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과 빗물이용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수자원의 특성

3.월드컵 경기장의 빗물 이용 시설
3.1 빗물 이용 현황
3.2 빗물의 수질
3.3 월드컵 경기장의 빗물 처리시설
3.4 빗물 이용 가능량
3.5 빗물 활용 용도
3.6 일본 월드컵 경기장의 빗물 이용 사례

4.기타 수자원의 연계활용
4.1 중수 및 지하수 연계활용
4.2 유출 지하수 연계활용

5.결론.

본문내용

3천5백만원의 예산절감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림 8. 인천구장 주차장 주변 지하 유공관 단면 상세도
5. 결론
우리나라 인구는 47,179만명('98년말)으로 세계인구의 0.8%를 차지하고, 인구밀도는 473인/㎢로 세계 3위의 고밀도 국가이며, 2020년까지 5,235만8천명으로 증가된 이후 정체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도시화와 인구집중은 용수의 부족현상과 홍수를 심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절수의 생활화 및 처리수의 재이용과 더불어 빗물이용의 확대는 부족한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는 처방전이 될 것이다. 2002년 월드컵 개최와 함께 4곳의 경기장에서 빗물이용 시설을 도입하였다. 빗물을 이용하는 경기장은 주로 지붕면의 빗물을 집수하여 조경/잔디살수용수와 화장실 세정용수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현재 해당시설에서 이용되고 있는 빗물의 양은 물사용량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으며, 중수 및 유출지하수 등과 연계 활용함으로써 안정적인 수량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2002년 4월에 착공될 상암신도시는 우수 저류, 침투 및 이용시설을 도입할 계획에 있어 향후 친환경적인 물순환형 도시개발의 선구자가 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로 인해 빗물에 대한 인식전환의 계기가 될 것이다. 따라서 새천년에는 빗물이용이 선택이 아니라 필수의 시대가 될 것이다. 개정된 수도법에 의해 대형시설물에서의 빗물 이용시설의 보급이 점차 늘어날 것이며 이에 따라 빗물이용기술에 대한 기초연구와 기술개발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2001년부터 10년간 과학기술부와 건설교통부가 공동으로 지원하는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는 '우수 저류 및 활용 기술 개발'과 연계한 빗물이용 기술의 개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1.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1), 2001년 중부지방 대 가뭄, 건기연 2001-042.
2. 김이호(2001), 도심지 유출지하수 및 우수 활용 방안, 2001 지반환경, p. 217-241
3. 김이호(2001), 우수 이용기술의 개발방향, 건설기술정보지, 통권 211호, p.23-28.
4. 김이호(2002), 빗물 이용과 건축물 지붕의 기능적 변화, 건설기술정보지(인쇄중).
5.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1), 대형시설물 유출지하수 수처리 및 활용연구.
6. 광주광역시(2000), 월드컵축구경기장과 염주수영장을 연계한 물 재활용 방안.
7.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2000), 지하수조사연보2000.
8.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2000), 수자원정책·관리 개선방안 연구.
9. 건설교통부(2001), 수자원장기종합계획-Water Vision 2020.
10. 서울특별시(1991), 서울시 지하철 7호선(5호선거여구간포함)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서.
11. 서울특별시(1998), 지하수 배출 전용관로 설치(지하철역) 타당성 조사 및 기본설계 보고서.
12. 서울특별시(1999), 지하수 배출 전용관로 설치(지하철역) 타당성 조사 및 실시설계 보고서.
13. 서울특별시(2000), 물을 이용한 친수공간 조성 기본 및 실시설계.
14. 서울특별시(2000), 우수유출 저감시설 시범사업 검토연구.
15. 서울특별시, 월드컵 주경기장 건설공사 기본·실시설계보고서
16.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1986), 지하철 3·4호선(터널:A.S.S.M) 토목시공.
17.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1986), 지하철 3·4호선(터널:NATMⅠ) 토목시공.
18. 생명의 물 살리기 운동본부(1999), 다가오는 물 위기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19. 이인모(1999), 터널에서의 지하수 문제 고찰, 대한토목학회지, 제47권 제6호.
20. 이종산(2000), 수자원 확보 위해선 중수도 보급 확대 필요, 녹색서울21.
21. 전주시, 전주월드컵경기장 기본설계보고서
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96), 항구적 가뭄대책을 위한 수자원 확보 및 이용방안 연구.
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98), Green Town 개발사업Ⅲ(환경부분).
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99), 지하수의 용수화를 위한 정책방향 기초연구.
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한국수자원공사(1996), 수자원장기종합계획(1997-2001) 부록 수자원자료집.
26. 한국물학술단체연합회·한국수자원공사(1997), 물문제 국제 동향과 우리의 대책.
27. 한국수자원학회·한국수자원공사(1997), 한국의 수자원 개발 30년.
28.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0), International Water Forum.
29. 환경부(1999), 생태도시 조성 기반기술 개발사업(Ⅲ).
30. M. Zaizen 외 3인(1999), The collection of rainwater from dome stadiums in Japan, UrbanWater, pp355-359.
31. R. Trauth and C. Xanthopoulos(1997), Non-Point Pollution of Groundwater in Urban Areas, Water Research.Vol. 31, No. 11.
32. 雨水貯留浸透技術協會(1995), 雨水浸透施設技術指針[案] 調査·計劃編.
33. グルプ·レインドロップス(1995), やってみよう雨水利用.
34. 小田原 健治(1988), 東京ドムにおける雨水利用形中水道システム公害 と對策, Vol.24, No.10.
35. 田中 英夫외 1인, 新國技官における雨水利用設備, 雨水技術資料, Vol.3, pp73∼77
36. 地球環境 住居硏究會, 環境共生住宅 計劃·建築編
37. 日本建築學會編(2000), 雨の建築學.
38. 松本 光弘 외 1인(1992), 雨水分析における精度管理の檢討, 環境技術, Vol. 21, No. 4, pp258∼265.
39. 村瀨 誠, 洪水防止と渴水防止/雨水利用と下水道, 月刊下水道, Vol. 18, No.7, pp22∼25.
40. 山下 洋正, 雨對策にプラスαの 果を/都市雨水の資源利用の可能性, 月刊下水道, Vol. 21, No.7, pp6∼9.
41. Teruo Iida(2001), 地下水の現況と都條例改定について雨水技術資料, Vol.40, pp59-63.

키워드

  • 가격무료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6.01.20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36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