안이 심화. 또한 경제 불황에 따른 소비위축으로 대부분의 농산물이 과잉공급상태
● 농가부채의 누증 및 도농간 소득격차의 확대. 96년부터 농가소득, 부채, 가계비 지출의 격차가 커지기 시작하여 외환위기를 거쳐 작년에는 가구 당 2천 7백 만원에 이름
● 경제 사회의 전반적인 발전과 연계된 중장기적인 계획의 부재
● 현재 소비 트렌드의 변화를 catch - up 하지 못함
■ 대 책
● 아이디어와 기술, 창의력에 기초한 지식기반 농업 창출
농업을 보다 경쟁력 있는 산업으로, 21세기형 산업으로 탈바꿈시키겠다는 농민 스스로의 자각과 의지가 필요
● 다른 분야와의 연계를 통한 네트워크
새로운 시장의 개척, 잠재적 경영자원 획득
● 효율성과 유효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농업 정책
경쟁력 있는 농업 육성을 위해 정부는 혁신을 주도하고 지원해야 함. 경직된 규제, 정형화된 규칙 등과 같은 관료형 정책에서 지식을 바탕으로 하는 혁신적 정책으로의 전환이 필요
● 소비시장의 변화에 따른 능동적 대응
떠오르는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할 수 있는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는 한편, 고급 시장의 확대 추세에 맞추어 고가의 농산품 개발이 필요함. 동시에 적극적이고 한차원 높은 마케팅 전략 구사.
참고 자료
1. 벤처농업 미래가 보인다 삼성경제 연구소 민승규, 김성희, 김양식, 권영미
2. 농업과 미래사회 영남대학교 출판부 조석진
3. 경제통합의 이해 법문사 손병해
4. 외교통상부 홈페이지 http://www.mofat.go.kr/
1. FTA
■ 정 의
■ FTA의 효과
■ FTA가 선호되는 이유
2. 농업의 국제화
■ GATT와 농산물 무역
■ UR 협상
■ FTA와 농업의 국제화
3. 한-칠레 FTA발효 1주년 교역동향 분석
(1) 수출입 총괄
(2) 주요 수출 품목 동향
(3) 주요 수입품목 동향
(4) 농수축산물
4. 한국 농업의 문제점과 대처방안
■ 문제점
■ 대 책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9.21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31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