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조리-한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조리-한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한국조리원리 및 실습 - 한과
1. 한과의 유래와 역사

2. 한과의 분류

3. 한과의 종류

4. 한과의 영양성

본문내용

요화대, 빈사과, 산자, 방울강정, 검은엿, 흰엿, 잣엿, 깨엿, 콩엿, 호도엿, 대추엿, 밤엿
잣엿강정, 호도엿강정, 깨엿강정, 낙화생 엿강정, 콩엿강정, 대추엿강정, 검은콩엿강정, 대추초, 밤초, 조란, 율란
흑임자다식, 흑임자다식별법, 녹말다식, 밤다식, 송화다식, 신검초다식, 콩다식, 용안육다식, 생강다식, 약과, 중배끼, 만두과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1943년
이용기
한글
밤초, 대추초, 율란, 조란
약과, 과줄, 모과, 다식과, 만두과, 중백기, 한과, 매잡과, 채소과
흑임자다식, 녹말다식, 밤다식, 송화다식, 싱검초다식, 콩다식, 강분다식
녹말편, 앵두편, 모과편, 산사편, 사탕만드는법
복사정과(복숭아정과), 산사정과, 모과정과, 감자정과, 유자정과, 연근정과, 생강정과, 동아정과, 들죽정과, 쪽정과, 연강정과, 배숙, 앵도숙
산자, 세반산자, 빙사과, 묘홧대, 잣박산
깨강정, 콩강정, 싱검초강정, 흑임자강정, 송화강정, 다홍강정, 방울강정, 세반강정, 매화강정, 잣강정, 계피강정, 흑당, 엿기름내는법, 백당, 밤엿, 흑두당
4. 한과의 영양성
우리 한국전통음식의 특징은 재료자체가 갖고 있는 순수한 맛을 살려내는데 그 특징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과의 대표라 할 수 있는 약과와 유과는 전분성 식품인 쌀과 밀에 단백질과 지방 식품을 혼합한 것으로 ‘오주행문장선산고’와 지봉유성‘에 “그 재료인 밀은 춘하추동을 거처서 익기 때문에 사시의 기운을 얻어 정이 되고 꿀을 백약의 으뜸이며 기름은 살충하고 해독하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하고 있을 만큼 약이 되는 과일로 지칭하여 기록되어 왔다.
이렇듯 한과는 들어가는 재료만 보더라도 영양, 향, 인체와의 조화 등 과학적인 배합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엿강정류는 주재료인 깨와 견과류에 지방과 단백질, 무기질이 많아 성장기 어린이의 간식으로도 손색이 없으며 곡식가루와 한약재 꽃가루 같은 것으로 반죽한 다식은 약이성의 배합으로 우리 몸에 영양을 주고 약이 되는 성분이 많다.
또한 식물의 뿌리나 열매를 꿀이나 물엿으로 쫄깃하게 조린 정과는 오랫동안 보관하여 각양의 향과 맛을 보존하여 정월에 부족한 성분을 섭취한 우수한 저장식품으로 손꼽힌다.
참고 - http://cafe.naver.com/sungpho36.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667
http://www.shinkung.co.kr/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3.13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95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