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열풍에 대한 완전분석 - 한류 열풍에 대한 이해와 문제점 및 ‘한류열풍’을 지속시키기 위한 대책 - 한류의 영향과 문제점 및 한계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류 열풍에 대한 완전분석 - 한류 열풍에 대한 이해와 문제점 및 ‘한류열풍’을 지속시키기 위한 대책 - 한류의 영향과 문제점 및 한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Ι.문제의 제기 …………………1

Π.한류의 정의와 원인 …………………1
1)한류의 정의 …………………1
2)한류의 발생과 그 배경…………………2

ΠΙ.한류의 현황분석 …………………3
1)중국에서의 한류 …………………3
2)일본에서의 한류 …………………6
3)대만에서의 한류 …………………7
4)홍콩에서의 한류 …………………8
5)태국에서의 한류 …………………9
6)기타 동남아국가에서의 한류 …………………11

ΙV.한류의 영향과 그 문제점 및 한계 …………………12
1)국제관계에서의 영향 …………………12
2)경제적 영향 …………………14
3)문화적 영향 …………………15
4)문제점 및 한계 …………………16

V.앞으로 한류의 전망과 지속시키기 위한 대책 …………………18
1)앞으로 한류의 전망 …………………18
- 긍정적 전망
- 부정적 전망
2) ‘한류열풍’을 지속시키기 위한 대책 …………………19

VΙ.맺음말 …………………21

본문내용

"우키요에"의 색상으로 장식되었다.
이 19세기 말 유럽문화에서 큰 궤적을 남겼고, 이것이 20세기에 '일본풍', '니폰필(Nippon Feel)', '화류(和流)'등으로 불리면서 일본문화의 세계화를 견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 한류도 아시아의 정신문화를 접목시켜 "Feel Korea"를 아시아적 문화흐름으로 격상시킬 수 있다. 삼성경제연구소, 「한류 지속과 기업의 활용방안」, 2005, pp.19-20.
세번째 방안은, 컨텐츠의 경쟁력을 제고이다. 한국 대중문화가 단 기간내 과다 유입됨으로써 한류를 받아들이는 대상국가가 문화적 예속을 우려하여 거부감을 유발하여 反한류를 초래할 수 있고, 창의적인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개발되지 않을 경우 과거 일본문화나 홍콩영화와 같은 일시적인 유행에 그칠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소재, 탄탄한 스토리라인 및 우수한 탤런트 연기력 등을 확보해서 작품성과 상품성을 겸비한 컨텐츠를 제작하고, 다양한 문화코드를 개발해 소비자 유행을 창조하여 소비 행태를 선도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마지막으로 일반인들의 태도 변화이다.
겨울연가 욘사마의 마을을 방문한 일본 관광객들에게 터무니없는 숙박비를 요구하거나, 물품의 가격을 올려 받는 일이 흔하다는 보도가 된 적이 있다. 순간 개인의 이익을 위해 자신의 양심을 버리고 나라의 이미지를 망쳐 놓는 이런 일들이 되풀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외국 관광객들 한명 한명이 돌아가 그 나라에 우리의 이미지를 심어준다는 사실을 되새길 필요성이 있다.
VΙ. 맺음말
중국, 대만, 베트남, 몽골, 다른 한편으로는 일본에서까지도 한국의 대중문화로 비롯된 한류열풍에 대한 보도가 많았다. 한류열풍의 주역이 된 연예인과 문화상품의 특성, 현지인의 눈에 비친 매력을 찾아내어 지속적으로 새로운 스타와 콘텐츠를 개발한다고 문화산업계의 움직임이 부산하다. 한류열풍에 대한 견제와 우려 그 여파로, 침체해 있는 주식시장에서도 음반관련 주가가 강세를 보였다고 한다. 정부 차원의 정책과 기획단도 만들어졌다. 한류를 쉽게, 많이, 질리지 않게 보여주기 위해 한류 체험 관을 짓고, 관광 상품을 개발하고 관련대학과 학과를 만든다고 한다.
이런 움직임에 대해 견제와 우려의 소리도 높다. 한때 유행으로 끝났던 홍콩 무술영화의 아류라거나, 단명하기 쉬운 대중문화의 한 흐름일 뿐이라거나, 이들 젊은 소비층의 기호를 따라잡기 위한 무한경쟁의 문제, 그동안 문화적 사대주의에 주눅 들었던 우리의 지나친 우쭐함이고 또 하나의 성급한 샴페인 터뜨리기라든가, 현지의 기성세대와 세력의 불만을 잠재우고 이들까지 수용해야 하는 문제 등이 지적되었다. 대중 요법적 대응에 대한 우려라 할 수 있겠다.
이들은 각자의 정당성과 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나는 좀 다른 시각에서 이 현상을 바라보려 한다. 출발점은 같다. 한류열풍의 핵심인 한국의 연예인과 대중문화에는, 우리끼리는 잘 보이지 않지만 다른 문화와 비교해 두드러지는 한국적인 것이 있다는 점이다. 폭발적인 감정표현, 강한 시각적 이미지, 댄스음악의 강한 비트에 실린 슬픔과 사회의식 등 현지인의 입을 빌려 표현된 우리 대중문화와 연예인의 특성이다. 그런가 하면, 서구화되었으면서도 서구와는 다른 동양적 특성 때문에 느껴지는 친근감이 있다고 했다.
하나의 문화가 다른 문화와 차별화 되지만 그 차별성에 친근감과 유사성을 느낄 수 있다는 양면성. 세계화 속에서 경쟁력을 갖추는 지역성의 공통점이다. 각 지역은 다른 지역과 충분히 다르되, 동떨어진 다름이 아니라 보편적으로 소구(訴求)되고 수용될 수 있는 정도의 다름이라야 한다. 매료될 수 있을 만큼의 다름과 차별화가 보편적으로 소구되는 것, 그 예는 경상북도가 전통가옥을 이용하여 전통 생활 체험관을 운영한지 한달 만에 꽤 많은 관람객이 다녀갔다는 것에서도 찾을 수 있다. 전통가옥에서의 생활은 도시인의 일상과 너무나 다른 경험이다. 그러나 수세식 화장실과 샤워라는 일상과의 연결이 있다. 전통가옥이 주는 맑은 공기와 자연, 시골의 이른 아침과 한적한 조용함, 오래 된 고향집, 어린 시절 등의 연상은 '건강, 자연 친화성, 전통, 젊음' 등 우리가 바라는 것들과 연결된다. 그러나 이를 바라지 않는 사람에게 전통생활 체험은 별로 매력적이지 않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현재 한류열풍이 불고 있는 동아시아지역 또한 대중문화 그 자체의 예술성과 매력만으로 한류에 열광하기보다는, 한국이 아시아와 세계에서 주목받는 나라중의 하나라는 것, 그러나 한두 세대만 거슬러 올라가면 자기들과 같은 정치 경제 수준이었다는 것에서 오는 부러움과 위안, 자신감 등이 깔려 있다고 본다. 절망적이지 않은 부러움은 호감과 추종으로 이어진다. 한국적인 것을 갖고, 아는 사람이 우쭐함을 느낀다는 것은 곧 한국적인 것이 문화 권력을 가졌다는 말이다. 이것이 젊은이들에게만 한정되는 권력이라면, 대중문화에만 한정되는 권력이라면 그 주기가 짧을 수밖에 없다. 한국적인 것을 문화 권력화 '우리 것은 좋은 것이여'하는 우리끼리의 자화자찬이 아니라 그들에게 비쳐진 한국적인 정서와 특징, 서구와 일본에 비해 사회적, 역사적, 인종적, 문화적, 또는 정서적으로 이들과 공유될 수 있다는 우리의 것, 우리의 정치와 경제 등 이들로부터 추수해낼 수 있는 한국적인 것을 문화 권력화 하는 것이야말로 본질적이고 장기적인 대처방안 마련의 한 실마리라 하겠다.
참고문헌
한국일보, 뮤직조선, 김혜순 교수의'한류열풍과 한국학' 등
구인혁 ‘한류보고서’
유상철 ‘한류의 비밀’
장수현 ‘중국은 한류를 왜 수용하나’
출처(참고자료)
http://www.ikoface.com http://www.kita.net/biz/html/kotis/main_report_atta/504_2_%C7%D1%B7%F9%BA%B8%B0%ED%BC%AD.hwp
http://www.cbforum.co.kr/html/boardfiles/board34_1119321775.pdf http://www.kita.net/biz/html/kotis/main_report_atta/504_1_%C7%D1%B7%F9%BA%B8%B0%ED%BC%AD%FG%E4%BE%E0.hwp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5.12.09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55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